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쟁력 높이는 학연 협력플랫폼] 방승찬 ETRI 원장, “기술-인재-사업화 선순환 R&D협력모델 만들 것” 작성일 08-05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51npvBWDt"> <p contents-hash="220ef046713cf5d7eb94239206178c56d6cb34875792d00f568c022758a000d8" dmcf-pid="x1tLUTbYr1" dmcf-ptype="general">“학연협력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을 통해 AI, 모빌리티, 차세대 통신 등 ETRI가 보유한 핵심 원천기술을 경북대의 학문적 역량 및 지역 기업의 실질적 수요와 연결함으로써, 기술-인재-사업화가 선순환하는 R&D 협력모델을 구축하고자 합니다.”</p> <p contents-hash="9de299d784c9e19cc1e59f7bc537f0621827c67a84a0b696139d432bf8c174cf" dmcf-pid="yLo1AQrRs5" dmcf-ptype="general">방승찬 ETRI 원장은 “이번 플랫폼의 목표는 대학과 연구기관이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을 함께 개발하고, 지역 기업체들이 개발된 기술을 활용, 궁극적으로 지역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2e2767a60e8d7a238678f58a8f46551bbf78285e4e0d65c6a0c025408fc0a72" dmcf-pid="Wogtcxmew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방승찬 ETRI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70339506fqrw.jpg" data-org-width="467" dmcf-mid="86VOPUdzm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70339506fqr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방승찬 ETRI 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d6366c66dba858f7e36d0ad8d1a225e33845704955423b1352458a98eb43adc" dmcf-pid="YkE7snSgsX" dmcf-ptype="general">방 원장은 “ETRI와 경북대는 신기술 개발 측면에서 미래 산업을 선도할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연구개발(R&D)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면서 “특히, 지역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신기술을 공동으로 기획·개발하고, 응용기술로 구체화해 실증까지 이어지는 현장 밀착형 기술 융합 협력 구조를 갖췄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cd9c9e703491835a27a506cf6139c243c901e761f95df97c2667b9470fe19e46" dmcf-pid="GEDzOLvaDH" dmcf-ptype="general">그는 “지역의 미래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ETRI-KNU 공동연구실(UNI-CORE LAB)'을 운영, ETRI와 경북대 연구진의 공동 책임하에 학연교수·연구원·연구생이 팀을 이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연구 성과는 연구실에 머무르지 않고 산업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 기술사업화 협력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3dca39cb120ca90e193bc0b418231064decf6ad0531ed43b2a352640e2c310c0" dmcf-pid="HDwqIoTNrG" dmcf-ptype="general">방 원장은 대표 사례로 'ETRI-경북대 공동 연구소기업' 설립 모델을 꼽았다. 그는 양 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출자하고, 각 기관의 기술지주회사가 공동 자본을 출자해 기업을 설립하는 지분 참여형 기술사업화 모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c2f42632def8762e580401a44e726dbee81cd0cec92b3704feab13957006a0d2" dmcf-pid="XwrBCgyjIY" dmcf-ptype="general">“학연협력 플랫폼은 지역 중심의 디지털 기술개발 생태계를 조성하고, 그 기술이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전주기적 협력체계를 갖춰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956c891421979c21468b809b84c12d34d27c4e7b6f1f940de0cef383f25e4c55" dmcf-pid="ZrmbhaWAwW" dmcf-ptype="general">방 원장은 또 공동연구, 기술사업화, 인력교류 부문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했다. 공동연구의 경우 지역이 필요로 하는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는 형태의 수요기반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했고, 기술사업화는 ETRI와 경북대가 공동으로 연구소기업 설립을 기획, 지분참여형 창업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인력교류의 경우 산학연 JA교수제도와 학연 연구생 파견 제도를 도입해 양 기관 간 인적 장벽을 허물고 지속적인 교류와 공동연구 기반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28388720f806095524f79b3ca46322dafdc7412b6d677632e102337f68df373" dmcf-pid="5msKlNYcs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방승찬 ETRI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70340770opea.jpg" data-org-width="700" dmcf-mid="P3tLUTbYD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70340770ope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방승찬 ETRI 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f097bf4dfc5e4cac196caea320f6bc459f640ba2037d74d4dd2b9d5f8a0af09" dmcf-pid="1sO9SjGkET" dmcf-ptype="general">방 원장은 또 ETRI-KNU 공동연구실(디지털 나노헬스케어 공동연구실) 구축과 관련해 “이번 공동연구실은 ETRI와 경북대가 공동으로 구축한 첨단 융합기술 연구거점”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 비침습·고정밀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c66e0c99bd428f8c0f1e2e67eb22c8049a125b8409dd9585fb5a3648943f22e" dmcf-pid="tOI2vAHEDv" dmcf-ptype="general">그는 특히 “이번 연구는 단순 센서 개발을 넘어 디지털 센싱 기반 현장진단형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이라는 최종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며 “향후 고령화 사회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요양병원, 검진센터 등 1~3차 의료기관에서 실제 활용 가능한 제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p> <p contents-hash="c19993b82227d59c617fbf35d17b352eb6a0a03a68318458a900cd60f4a27dfc" dmcf-pid="FICVTcXDOS" dmcf-ptype="general">방 원장은 끝으로 “ETRI 이번 플랫폼 사업을 통해 기술의 사회적 확산과 국민 체감형 성과 창출, 지역 주도 자립적 기술경제 실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적극 부응하겠다”면서 “앞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의 학연협력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한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6ca543337b2fdd0276fbbf7c2cd30863d9f6e2532321a5afe3c80d161dec3777" dmcf-pid="3ChfykZwEl" dmcf-ptype="general">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안도열 서울시립대 석좌교수, “양자기술 투자 늦어지면 10년 격차” 08-05 다음 파운드리 기지개 펴는 삼성전자...남은 과제는 HBM4 성공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