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엘피, 산화물 TFT 기반 플렉시블 마이크로 LED 개발 작성일 08-05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cZ34fc6r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f7f17fe936bba04a9d3948a87d4d9571514457810e883fdb21f7e0197fd313b" dmcf-pid="P6wI156FI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내부 화질보상 회로를 적용해 산화물TFT 기반 마이크로 LED 패널을 점등한 모습. 〈사진 이엘피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13257793pylv.png" data-org-width="700" dmcf-mid="8sY59KaVs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etimesi/20250805113257793pyl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내부 화질보상 회로를 적용해 산화물TFT 기반 마이크로 LED 패널을 점등한 모습. 〈사진 이엘피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40e017525d0aa69d9bf6046cf841c203a1c3c80506d96e4b5ffb2414d96b9ad" dmcf-pid="QPrCt1P3wh"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꼽히는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패널을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TFT) 기반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b0d9f3c6f5eb9ae2458bb135b59ea5f2671c0f8013b471c6c69677db55eb1a7b" dmcf-pid="xQmhFtQ0IC" dmcf-ptype="general">이엘피는 성균관대·서울대·한양대·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광기술원 등과 함께 이같은 패널을 제작했다고 5일 밝혔다. 플렉시블 기판에 산화물 TFT만으로 마이크로 LED의 능동 구동을 구현한 건 처음이다.</p> <p contents-hash="3c23a2ceac1513f0c51a2fa076e21904379b94d0e1f4551c49ba545229b71711" dmcf-pid="yTK4goTNmI" dmcf-ptype="general">기존 LED는 주로 TFT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 구동 방식을 적용해왔지만, 이엘피와 연구진은 TFT를 활용한 능동 구동 방식을 적용해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65bec12a30e1a5fb1f580fea2969517e4118046b696631d6479ab8848e901084" dmcf-pid="Wy98agyjmO" dmcf-ptype="general">능동 구동 방식은 각 화소마다 TFT를 배치해 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적·녹·청(RGB)을 각각 구동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낮고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유리하다. 크로스토크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색상 왜곡 차단, 발열 개선 등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산화물 TFT를 적용해 누설전류가 적어 소비 전력이 낮기 때문에 대면적 공정에 용이하다. 또 저온다결정실리콘산화물(LTPO) 대비 공정이 적어 비용 소모가 작다.</p> <p contents-hash="380f21e936dfda8f06c4ac97fd828829089816f1d6cc4946fc902a476aa59d4d" dmcf-pid="YW26NaWArs" dmcf-ptype="general">제작한 소자는 전자이동도가 30㎠/V·s 이상으로, 일반적인 산화물 TFT(10㎠/V·s)보다 3배 이상 빠르다. 전자이동도가 빠를수록 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타일형 확장 및 대면적 마이크로 LED TV 상용화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eade2ca4067f40605988661e611cfdc50da9f2f40c33a6081e745a0b2742230" dmcf-pid="GYVPjNYcOm" dmcf-ptype="general">이번 개발은 2021년부터 진행된 산업통상자원부의 '초대형 마이크로 LED 모듈러 디스플레이 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p> <p contents-hash="dfe3bb99e458f3d1ee84dbb5bb0bfd773dc3f1c1f250fbda8a05d1c2a9bce644" dmcf-pid="HGfQAjGkIr" dmcf-ptype="general">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임신 7개월' 이시영, 美 한달살이 끝 "韓서 본격 출산 준비" 08-05 다음 [공식] '보플2' 광탈한 유명 연습생, 트리플에스 소속사 '줍줍' 당했다…초대형 보이그룹 데뷔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