“이게 한국 맞아?” 도시에 대량 출몰한 벌레떼…러브버그 대신 몰려왔다 [지구, 뭐래?] 작성일 08-05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qubYD1mXt">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afd44fb77592182a7dcf0515739025f4704586fe49d2806407341c6cc31c85d" dmcf-pid="zB7KGwtsX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의 한 등산로 보행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5480nwtc.jpg" data-org-width="1280" dmcf-mid="YIKc6pe7t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5480nwt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의 한 등산로 보행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8eeaf6c7013a15a3f9ce5e02d5175fb0f5ba4085fc5f9dc6ac18bd47c6a072f" dmcf-pid="q31phaWAH5"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strong><span>“이게 다 벌레라고?”</span></strong></p> <p contents-hash="b60dec310d4b8d7a8d2574f78f6f3a9bee2e59d2104cd282671ac688bf33afed" dmcf-pid="B0tUlNYc5Z" dmcf-ptype="general">언뜻 보면 나뭇가지가 붙어있는 것 같은 모양새. 실제로는 ‘대나무를 닮았다’라는 의미로 이름 붙여진 곤충 <strong>‘대벌레’</strong>가 뒤엉킨 모습이다.</p> <p contents-hash="c46fa14462efef1e856f85f79401f95bf302abf0e75f02f055cb41d162d1da18" dmcf-pid="bpFuSjGkGX" dmcf-ptype="general">산속에 숨어 사는 대벌레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목격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span>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량 출몰’하는 기현상이 벌어졌기 때문이다.</span></p> <p contents-hash="b2e5287c9667701cdd43ea205a647178edda5315f919803a22e9bbc5a856cae1" dmcf-pid="KU37vAHEZH" dmcf-ptype="general">역시 원인은 ‘기후변화’. <span>기온 상승으로 산란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며, 개체 수가 폭증하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fd8c0bd31a04f659af209d0e45eee2e0881bd107b7bf1add1704fe4bade56ffd" dmcf-pid="9u0zTcXDZG" dmcf-ptype="general">가장 큰 문제는 나뭇잎을 갉아 먹어, 산림 훼손 규모가 커진다는 것. 피해 지역 또한 3년 새 50배가량 늘어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76897353f8c93543cb7ba7f009041712c02219595968fbe8ebca816d8fc89cb" dmcf-pid="27pqykZwH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의 한 등산로 보행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5729gbct.jpg" data-org-width="1280" dmcf-mid="GGwphaWAH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5729gbc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의 한 등산로 보행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2aa6c8b5b36bf109c02fa946134f6b8a5a18fb8c9c96e6952fd4a1ff7e8ad71" dmcf-pid="VzUBWE5r1W" dmcf-ptype="general">최근 인천 무학산 등 수도권 지역에서 대벌레의 대량 출몰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지난달 폭발적으로 개체 수가 늘어난 <span>러브버그가 폭염으로 사라진 후, 대벌레가 그 자리를 대신한 셈.</span> 특히 산지, 등산로 등에 출몰하며 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p> <p contents-hash="d6a7cc9eca73fec05147663a28d7dae2a64c2ffd8304801f2e67fe9b1434b806" dmcf-pid="fqubYD1mHy" dmcf-ptype="general">대벌레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주로 서식하는 벌레로, 나뭇가지나 대나무 마디와 비슷하게 생긴 게 특징이다. 몸이 길고 가는 데다, 보호색까지 띠고 있어 포식자에 들키지 않고 오래 살아남는 특성이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2371316c7c1dfc77a1f11416176e6b3e537edf460f1d29c724c6e8b68273b46" dmcf-pid="4B7KGwtsZ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벌레.[X(구 트위터)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5998kfxq.png" data-org-width="1280" dmcf-mid="HaJg21P35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5998kfxq.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벌레.[X(구 트위터)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c4a7503849a170481d11a20cd692dde848fac84f100dac4df6a04c3d21b22a4" dmcf-pid="8bz9HrFOZv" dmcf-ptype="general">대벌레는 러브버그와 같은 외래종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한국, 일본, 중국 등을 중심으로 서식하기 때문. 하지만 개체 수가 많지 않고, 나뭇가지 등과 구분이 힘들기 때문에 산림 지역에서만 간간이 발견됐다. 시민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벌레 종류가 아니었다는 얘기다.</p> <p contents-hash="a3ca2c73d151c73731b6e1ef609bb66272833e3373ab774513759232ff18fe1e" dmcf-pid="6ieLKZ8tXS" dmcf-ptype="general">문제는 2020년 이후 최근 몇 년간 대량 출몰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 <span>특히 산지와 밀접한 수도권 인근 지역에서 주로 이같은 문제가 벌어지고 있다.</span> 실제 피해지역은 서울 은평구에서 시작해 의왕시, 군포시, 하남시, 인천시 등 수도권 일대로 늘어나는 추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e3cb901c5a092f4d8093ce3398817b14dd2d026dc4fbb7d07ae2ddb846d46fa" dmcf-pid="Pndo956Ft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건물 외벽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6282bupp.png" data-org-width="1278" dmcf-mid="XRz9HrFOt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6282bupp.