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레이더 스텔스' 핵심기술 국산화 작성일 08-05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주파수 선택 표면 설계 SW' 등 국산화해 기술이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wEklNYcEE"> <p contents-hash="5ca64c831ce66d6366411c5e4f72d781a777d0bbf2584fc3c48a2651b8e54ff2" dmcf-pid="5rDESjGkEk"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레이더 스텔스(Radar Stealth)’ 핵심기술을 자체 개발해 국산화하고,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했다.</p> <p contents-hash="586b584c6cbfff431680c7923091be0d108c4e69c0576cb765b8ba0fae8d1be4" dmcf-pid="1yvS1IUlwc" dmcf-ptype="general">표준연은 레이더 스텔스 구현에 필수적인 레이돔(Radome)의 ‘주파수 선택 표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 FSS) 설계 소프트웨어’와 ‘전자파 평가 검증 장비’를 자체 구현했다. 설계부터 시제품 제작, 성능 검증까지 전주기를 순수 국내 기술로 이뤄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2f918ffdc6cccf922a41fc137bedb4cf4d24b670c995f23d4b9c81fe0a8692d" dmcf-pid="tWTvtCuSI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케이이알 간 기술이전 협약식 기념사진.(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daily/20250805181506704wtmu.jpg" data-org-width="670" dmcf-mid="XSBqPUdzm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daily/20250805181506704wtm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케이이알 간 기술이전 협약식 기념사진.(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a1512c1fdf50c7ca899710350b3f399a2a9e6e26c29fae99c3768dce6c1157d" dmcf-pid="FYyTFh7vOj" dmcf-ptype="general"> 레이돔은 항공기나 미사일의 레이더·통신 안테나를 감싸는 반구형 구조체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테나를 보호하면서 필요한 전자파 신호가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div> <p contents-hash="790e6ac893e1574362cb477b81dfa3ac96db79f1eb0970c061520a8659fc2121" dmcf-pid="3GWy3lzTsN" dmcf-ptype="general">레이돔의 FSS는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만 선택적으로 투과하거나 반사하도록 설계된 일종의 주파수 필터다. FSS의 성능을 높이려면 전자파 투과 성능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는 고성능 전자파 해석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상용 소프트웨어는 라이선스 하나당 가격이 약 1억원을 넘고, 매년 유지보수 비용만도 2000만원이 넘었다.</p> <p contents-hash="46d3592b87ee442d1674929970ccfc5535fa5f3736d63ccda5d82dc94611f88a" dmcf-pid="0HYW0Sqyra" dmcf-ptype="general">표준연은 인공지능(AI) 기술과 병렬계산 방식을 도입한 FSS 설계 소프트웨어를 새로 개발했다. 다층 복합소재로 이뤄진 레이돔 구조 해석에 최적화된 도구로 기존 상용 소프트웨어 대비 FSS 설계 속도가 50배 이상 빠르다.</p> <p contents-hash="610d1f0f0b9c1a3c478a9f6a26551d473f0dd305e5e5ab1ed9c6731e8aef1e34" dmcf-pid="pXGYpvBWIg" dmcf-ptype="general">표준연은 또 레이돔의 성능을 자체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전자파 레이돔 평가 장비도 함께 개발했다. 기존에는 국방형 레이돔의 까다로운 성능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전자파 시험에만 보통 한 달 이상이 소요됐다. 이번에 개발한 평가 장비는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 대비 5배 이상 빠른 성능 측정이 가능하다.</p> <p contents-hash="e3f5ae4cd58a7a731e76f99d6ed8166b3767311b9b62eea5a4ff99358ae64ba3" dmcf-pid="UZHGUTbYmo" dmcf-ptype="general">기술은 국방 첨단 무기체계 기업인 케이이알에 기술료 5억원 규모로 이전됐다.</p> <p contents-hash="207be15b2f1e40e75686e928afd7e201434e9d46147aeacf604ef5becad6d70c" dmcf-pid="u5XHuyKGrL" dmcf-ptype="general">홍영표 표준연 전자파측정그룹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국방 분야뿐만 아니라 모빌리티, 선박, 우주항공 등 다양한 레이더 응용 산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bfac2ec8b279bcb9fe64239783682706584db7b516878bfb2656c675263653c" dmcf-pid="7kAjIoTNrn"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구성환, 베트남 참전 용사 모인 마을에서 살고 있었다 ('나혼산') 08-05 다음 故 송영규 비보에 동료들 추모 물결 "이선균 떠난 지 얼마 안 됐는데.."[종합]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