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달 궤도선 다누리 3년성과…달 극지방 물 추정 지도 완성 작성일 08-05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세계적 수준 자기장 정밀지도 작성… 철·알루미늄·칼슘 탐색<br>2027년까지 관측 수행 예정…항우연 KPDS로 데이터 공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dZKbBo9G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28902bf021c77116db9c8333f22a0274dd1b9903c74b4cb28913b7c571bb89a" dmcf-pid="fJ59Kbg2t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다누리를 통해 찍은 달 자기이상지역 라이너감마(왼쪽), 달 표면 특이 지형 (Ina) 촬영 영상.(우주항공청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2443240ecnp.jpg" data-org-width="609" dmcf-mid="27MkcAHEX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2443240ecn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다누리를 통해 찍은 달 자기이상지역 라이너감마(왼쪽), 달 표면 특이 지형 (Ina) 촬영 영상.(우주항공청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ffd212e6233c046f435505dad4e6f8220a5ac239ed9242969a11ff66110bcd6" dmcf-pid="4i129KaVYW"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의 3년간 임무를 통해 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달 극지방의 지도가 완성됐다</p> <p contents-hash="66b16b5ebbfc8a80b7305cdc20e1db08e933db17a3d9acbcf26605be65d24ffe" dmcf-pid="8ntV29Nf5y" dmcf-ptype="general">우주항공청은 다누리 발사 3주년을 맞이해 그간의 관측 성과를 5일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f01c6cb30617ab0b3f33bb9f22571256d0db0646e9e643167ef7ab30e5d85a9f" dmcf-pid="6LFfV2j41T" dmcf-ptype="general">발표 현장에는 다누리 및 과학 탑재체를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희대 연구자가 참여했다.</p> <p contents-hash="c862320f09ab462a80863ad6fc38f115e7ea475f2dd43c82063634e089f4df26" dmcf-pid="Pr9iJdCntv" dmcf-ptype="general">2022년 8월 5일 발사된 다누리는 성공적인 초기 임무에 이어 두 차례 임무를 연장, 2027년까지 더욱 활발한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올해 2월 19일에는 달로부터의 고도를 60km까지 낮춰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69b41de69e686377a5f2e51f08a8dc4bfe717f5448ab040aed1a83b94272ce45" dmcf-pid="Qm2niJhLtS" dmcf-ptype="general">오는 9월 24일에는 별도 연료 소비 없이 장기간 궤도 유지가 가능한 '동결궤도'로의 전이를 통해 관측 임무를 지속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173df3ab5da468478d81e9905e0e34c4249980612a6de5d3f21906300e9831fa" dmcf-pid="xsVLnilo1l" dmcf-ptype="general">현재 다누리의 광시야 편광카메라(PolCam)를 통해 달 전체 지도가 완성됐으며 달 표면 편광지도도 제작 중에 있다.</p> <p contents-hash="45be6e3884e1880f2641d1be9be956d12d9daca782f5f27778487a2edcc71049" dmcf-pid="y9I15Z8tYh" dmcf-ptype="general">다누리 내 감마선 분광기(KGRS)는 달 표면 전체의 자연방사성원소(우라늄, 토륨, 칼륨) 지도와 중성자 지도, 그리고 극지방의 물 추정 지도를 작성하는 데 쓰였다. 달 표면 주요 구성성분인 산소, 철, 알루미늄, 칼슘 등 주요 원소 지도도 제작 중에 있다.</p> <p contents-hash="acad8386dae11e092cfadb16093011d74bb98ee29939cdf9085d3e6a23d860e4" dmcf-pid="W2Ct156FYC" dmcf-ptype="general">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는 2032년 발사될 우리나라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 영상도 확보하고 있다. 후보지로는 라이너감마 지역, 섀클턴 크레이터 인근 지역 등이 있다. 관측된 영상은 향후 착륙지 선정 시 활용될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7fc0807431e9ba1bb852b1bed9a93b9c3681078691bffa10a5680a806f8f588e" dmcf-pid="YVhFt1P3HI" dmcf-ptype="general">자기장측정기(KMAG)는 자기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이지역 라이너감마를 중심으로 세계적 수준의 달 정밀 자기장 지도를 작성하는 데 쓰인다. 이를 바탕으로 우주환경, 다이나모 형성과 진화, 달 내부구조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p> <p contents-hash="a2c009e45446eb2faba6f60c34e826311720dcea14500bb2eba674e623679bc2" dmcf-pid="Gfl3FtQ0XO" dmcf-ptype="general">이 밖에도 탑재체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섀도캠(ShadowCam)은 국제적 관심지역이자 얼음 존재 가능성이 높은 달 남·북극의 영구음영지역 이미지 관측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p> <p contents-hash="d7c155e523079f9163335c54ce98084d7483a1ccc42b02788dffeb6b6ad35d5d" dmcf-pid="H4S03Fxp5s" dmcf-ptype="general">다누리 관측 자료는 항우연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개시스템인 'KPDS'를 통해 공개, 국내외 달 연구에 활발하게 활용된다. </p> <p contents-hash="9bbbe610167f587682da771bc2cb31b1842151eede7ecf52a1ef17ce76e31cba" dmcf-pid="X8vp03MU1m" dmcf-ptype="general">임무 연장을 통한 3년간의 관측 자료도 달 지형 및 환경, 자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인다. 현재까지 총 3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게재되는 등 다누리 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주도적인 연구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p> <p contents-hash="894df75149e2246896afb989badd82eb0adcbf1e1d0cd24f543f405618ef932b" dmcf-pid="ZGJrwD1mZr" dmcf-ptype="general">강경인 우주항공청 우주탐사부문장은 "다누리 데이터를 통해 국제 공동 연구 기반이 마련되고, 국내 연구자 역할도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e79349492beb503bf3057db0fdba98d02ffc44e373f5c340796a6b530a91ef3" dmcf-pid="5Himrwtstw"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다이나모<br>과거 달 내부에서 액체 철이 움직여 자기장이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이론.<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美이민 40대 "한국 싫어 기억 버렸는데…커밍아웃 후 교회서 쫓겨나"('물어보살') 08-05 다음 경륜경정총괄본부, 폭염 대비 특별 현장점검 시행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