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에 강한 고성능·친환경 소재 나온다 작성일 08-05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전기전자·항공·소방 등에 적용할 수 있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kEdCIUlSW"> <p contents-hash="32e39d95a4228327f5fcf4ad723e2f7f9b2bf6daa1fe2631c9e8f5cae56506e3" dmcf-pid="bEDJhCuSSy"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국내 연구팀이 전자기기, 소방장비, 항공우주 부품, 의료용 투명 소재 등 고안전성과 경량화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고성능 친환경 난연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p> <p contents-hash="224eaa5e5743806a35e3893658dd8ddcde7b3ce09166f9d5c80d9d3ac069d8c1" dmcf-pid="KLo8EkZwvT" dmcf-ptype="general">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박제영 교수(서강대)와 오동엽 교수(인하대), 전현열·박슬아 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이 고성능 플라스틱 폴리설폰(PSU)과 내열성 아라미드 나노섬유(ANF)를 결합해 난연성과 기계적 성능을 동시에 개선한 투명 나노복합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5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dac4cad416b51bf5bde9b4a90f91e1035f69b75d9371323967f125ff75e0abcf" dmcf-pid="9og6DE5rWv" dmcf-ptype="general">폴리설폰(PSU)은 고성능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내열성과 투명성이 우수해 대표적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열과 충격에 매우 강한 플라스틱)으로 구분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db073da76595bddf765983efe86d03f2966e1bf900a68ab1859b32148c66ba" dmcf-pid="2gaPwD1mv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 연구팀이 화재에 강하고 친환경적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사진=한국연구재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37826zjjq.jpg" data-org-width="580" dmcf-mid="qbqX4fc6C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37826zjj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 연구팀이 화재에 강하고 친환경적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사진=한국연구재단]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df0dc453c4ed853e0b9f60b5c3f3511837eb4c415728ef8e89d742874eb205a" dmcf-pid="VaNQrwtsSl" dmcf-ptype="general">충격 저항성과 난연성이 부족해 소방장비나 전자기기 등 화염에 노출되는 고위험 환경에서는 사용이 제약되는 한계가 있다.</p> <p contents-hash="5881eb43af6efe76c6390b0f992614a36831a603f6b4b2609782b1c1214f4485" dmcf-pid="fNjxmrFOyh"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폴리설폰(PSU)이 중합되는 용매와 아라미드 나노섬유(ANF)를 분산시키는 용매가 같다는 점에 착안해 두 소재를 하나의 공정으로 융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ef3e42c7b3b31a8dc2010bda0c37bbe0d005d89e4bfe161bfcaf5125e8a4f5c7" dmcf-pid="4jAMsm3IWC" dmcf-ptype="general">마스터배치(고농도의 사전혼합물) 방식을 활용해 나노섬유의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고 기존 공법의 분산성 문제와 복잡한 공정 단계를 개선했다.</p> <p contents-hash="12a260481ede7f03b7c3fb3ca9ae043201ed17784863f95e026e0c5f02ce4047" dmcf-pid="8AcROs0CSI" dmcf-ptype="general">단 0.04 중량퍼센트(wt%)의 아라미드 나노섬유를 포함한 복합소재는 실험 결과 기존 폴리설폰(PSU) 대비 인성(toughness) 수치가 2.4배 높아졌고 투명성 유지율도 87% 이상으로 확인됐다.</p> <p contents-hash="cb815bc5445448b579e0a1f0a1baafbf363241e55f45cb4e73096bb6fc8d8ebe" dmcf-pid="6ckeIOphSO" dmcf-ptype="general">난연성의 척도인 산소지수(LOI, 값이 높을수록 난연성이 우수)는 31.5를 달성했으며 가장 높은 난연등급인 UL94 V-0을 달성해 전기·전자 부품, 고온 환경 산업용 소재로도 직접 활용이 가능하다.</p> <p contents-hash="cc46f554e67cffb2779f72f199e6970449142f67cf61b29bb679e08c6166de5e" dmcf-pid="PkEdCIUlys" dmcf-ptype="general">실제 화재 조건을 모사한 콘-칼로리미터 실험에서 불이 붙지 않았으며 1300도씨의 화염에 노출해 불을 붙여도 화염을 제거하면 3초 이내에 바로 불이 꺼졌다.</p> <p contents-hash="2844f0c01f4b8500d69f5654f0b5865d26bfebf5834d6fbcdf814fc297189db3" dmcf-pid="QEDJhCuSSm" dmcf-ptype="general">박제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난연제를 쓰지 않고도 초소량의 아라미드 나노섬유만으로 투명성, 기계적 강도, 난연성을 동시에 확보해 고기능성 친환경 복합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며 “후속연구를 통해 아라미드 나노섬유의 난연효과를 다른 플라스틱으로 확장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a8f2a106f02605cd508fe476d937853c5fc4ed74d1bfcb602042ca8f24b01ee" dmcf-pid="xQxqLnSgvr" dmcf-ptype="general">연구 성과(논문명: High-performance transparent polysulfone nanocomposites enhanced with masterbatch-based aramid nanofibers for improved toughness and flame retardancy)는 국제학술지 ‘고급 복합소재와 하이브리드 소재(Advanced Composites and Hybrid Materials)’ 8월호에 실렸다.</p> <address contents-hash="d35d8fc2c7d9c0918211c0e8f7118ea80aeef3a5794da35e80c582d756910d40" dmcf-pid="yTyD156FCw"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게 동굴이야, 시험실이야"…전파진흥協 기술지원센터 가보니 08-05 다음 "5G도, 6G도 극한의 테스트로 성능 검증"⋯RAPA IoT기술지원센터 가보니 [르포]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