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도, 6G도 극한의 테스트로 성능 검증"⋯RAPA IoT기술지원센터 가보니 [르포] 작성일 08-05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IoT 단말·부품 기업에 통신사 규격 기반 실험·검증 환경 제공<br>2024년 652개 기업·총 3310건 기술 지원⋯신사업 추진 준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UMCuUdzWR"> <p contents-hash="5048bfa0ef981192b3e72408c20fd0790718d32c6ac4d696595e612335bf16d2" dmcf-pid="q7elz7iBCM"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안테나 성능 측정 같은 경우 수도권에서는 저희만 챔버(Chamber, 특정한 시험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해 기기의 성능을 정밀하게 평가하는 밀폐된 공간)를 보유하고 있다. 이동통신사에 납품되는 IoT(사물인터넷) 단말에 대한 성능 검증의 경우 저희가 유일하다."</p> <p contents-hash="a49c2218e49328f2a809a5fc38b060c751cfe5f52cf2589f149de9a699afe8e5" dmcf-pid="BzdSqznblx" dmcf-ptype="general">4일 박세호 한국전자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 IoT기술지원센터장은 취재진과 만나 IoT기술지원센터에 대해 이같이 소개했다. IoT 단말·부품 중소기업에 통신사 규격 기반 실험·검증 환경을 제공하는 핵심 시설이라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5G‑어드밴스드, 6G, 레드캡 기술 등 차세대 통신 검증 분야에서도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5e4cce58bac8484e3ca13b7c39ed9e85dafe918362e9d579ff038441b4859c" dmcf-pid="bqJvBqLKW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4일 박세호 한국전자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 IoT기술지원센터장이 센터 시험동 내 위치한 25m 대형 전자파 차폐실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모습. 25m급 챔버는 고출력·대형 기기까지 시험할 수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공인 시험 인프라다. [사진=안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40918irwb.jpg" data-org-width="580" dmcf-mid="UtD3MxmeT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40918irw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4일 박세호 한국전자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 IoT기술지원센터장이 센터 시험동 내 위치한 25m 대형 전자파 차폐실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모습. 25m급 챔버는 고출력·대형 기기까지 시험할 수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공인 시험 인프라다. [사진=안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dc0449b75889d58a2c3817c182b7fd63d5d007fb3dd2920dff61bb5fbb69fe88" dmcf-pid="KBiTbBo9vP" dmcf-ptype="h3">IoT기술지원센터, 무선성능 측정·신뢰성 시험 장비·차폐공간 모두 갖춰</h3> <p contents-hash="520c2b8095ba0160c07ff8e12ce1ca3487394f3a7b57486cf51c3c7871f14e12" dmcf-pid="9bnyKbg2T6" dmcf-ptype="general">인천 연수구 송도에 위치한 이곳은 크게 본관동, 시험동, 복지관, 기숙사 등으로 구성된다. 챔버 등 시험실이 위치한 시험동이 7816㎡(제곱미터) 면적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무선성능 측정·신뢰성 시험 장비와 전자파 차폐공간 등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신뢰성 시험 장비의 경우 온습도 시험, 열충격 시험, 기계적 시험, 특수환경 시험, 전기적 시험 등 시설을 모두 갖췄다.</p> <p contents-hash="5623c8539c55f8fcd94aa3c18b0dc57bc98a796eb962b9d835d4e4deae5707e0" dmcf-pid="2KLW9KaVv8" dmcf-ptype="general">시험동에는 25m 대형 전자파 차폐실(25.4mⅹ22.5mⅹ11m)이 마련돼 있다. 일반적인 3m 규모 챔버를 압도하는 규모다. 고출력 장비나 대형 IoT, 특수무선기기 등을 대상으로 한 시험이 가능하다. 이곳에는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5G 기지국도 설치돼 있었다. 박 센터장은 "실제 현장에서 검증을 하기에는 안전이라든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모사를 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00e87990cf3335d7be193b2a28d6ef536d604f7de36ed0a78de2833a5fd9703" dmcf-pid="V9oY29Nfv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5m 대형 전자파 차폐실의 벽면 구조 모습. [사진=안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42207smsf.jpg" data-org-width="580" dmcf-mid="uFbjGY2XC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42207sms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5m 대형 전자파 차폐실의 벽면 구조 모습. [사진=안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2f992df5f39b6603c307d8990fb776eba8408c38b31e6342ad485788efff2446" dmcf-pid="f2gGV2j4vf" dmcf-ptype="h3">5G 어드밴스드 및 6G 테스트랩 운영⋯자유로운 개발·검증 환경 제공</h3> <p contents-hash="33a9dedf968dfd3f653a7b591171dc58c4acf92d84566408d89ced3927d3ba35" dmcf-pid="4VaHfVA8WV" dmcf-ptype="general">차폐실 벽면을 살펴보니 두꺼운 쇠와 피라미드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이 눈길을 끌었다. 