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첫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3주년…달 연구 새 지평 열었다 작성일 08-05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nYJhCuSI0">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495600e29147c815ce1914f8f0531f747cff4c0ddfd095bcf653d12267c9bc8" dmcf-pid="FLGilh7vO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다누리에 탑재된 광시야 편광 카메라를 통해 관측한 영상으로 작성한 달 전면지도. (우주청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20302089duwd.png" data-org-width="700" dmcf-mid="1nw9NaWAw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20302089duwd.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다누리에 탑재된 광시야 편광 카메라를 통해 관측한 영상으로 작성한 달 전면지도. (우주청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3021fea527e64e0551a4ae823da12df605dfe2ab35fe679c1063fdacc363b4a" dmcf-pid="3IBs03MUsF" dmcf-ptype="general">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가 올해로 발사 3주년을 맞았다. 그동안 관측 자료는 달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30편 이상 국내외 학술 논문이 게재되는 등 다누리 관측 성과를 활용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주도적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p> <p contents-hash="53e609e9666526e83a65842e3fc6f9f483e35740f7bdabb62696d4ab943594b5" dmcf-pid="0CbOp0Rumt" dmcf-ptype="general">우주항공청은 5일 다누리 발사 3주년을 맞아 그간의 관측 성과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8319c5ff1a398f1f3aa29a912defb31421151dd3a4c71fcc4c96e5c641dd8127" dmcf-pid="phKIUpe7E1" dmcf-ptype="general">성과 발표 행사는 다누리 및 과학 탑재체를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희대 등이 참여했다.</p> <p contents-hash="17f1a1edb0833a8ec62dc6897de6a7dfd6ea736279c27f7a1f083fede2fc0cd7" dmcf-pid="Ul9CuUdzw5" dmcf-ptype="general">2022년 8월 5일 발사된 다누리는 초기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뒤 총 두 차례 임무 연장을 통해 2027년까지 운영 예정이다. 앞서 2월에는 임무 고도를 60㎞까지 낮춰 달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이어 9월부터는 별도 연료 소비 없이 장기간 궤도 유지가 가능한 동결궤도로 전이를 통해 관측 임무를 지속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a9911ca3341fd970ae69d58a68d405fbd09122a5bdff993ad54f768528dfeb3" dmcf-pid="uS2h7uJqEZ" dmcf-ptype="general">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는 2032년 발사 예정인 우리나라 첫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 지역 영상을 확보하고 있다. 라이너감마(Reiner Gamma) 지역, 섀클턴 크레이터(Shackleton Crater) 인근 지역 등 향후 착륙지 선정 시 관측 자료가 활용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25e1c6f9ed12e1cd200586bdf28d58d52391acbfcea19351c49b43ecedd196b3" dmcf-pid="7vVlz7iBsX" dmcf-ptype="general">광시야 편광카메라는 달 전체 지도를 완성했다. 가시광에서의 달 전면지도 작성은 미국, 일본, 중국에 이어 세계 4번째다. 이어 달 표면 편광지도를 제작하고 있다.</p> <p contents-hash="27c4fd589cda9d2b93bc80cbf793e682fe2f0c51ad619129557ab762b664e3a2" dmcf-pid="zTfSqznbwH" dmcf-ptype="general">감마선 분광기를 활용한 달 표면 전체에 대한 자연방사성원소 지도와 중성자 지도, 극지방의 물 추정 지도도 제작을 완료했다. 달 표면 주요 구성성분인 산소, 철, 알루미늄, 칼슘 등 주요 원소 지도 또한 다누리 임무 수행 기간 제작 예정이다.</p> <p contents-hash="5653083e49a39afd613de3349942a4ba5ade43c552787afa1e05a9a3c487a1e8" dmcf-pid="qy4vBqLKsG" dmcf-ptype="general">자기장측정기(KMAG)는 달 표면 자기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이지역인 라이너감마 지역 등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정밀 자기장 지도를 완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장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우주환경, 다이나모 형성과 진화, 달 내부구조 연구를 수행 중이다.</p> <p contents-hash="bd633d740afa95fbe585cd2dfdfc426ef5c3b18956fb991c202286a793d23bb2" dmcf-pid="BW8TbBo9rY" dmcf-ptype="general">또 다누리에 탑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 섀도캠은 국제적 관심 지역이자 얼음 존재 가능성이 높은 달 남·북극 영구음영지역에 대한 이미지 관측을 세계 최초로 성공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e0cf95a68676e1a947d8ada1ebe44fd99f632de6be69ac091325856fb4a7d378" dmcf-pid="bY6yKbg2IW" dmcf-ptype="general">이러한 다누리 관측 자료는 항우연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개시스템인 KPDS를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국내외 달 관련 연구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p> <p contents-hash="b70a729eeacd3ebbaf2dd9715368b9ef7071e3e50480ee7eb6340416a84d83fd" dmcf-pid="KGPW9KaVEy" dmcf-ptype="general">강경인 우주청 우주탐사부문장은 “다누리를 통해 확보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달 착륙선 착륙지 선정, 달 환경에 대한 이해, 그리고 국제 공동연구 기반 마련 등 국내 연구자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누리 임무 연장을 통해 확보한 과학적 성과를 활용해 우주탐사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68ff8111c688ee9a5ae988c530806fd3cbad1244bd0ca6f05136352757a230a" dmcf-pid="9HQY29NfET" dmcf-ptype="general">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5G도, 6G도 극한의 테스트로 성능 검증"⋯RAPA IoT기술지원센터 가보니 [르포] 08-05 다음 스마트폰도 안테나도 이곳 거친다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