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강한 기술력으로 뭉친 '국가대표 AI' 세계 겨눈다 작성일 08-05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5개사 강점 들여다보니…</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6MF2gyjXB"> <p contents-hash="3811d76abdacf7c9957cfc01d3daddd6013a9097fa42dd58bb0690e2065b6717" dmcf-pid="fUqlt8EQ5q" dmcf-ptype="general"> 국가대표 AI(인공지능) 진영이 모습을 드러냈다.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총 5개팀이다. 이들은 'K-AI모델' 'K-AI기업' 명칭을 부여받는다. </p> <p contents-hash="ac37358d487f57c07f79ae3bb012814dc73ec1a27859ff273c4eeddc1cfead95" dmcf-pid="4uBSF6DxXz" dmcf-ptype="general">네이버클라우드(이하 네이버)와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업스테이지는 뛰어난 기술력으로 입소문이 난 기업이다. 게임 '리니지' 개발사로만 알았던 엔씨소프트 AI(이하 NC)는 14년 내공을 입증했고 자본력을 앞세운 SK텔레콤은 화려한 진영까지 꾸려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p> <p contents-hash="41e5a71eab829b68be39a67ea2de6e8a350a0109fe6fee029a4f0e99d2543a5c" dmcf-pid="87bv3PwMZ7" dmcf-ptype="general">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서 5개 정예팀을 선정했다. 다양한 평가항목 중 '프롬스크래치' 단계부터 개발이 가능한 기술력, 실제 서비스 경험, AI 서비스 확산 가능성 등을 집중적으로 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개발한 AI모델은 빠르면 올 연말 '대국민 콘테스트'를 통해 공개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cf13c8ba6221733fe407af07363732f89eaf27255e351f7f60bc689a3840156" dmcf-pid="6zKT0QrRX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 일정 및 지원 규모/그래픽=김지영"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moneytoday/20250805050148615tnnc.jpg" data-org-width="320" dmcf-mid="8t1ViIUlt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moneytoday/20250805050148615tnn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 일정 및 지원 규모/그래픽=김지영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f3012f83957cb94a0047a5a0c46cb905d70e229e6349adbb12bbc98413331cf" dmcf-pid="Pq9ypxmeYU" dmcf-ptype="general"><strong>◇떡잎부터 달랐다…강력한 K-AI 후보 네이버·LG=</strong>네이버와 LG는 국가대표 AI 선발전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혔다. </p> <p contents-hash="11b0b74391603c9fba167e0de03b2c3d8d2e8cb2325d96d6dba4a19e00a7d365" dmcf-pid="QB2WUMsd1p" dmcf-ptype="general">자체 AI인 '엑사원 3.5(EXAONE)'가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의 올해 '주목할 만한 AI모델'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선정된 LG AI연구원은 과기정통부 수장인 배경훈 장관을 배출한 곳이다. </p> <p contents-hash="d315de9a450e7cbaf44692be791ba9965f41b627703500488a0eac6ece497f28" dmcf-pid="xbVYuROJG0" dmcf-ptype="general">LG팀은 기술력이 상당한 만큼 전문성·범용성을 모두 갖춘 고성능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목표로 삼았고 다양한 산업현장의 AX(AI전환)를 이끈다는 포부다. </p> <p contents-hash="b5a5a82e13f51bd141a621532fca0510c7f89804509661d6169e3561e9aebb1b" dmcf-pid="yrIRcY2Xt3"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현 정부의 AI산업을 진두지휘할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을 배출한 기업답게 국내에서 유일하게 AI기술 개발부터 서비스 구현까지 전과정을 자체기술로 수행할 수 있는 'AI 풀스택'을 갖췄다. 