그 위를 흰색 배경의 플라스틱이 덮고 있는 모습이었다. 박 센터장은 "외부에서 들어 오거나 내부에서 나가는 신호는 철판이 차단한다. 내부에서 시험할 때 철제 구조물에 의해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파 흡수체(피라미드 모양)를 설치한 것"이라고 말했다. 흰색 플라스틱은 전파 흡수체의 파손을 막는 보호 장비라고 한다.</p> <p contents-hash="201890989fe538bb4784b911c28ae32735bbab22684858a7fd8c1f1d4c896633" dmcf-pid="8fNX4fc6W2" dmcf-ptype="general">센터는 차세대 통신 검증 분야에서도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5G 어드밴스드 및 6G 테스트랩이 대표적이다. 이곳은 5G 어드밴스드 및 6G 분야의 안테나·모듈의 개념검증(PoC)이 필요하거나, 사업화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주요 대상이다. 센터는 여러 기업들이 자유롭게 개발하고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p> <h3 contents-hash="97bc52f2832d80d4faa21b67245f0dfa588c4a390005f4a92e68748038e59d25" dmcf-pid="6PktQPwMl9" dmcf-ptype="h3">"도로공사 등 여러 공사와 협력해 부가적인 신사업 추진"</h3> <p contents-hash="d2b03fc83bf291dd72c6d1ada0131190ece31c235048869674ebbe40e5f45a79" dmcf-pid="PQEFxQrRvK" dmcf-ptype="general">RAPA는 글로벌 계측기기 기업인 안리쓰(Anritsu)와 협력해 이곳 테스트랩을 꾸렸다. 박 센터장은 "기존에는 통신 품질 검증을 주로 이동통신사 자체적인 랩에서 했었다. 업체들이 자유롭게 사용하기 어려워서 오픈 랩 형식으로 통신사와 MOU를 맺고 구축을 하게 됐다"며 "자유롭게 시험을 하면서 제품이 통과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03d7482a2427d3a6b9aab0de6533af7ce9d4b316ee4f8520c9f6d60f3cae607a" dmcf-pid="QxD3MxmeTb" dmcf-ptype="general">센터에서는 통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시험하는 공간들도 마련돼 있다. 예컨대 신뢰성 기계적 시험실의 경우 운송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낙하 상황 등에서 제품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을 진행한다.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적인 영향으로부터 제품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신뢰성 환경 시험실 등 다수의 시설을 갖췄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3823ad85b43a947b7ce20f475ee7c0ee054e0c8c14e7de408bc2dd28f9c3df4" dmcf-pid="xMw0RMsdh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4일 박세호 한국전자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 IoT기술지원센터장이 센터 내 위치한 5G 어드밴스드 및 6G 테스트랩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이곳에서는 기업체에서 개발한 5G FR3 및 6G 분야의 안테나/단말/모듈의 개념검증을 비롯한 무선공존 실증 환경 지원, 기술동향 세미나 등 전문교육 등이 진행된다. [사진=안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43506rcvm.jpg" data-org-width="580" dmcf-mid="7uv9NaWAS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inews24/20250805120243506rcv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4일 박세호 한국전자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 IoT기술지원센터장이 센터 내 위치한 5G 어드밴스드 및 6G 테스트랩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이곳에서는 기업체에서 개발한 5G FR3 및 6G 분야의 안테나/단말/모듈의 개념검증을 비롯한 무선공존 실증 환경 지원, 기술동향 세미나 등 전문교육 등이 진행된다. [사진=안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3e14807e9add169e17208eac054833a3190567413878ad943ff98d8fc3cd92" dmcf-pid="yWBNYW9Hhq" dmcf-ptype="general">박 센터장에 따르면 센터는 2024년 기준 652개 기업에 총 3310건의 기술 지원을 완료했다. 다만 센터의 예산은 작년보다 줄은 상황이다. 양용열 RAPA 사무총장은 "협회 차원에서 도로공사나 철도공사 등 여러 공사와 협력해 부가적인 신사업을 추진하고자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p> <address contents-hash="7b6386b7721f316f36c9bae7f85643b38e98fb551cd8778c9b054a40140c0885" dmcf-pid="WYbjGY2Xyz" dmcf-ptype="general">/안세준 기자<span>(nocount-jun@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화재에 강한 고성능·친환경 소재 나온다 08-05 다음 韓 첫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3주년…달 연구 새 지평 열었다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