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화된 FTA, 돌이킬 수 없어…민관 '원팀'으로 돌파해야" 작성일 08-05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xWoRW9HY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65f4618f57c640209be92c8741258ab1d89d32c2a2c1889724f33e328d38370" dmcf-pid="BMYgeY2XY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왼쪽 두 번째)이 5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진화하는 한미 경제동맹: 관세를 넘어 기술 및 산업 협력으로' 좌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moneytoday/20250805152005367xyox.jpg" data-org-width="1200" dmcf-mid="ztozFoTNZ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moneytoday/20250805152005367xyo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왼쪽 두 번째)이 5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진화하는 한미 경제동맹: 관세를 넘어 기술 및 산업 협력으로' 좌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bfac23d894c3878af9d1ce16865e907f4ac4a5109f18a25b125025131e0f1ea" dmcf-pid="bRGadGVZGB" dmcf-ptype="general">한미 통상협상이 타결됐지만 이로 인해 사실상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무력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통상 전문가들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국내 기업이 흔들림 없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민관 원팀정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p> <p contents-hash="cb255f2b47366edceeac49aeba29c92261fa10656c4096f7d630e294a7030d4e" dmcf-pid="KeHNJHf5Hq" dmcf-ptype="general">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장은 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FKI(한국경제인협회)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진화하는 한미 경제동맹: 관세를 넘어 기술 및 산업협력으로' 좌담회에서 "한미 FTA가 무력화된 것은 안타깝지만 돌이킬 수 없는 수순"이라며 "지금은 '포스트 세계무역기구(WTO)', '포스트 FTA' 시대"라고 했다. 이날 좌담회는 한국경제인협회가 개최했다.</p> <p contents-hash="3c8fc2a1efcbeae6d58e77becf0af3e7f9a58d3c67531e55bc6a745f4c6d3a16" dmcf-pid="9dXjiX415z" dmcf-ptype="general">이 원장은 "새로운 차원의 민관협력이 필요한 시기가 왔다"며 "새로운 룰 셋팅을 어떻게 이끌어 갈지 정부와 기업이 향후 10~20년을 내다보면서 계획을 짜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WTO와 FTA 체제를 넘어선 새로운 시각을 갖고 준비를 본격화해야 하고 기업은 투자나 사업 다변화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7b0c9c8f3ac1ebc49297faf5e11cc2e1d5339d0d672a87d0f75260a1e5813e8b" dmcf-pid="2JZAnZ8tZ7" dmcf-ptype="general">그는 또 "각국이 새로운 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 정책을 광범위하게 실시하고 있다"며 "우리도 핵심 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이 중요한 과제"라고 했다.</p> <p contents-hash="d58ea306a295f19f15f7ebd2ca755a901519921c29cdd0a568d370663bc9fc97" dmcf-pid="Vi5cL56FGu" dmcf-ptype="general">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달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 △전략 산업 대미 투자 패키지 등을 중심으로 350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다.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관세도 25%에서 15%로 조정했다. 향후 품목관세 부과를 예고한 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해서는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p> <p contents-hash="12043d86e313fe6ca3e4e94e58d24812f23563d4b99d50f1bc56e9d03bebc908" dmcf-pid="fn1ko1P3GU" dmcf-ptype="general">하지만 협상 타결에도 '포스트 WTO·FTA 시대'로 접어든 만큼 불확실성 속에서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정부는 큰 틀에서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기업은 자체적으로 산업 생산력을 끌어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316c06ed4f544ca951fcd2098ed07205fd83f68be187f7414fea8e4445d24dbb" dmcf-pid="4LtEgtQ0tp"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참석자들은 미국의 고관세 기조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보조금 지급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6f2b6615cc04c6c4a894a2ebea196a80a1dbaabe4dae318a2251a01c66b6b05b" dmcf-pid="8oFDaFxpt0" dmcf-ptype="general">유명희 전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이 향후 10년간 관세로 거둬들일 게 2조 달러(약 2776조원)로 예측된다"며 "미국처럼 재정적자가 심한 나라에서 앞으로 어떤 대통령도 관세를 없애고 대체 세원을 찾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이 같은 고관세 기조는 상당 기간 유지될 수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85a6ba91bb417389375067f1ef0606ea5d8a5cd41ae337c41972b365d9d6eced" dmcf-pid="6g3wN3MUt3" dmcf-ptype="general">실제로 올해 1~7월 일부 소비세를 포함한 미국의 관세 수입은 1520억달러(약 211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80억달러·약 108조원)에서 두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관세 정책이 지금처럼 유지될 경우 향후 10년간 추가 세수는 2조달러(약 2776조원)로 예측된다.</p> <p contents-hash="42239491d48c27f4b195fbe7a72edf1342a089edd5bf9dcabf57da6486ea36aa" dmcf-pid="P7EfqE5rtF" dmcf-ptype="general">유 전 본부장은 "고관세를 버티기 위해 기업은 자체적인 노력을 하겠지만 (혼자 힘으로는) 실제로 어렵다"며 "비상한 시기이고 각국이 경쟁적으로 지원정책, 보조금 정책 실시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업에 대한 비상한 지원을 해야 할 시기"라고 했다.</p> <p contents-hash="c6e67ac3f0bb4f7f915a6c09595a57565a8c7ca23d1178a47089c87a23b19170" dmcf-pid="QzD4BD1mGt" dmcf-ptype="general">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도 "각국이 자국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어마어마한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정책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변화된 상황에 맞춰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p> <p contents-hash="e2932668aae00a58d446a72f4fff9e11f80242c4a023a1501921da1cb29ca594" dmcf-pid="xqw8bwtst1" dmcf-ptype="general">앞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 오를 만한 의제를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 고문은 "방위비, 주한미군 역할 등 안보와 관련된 부분이 조만간 양국 정상회담 의제로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며 "여기에 더해 무역협상에서 모호했던 부분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했다.</p> <p contents-hash="afd3e34f738cf6abc2a141b856fab2805d12ce3e5dad4b180d34829a5a9444ce" dmcf-pid="yDBlrBo9X5" dmcf-ptype="general">김호빈 기자 hobin@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아내가 힘들어 너무 슬프다” 하니 양극성 장애?…챗GPT 똘똘하게 만들려면 08-05 다음 UFC 출신 남의철, 44세에 종합격투기 한일전 승리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