자체개발한 LLM(거대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는 물론 데이터센터·클라우드인프라·AI플랫폼을 갖추고 검색, 커머스, 블로그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접목해 파급력 측면도 인정받았다. </p> <p contents-hash="da5bbec7bdb2c357e4414e745edbdbd40e987478cbeab78ffc8b541a106ec51d" dmcf-pid="WmCekGVZXF" dmcf-ptype="general">네이버팀은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이종데이터를 통합이해·생성하는 '옴니(Omni) 파운데이션' 모델을 선보인다. 또 플랫폼의 강점을 앞세워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유통할 수 있게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도 운영한다. </p> <p contents-hash="07afd45a7170a64c51e1b2219d053fb77612f8a3e38f5a55dc443c663524fe6a" dmcf-pid="YshdEHf5Yt" dmcf-ptype="general"><strong>◇NC AI, 14년 기술력 입증…막대한 자금력·화려한 개발진의 SKT=</strong>SK텔레콤은 자본력을 앞세운 화려한 연합군과 통신사 B2C(기업-소비자간 거래) 서비스에 기반한 국민 AI 접근성이 돋보인다.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이 함께 '포스트-트랜스포머 AI'를 선보인다는 각오다. 1000만명이 쓰는 SK텔레콤 통신 에이전트 '에이닷'에 '라이너', 모빌리티 AI '포티투닷' 등이 연합했다. 총 프로젝트 인력의 80% 이상을 석박사로 꾸렸고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대규모 자원을 자체조달할 계획이다. </p> <p contents-hash="7b85ef973a51067731b147e8074218854d13d7b8c0e67e1293b380457a877951" dmcf-pid="GOlJDX41H1" dmcf-ptype="general">게임회사가 주도한 NC AI 연합의 선전은 이번 정예팀 선정에서 의외의 장면이다. 엔씨소프트는 2011년부터 별도 조직을 두고 14년간 AI 연구를 지속한 내공 있는 기업으로 올 초 AI 조직이 분사해 NC AI가 되면서 존재감이 부각됐다. NC AI는 미디어에 적용되는 감정형 음성합성기술, 게임 시나리오 기반의 NLP(자연어처리), 얼굴모션 애니메이션 처리, 3D(3차원) 비전 기반 로보틱스 연구에 강점이 있다. 여기에 산학연 등 54개 기업·기관과 컨소시엄을 꾸렸다. NC는 글로벌 게임유저들이 인정한 LLM '바르코' 모델을 바탕으로 200B(매개변수 2000억개)급 독자 대규모 언어 파운데이션 모델 패키지와 제조·유통·로봇·콘텐츠 등 산업특화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p> <p contents-hash="d06529d6853bb679f8473772b70e14f440d68fa878d4d18be0303658470d7353" dmcf-pid="HISiwZ8tt5" dmcf-ptype="general">중소기업 중 유일하게 선정돼 눈길을 끈 업스테이지는 벤처기업 할당 없이 기술력만으로 5개사에 들었다.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솔라)을 개발한 경험과 금융, 법률, 의료, 제조, 국방 등 분야의 스타트업이 함께 참여한다는 점에서 확장성도 인정받았다. 글로벌 프런티어 파운데이션 모델 '솔라 WBL'을 개발, 3년간 10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달성하겠다고 밝힌 것이 특이점이다.</p> <p contents-hash="6080c5d9f6afcd246fda93be0295f40a112022d9850d6f5badd22aa73c8e19b1" dmcf-pid="XCvnr56F1Z"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우리 데이터와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만든 구조, 오픈소스 여부 등을 우선적으로 봤다"며 "이번에 탈락한 기업들이나 처음 접수한 팀도 추가 다른 사업을 기획해서라도 지원하려고 한다"고 밝혔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82d11452e3cf7dec2dd28d9e04aafe5a28660e636d70db0b49aa56389cd5775" dmcf-pid="Zpzh14kP1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5개 정예팀/그래픽=윤선정"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moneytoday/20250805050149877drfu.jpg" data-org-width="680" dmcf-mid="2DKT0QrRZ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moneytoday/20250805050149877drf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5개 정예팀/그래픽=윤선정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a85ee5d99cb81cda9af9114775a38308f4fa76ec99c76ee65db8e966475d767" dmcf-pid="5Uqlt8EQ5H" dmcf-ptype="general">김소연 기자 nicksy@mt.co.kr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트렌드줌인] 'AI 잘 쓰면 채용' 하반기 채용 확대 나선 스타트업들 08-05 다음 [사이테크+] "거대 육식공룡 무는 힘 천차만별…최강은 티라노사우루스"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