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통신 영세기업도 저렴하게 테스트…"UAM·위성사업 늘릴것" 작성일 08-05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송도 전파진흥협 IoT기술지원센터…지난해 652개 기업 지원<br>"자율로봇 5G 통신부터 극한환경 내구성까지 다양한 테스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BXTbBo9t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5bd94f17a573cbcff2735b16d8a2ea5a2fc769aea66ec7ce210def629e6bf2d" dmcf-pid="VbZyKbg2Z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 연수구 송도 전파산업클러스터에는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운영하는 IoT기술지원센터가 있다. 기지국 안테나 등의 주파수 이득, 방사 패턴을 측정하는 시설을 소개 중인 박세호 RAPA IoT기술지원센터장./뉴스1 ⓒNews1 윤주영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0208964pgri.jpg" data-org-width="1400" dmcf-mid="BYbTbBo9t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0208964pgr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 연수구 송도 전파산업클러스터에는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운영하는 IoT기술지원센터가 있다. 기지국 안테나 등의 주파수 이득, 방사 패턴을 측정하는 시설을 소개 중인 박세호 RAPA IoT기술지원센터장./뉴스1 ⓒNews1 윤주영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f58d94ad43d83920c79ca2cc631e30b38e4031b44dc8d96cb9a8ed0e2115070" dmcf-pid="fK5W9KaVGH" dmcf-ptype="general">(인천=뉴스1) 윤주영 기자 = 다양한 통신 장비의 신뢰성 검증을 돕는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위성통신, 도심항공교통(UAM) 등 신기술 분야까지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자력으로 시험환경을 구축하기 힘든 영세 부품기업도 폭넓게 돕겠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d6ed0ca28c7bea345a262378b3ebdb6bbe5762dc63e7aaa03121b9b141d3bc73" dmcf-pid="491Y29NfGG" dmcf-ptype="general">4일 방문한 RAPA 사물인터넷(IoT)기술지원센터에선 자동문 센서부터 사물인터넷(IoT) 근거리 통신까지 다양한 장비의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었다.</p> <p contents-hash="383abbc063b8ae6b95ca7405846f2cd8b3bbbe9b1a0a3f221262461aa441497f" dmcf-pid="83Ss03MU5Y" dmcf-ptype="general">인천 송도 전파산업클러스터에 자리한 센터는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R&D) 실증, 기업의 장비 신뢰성 검증 등을 지원한다. 원래 공공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운영을 맡았지만, 2023년 RAPA로 이관됐다. 민간 노하우로 서비스 전문성을 높이자는 취지다.</p> <p contents-hash="ce3e3ae7b6401f3b25dd6b2ffd5ccc1bda73e2c2057b99a6aff50cf21c848416" dmcf-pid="60vOp0RuHW" dmcf-ptype="general">실제 성과도 나고 있다. 지난해 약 3310건의 기술 지원이 있었으며, 도움을 받은 기업만 652곳이다.</p> <p contents-hash="375fa0fa2c2673124c67369d934d2dd2857a4092c75205dc7063c73110c0927f" dmcf-pid="PpTIUpe71y" dmcf-ptype="general">센터 내 여러 설비들은 전파환경 모사, 충격 테스트 등을 구현할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bab13afa23aaf736cfb4ff63f4b7f838a1029f0569ccf12a04f15d20c717c7" dmcf-pid="QUyCuUdzt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6286.5㎥(25.4x22.5x11m) 크기의 대형 전자파 차폐 챔버./뉴스1 ⓒNews1 윤주영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0210812kcha.jpg" data-org-width="1400" dmcf-mid="bNoeIOphX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0210812kch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6286.5㎥(25.4x22.5x11m) 크기의 대형 전자파 차폐 챔버./뉴스1 ⓒNews1 윤주영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112de748927301bf3cbe258621769e5ed532d8d8a2f74f5b285931e2eac2373" dmcf-pid="xuWh7uJqZv" dmcf-ptype="general">6286.5㎥(25.4x22.5x11m) 크기 대형 전자파 차폐 챔버가 대표적이다. 