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건물 외벽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2a7213cb3e7c7c7d942e3440e5d99c418a5fbdaab67daf68ffb0c412a5bcdf9" dmcf-pid="QLJg21P3Xh" dmcf-ptype="general">대벌레 출몰의 주요 원인은 ‘기온 상승’.<span> 특히 봄철의 기온 상승 현상과 직결된다.</span> 따뜻한 봄에 대벌레의 생식 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국립생물자연관 연구팀이 봄철(3~5월) 대벌레알 4500개의 부화율을 분석한 결과, 더 낮은 고도에서 6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높은 온도에서 부화율이 크게 상승한 셈이다.</p> <p contents-hash="a6e3fd7a386c90b47ddceb832d3745c3292682a25d3d261dacd0d4db5a88f265" dmcf-pid="xoiaVtQ0ZC" dmcf-ptype="general">심지어 대벌레는 암컷 단독으로 번식할 수 있다. 하나의 개체가 낳는 알만 700개. 일정한 산란 환경만 조성되면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산란 시기도 봄부터 가을까지 길게 유지된다. 한 번 성체가 되면, 쉽게 죽지도 않는다. 천적이 나타나도 다리를 내주거나 죽은 척하고 위장하는 특성 덕분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b8c2cd79eff662880e4708dc2247a0553bddb32cd401e8f8a40417c0d907642" dmcf-pid="ytZ3IoTNZ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벌레가 갉아 먹은 나뭇잎. 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6545nnlj.png" data-org-width="1280" dmcf-mid="1jZ3IoTN1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6545nnlj.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벌레가 갉아 먹은 나뭇잎. 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1721fc163d45f05e1807807dd6c60bc2e2d27d2337ebe9f56c965e06dde525" dmcf-pid="WF50CgyjZO" dmcf-ptype="general">심지어 사실상 ‘익충’ 역할을 하는 러브버그와 달리 대벌레는 산림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대벌레가 인간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span>참나무류 등 활엽수 잎을 먹이로 하는 특성상, 산림 훼손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span></p> <p contents-hash="d6db758411df37d10d4873eb53ab1fc064619576d29012d69f944c4ee517fa58" dmcf-pid="Y31phaWAts" dmcf-ptype="general">이에 따른 산림 피해 면적 또한 늘어나고 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2020년 대벌레에 의한 산림 피해 면적은 19헥타르에 불과했지만, 2021년 158헥타르, 2022년 981헥타르로 3년 새 50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163112751ad3bf750472ffefae55de2e03cbd206c4043ae1899fefaf6123c8c" dmcf-pid="G0tUlNYc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의 한 등산로 보행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6811nsey.png" data-org-width="1214" dmcf-mid="pC8MUTbYt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6811nsey.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의 한 등산로 보행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6d401756fff02cca3164695c6d215eeb2ee7c3d9c8cf46eaa9f6d1bbcf29ff4" dmcf-pid="HpFuSjGk5r" dmcf-ptype="general">이에 대벌레 방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도 지속되고 있다. 다수 지자체에서는 독성 잔류 문제 등 부작용이 있는 화학 살충제 대신 끈끈이 롤트랩(트랩) 등 물리적 방제 시도에 나서고 있다. 다만 방제 효과가 작은 데다, 표적이 아닌 다른 곤충들이 잡히며 해당 지역 생태계를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a7bb55f2a7640bb49cd6ff0e3403bef05ce3aae34ab489d46290d3bb8f855aa" dmcf-pid="XU37vAHEZ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의 한 등산로 휴식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7072sjlo.png" data-org-width="1280" dmcf-mid="UTwIi9Nf5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7072sjlo.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의 한 등산로 휴식 시설에 대벌레가 붙어 있다.[유튜브 채널 ‘쩔템’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4fac8363658e6bb4a18ff900a851bc65076ca119b2380b163b27a8863811582" dmcf-pid="Zu0zTcXDtD" dmcf-ptype="general">이에 환경부는 곰팡이균을 이용해 대벌레를 폐사시키는 방식의 친환경 방제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벌레의 표피에 붙어 개체를 폐사시키는 곰팡이 ‘녹강균’을 발견하고, 향후 실용화를 위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ad2b51bcff38cf6a6e57f209cc8234baf0ede93d37e5b3beb8dca6e97d7c34e" dmcf-pid="5MPe7W9HYE" dmcf-ptype="general">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 대발생하는 곤충들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자연 친화적으로 개체수 조절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b90b19863c96d2a1458ba8a37a62a598506477b8204d45ae2edf56613bfaf5d" dmcf-pid="1RQdzY2XX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7308balp.jpg" data-org-width="1280" dmcf-mid="unvGkMsdZ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184157308balp.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애니, 가수 지망에 신세계家 반응? "바람 불었다고…그 말 정말 싫더라" (살롱드립2) 08-05 다음 카카오페이 "금융 AI 에이전트 선도할 것"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