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우주 간 韓 달궤도선 '다누리'…세계 최초 달 극지방 관측 작성일 08-05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우주항공청, 다누리 발사 3주년 맞아 관측 성과 발표<br>달 착륙선 후보지 탐색·달 전체 지도 완성 등 임무 수행</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eOeIOphZ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2102024c3899eb814b3a6fa8de5c28b3c59aff56dc6092baee1fa1c03e5892a" dmcf-pid="4dIdCIUlH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 상상도.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is/20250805120156661wslz.jpg" data-org-width="720" dmcf-mid="2fQFxQrR5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is/20250805120156661wsl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 상상도.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50ff3bb7f1279342b07c0528d7052803c24a3392af0ccc3baa8a58deccbe7af" dmcf-pid="8JCJhCuSYJ"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발사 이후 지난 3년 동안 달 지도 완성, 미래 한국의 달 착륙선 후보 지역 조사, 세계 최초의 달 극지방 이미지 관측 등의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1ff86b8e41c1ecc9119634150fc5becbc37bf81a991e6c37f3fa305ad854ccae" dmcf-pid="6ihilh7vHd" dmcf-ptype="general">우주항공청은 다누리 발사 3주년을 맞이해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청사에서 그간의 관측 성과를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5f88cb976018d63a0a33dffec59651b83c925b7f117c7e8b1d152925cde24a4d" dmcf-pid="PnlnSlzT5e" dmcf-ptype="general">이날 행사는 다누리 및 과학 탑재체를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희대학교 연구자가 참여해 다누리 운영을 통한 관측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p> <p contents-hash="c14c6b55f15239d6f522e3ef9d609cf07a60e0426f001d4366bcc68fc0d1d3cc" dmcf-pid="QLSLvSqyXR" dmcf-ptype="general">다누리는 지난 2022년 8월 5일 발사돼 올해 3주년을 맞이했다. 성공적인 초기 임무 수행에 이어 두 차례의 임무 연장을 통해 2027년까지 더욱 활발한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4eb4a053b2fa046095a0c2a6d04797554776fe3af2004155bbc0a9e722465e36" dmcf-pid="xovoTvBWZM" dmcf-ptype="general">올해 2월 19일부터는 고도를 60㎞까지 낮춰 달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오는 9월 24일에는 별도 연료 소비 없이 장기간 궤도 유지가 가능한 '동결궤도'로의 전이를 통해 관측 임무를 지속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d13ee0a49c2261e116ca40f6a61d235775c28e1cb1ce4625ad811172e453d0eb" dmcf-pid="ytPtQPwMHx" dmcf-ptype="general">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는 2032년에 발사될 우리나라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 지역들인 라이너 감마 지역, 섀클턴크레이터 인근 지역 등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고 있다. 이 영상들은 향후 착륙지 선정 시 관측 자료가 활용될 예정이다. 광시야 편광카메라는 달 전체 지도를 완성했으며 달 표면의 편광지도를 제작 중에 있다.<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29ef2792096c38160df056d4497992820309b4ed2bd37a68bba4279bcc3b0d" dmcf-pid="W4c4kcXDH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다누리가 광시야편광카메라를 활용해 올해 3월26일~11월30일에 거쳐 작성한 달 전체 지도.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is/20250805120156817dfrq.jpg" data-org-width="720" dmcf-mid="VoHcXHf5H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is/20250805120156817dfr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다누리가 광시야편광카메라를 활용해 올해 3월26일~11월30일에 거쳐 작성한 달 전체 지도.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91a6041aacef044f037b48685b492092ddd1bda07288e99864ddab400703c41" dmcf-pid="Y8k8EkZwHP" dmcf-ptype="general">감마선 분광기(KGRS)는 달 표면 전체에 대한 자연방사성원소(우라늄·토륨·칼륨) 지도와 중성자 지도, 극지방의 물 추정 지도를 작성했다. 지금은 달 표면 주요 구성성분인 산소, 철, 알루미늄, 칼슘 등 주요 원소 지도들을 제작 중이다. </p> <p contents-hash="54e6e3aea222c53db027db49ec986b1f72a0da7ac231a601bfe501f4a8f5007a" dmcf-pid="G6E6DE5rY6" dmcf-ptype="general">자기장측정기(KMAG)는 달 표면 자기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이지역인 라이너감마 지역 등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정밀 자기장 지도를 완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장 관측자료를 활용해 우주환경, 다이나모 형성과 진화, 달 내부구조 연구를 수행 중이다.</p> <p contents-hash="a0253347c7b4179d8028113f6281ab8b70eff13de528430e0eb83f9ffe19ada1" dmcf-pid="HPDPwD1m58" dmcf-ptype="general">미 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ShadowCam)은 국제적 관심지역이자 얼음 존재 가능성이 높은 달 남·북극의 영구음영지역에 대한 이미지 관측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p> <p contents-hash="b4dbc9efb45dc803faf12fc11fa75d70c05bd2c244a6993794b72d42e77669bd" dmcf-pid="XQwQrwts14" dmcf-ptype="general">이러한 다누리 관측 자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개시스템인 KPDS를 통해 공개되고 있으며, 국내외 달 관련 연구에 활발하게 활용 중이다.</p> <p contents-hash="eb5c43cac834bba7433d5416d383d5002d69d7b8be631b4cf28fd66ed2cc1062" dmcf-pid="ZxrxmrFO5f" dmcf-ptype="general">다누리의 임무 연장을 통한 3년간의 관측 자료는 달 지형 및 환경, 자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총 3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게재되는 등 다누리 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주도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p> <p contents-hash="1692884b704cd5297eb523d7d65f837a524fb980f4370a5ebab943b2c0eb883a" dmcf-pid="5MmMsm3IZV" dmcf-ptype="general">강경인 우주항공청 우주탐사부문장은 "다누리를 통해 확보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달 착륙선의 착륙지 선정, 달 환경에 대한 이해, 그리고 국제 공동 연구 기반 마련 등 국내 연구자들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누리의 임무 연장을 통해 확보한 과학적 성과를 활용해 우주탐사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b7a40ec4df0dee4c515f2646699d5f154ac414b754b7be0b85388f7b156c39e" dmcf-pid="1RsROs0CX2"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퀸 바다와 함께", "크 여왕님 오신다" 바다 뉴 싱글 예고에 댓글창 난리났다 08-05 다음 '전세계 2명' 나사 우주왕복선 女 사령관 한국서 특강 연다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