외부 전자파 유입이 차단되고, 내부 벽도 주파수 난반사를 막는 소재여서 안정된 실험이 가능하다. </p> <p contents-hash="5683055aeaed81c6a60d6089763682de2f809b962f1b8ac34b760810667919c8" dmcf-pid="ycM4kcXDHS" dmcf-ptype="general">5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 전자파가 라이다 부품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는 과정도 볼 수 있었다. 기지국 모사 장비가 가동하자 테스트용 라이다가 오동작을 일으켰다.</p> <p contents-hash="6ed25f1256b9164ab9d8000b10bf34561ee3191da4ac33496ebf71b3fc28a063" dmcf-pid="WkR8EkZw1l" dmcf-ptype="general">박세호 RAPA IoT기술지원센터장은 "빛으로 거리를 재는 라이다는 5G 기지국으로 인해 회로 간섭 등 문제를 겪는다"며 "자율주행차나 승강장 안전문 등 실생활에 밀접한 부품이다. 외부에서 오작동을 검증하는 건 위험하기 때문에, 이같은 내부시설서 테스트를 해보려는 업계 수요가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a10893d153a2fb5800d7c74cc83526ac3542753ff90e9b02d77129988e67682f" dmcf-pid="YEe6DE5rXh" dmcf-ptype="general">자율이동 로봇·드론 근거리 통신용 5G 특화망 등 첨단 장비의 검증도 가능하다. 지난달 LG유플러스(032640)는 퀄컴 테크날러지스·뉴젠스와 함께 5G 기반 경량 IoT 기술인 '레드캡'의 상용화에 필요한 단말 검증을 이 시설에서 진행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f832cb29b42d357cc410f29279b63f6d247d1e2a42d74fe91debca4df3960a2" dmcf-pid="GDdPwD1m5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극한환경에서 제품 수명을 시험해볼 수 있는 복합진동시험기./뉴스1 ⓒNews1 윤주영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0212388svtp.jpg" data-org-width="1400" dmcf-mid="9H0Z84kPY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WS1/20250805120212388svt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극한환경에서 제품 수명을 시험해볼 수 있는 복합진동시험기./뉴스1 ⓒNews1 윤주영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d1bdf3798512cfab4a086426cd6a7967ebe672cc7211012aefae26f10d3d8bd" dmcf-pid="HwJQrwtsZI" dmcf-ptype="general">영하 70도부터 영상 300도에 이르는 극한 온도, 습도, 충격 등 거친 환경에서 제품 수명을 시험하는 장비들도 있다. </p> <p contents-hash="91db5a86f09f79d7a2b8962d84dc50a49d93b58a4c816fc09ba6149ecdb6f7e8" dmcf-pid="XrixmrFOGO" dmcf-ptype="general">박 센터장은 "저렴해도 수억 원이 드는 장비들"이라며 "과기정통부 지원을 받아 여건이 안되는 중소기업에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d9d1f2e8bbe02a88fd09eb71e1a301071e1328c03cf329492978331d29915cd" dmcf-pid="ZWDNYW9HZs" dmcf-ptype="general">이밖에도 센터는 5G 28Ghz 대역 안테나의 주파수(RF) 모듈 검증, 6G 커버리지를 넓히는 지능형 표면(RIS) 등 R&D를 지원했다.</p> <p contents-hash="0c204a5f247d4de9275c3dc67a030d21d8626d833d2e5ae0006347c5bc925db0" dmcf-pid="5YwjGY2XGm" dmcf-ptype="general">양용열 RAPA 사무총장은 "센터 재원 절반을 차지하는 정부 예산이 지난해보다 줄어 아쉬운 측면은 있다"면서도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자체 사업을 전개하려 한다. UAM, 국방위성 안테나 등 군 사업, 도로·철도공사 한전 등 공공기관과의 신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8c346f49714a37515333415e4b967349567266bce24300b12d10eaefae0c507" dmcf-pid="1GrAHGVZ1r"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IoT<br>사물인터넷(IoT)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센서,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연결이 내장된 물리적 장치, 차량, 가전 제품 및 기타 물리적 객체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br><br>■ 라이다<br>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근적외광·가시광·자외선 등을 사용해 대상물에 빛을 비추고, 그 반사광을 센서를 통해 검출해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세계 2명' 나사 우주왕복선 女 사령관 한국서 특강 연다 08-05 다음 中企 장치 성능 검증하고, 이통사 미래통신 실증···전파진흥협회 송도 시설 가보니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