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네이버 ②LG ③SKT ④엔씨 ⑤업스테이지 …'국가대표 AI' 후보 5곳 선발 작성일 08-04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부 주도 'AI플랫폼 모델' 개발 참여기업 선정<br>GPU·데이터·인재 등 지원<br>2년 내로 최종 2개팀 확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RxKEfc6l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3e0391d67e9bacf58004356543555d22c362b18b76d15bfc33cfe7eac6b7393" dmcf-pid="tU0YPZ8tv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mk/20250804175408195iyur.jpg" data-org-width="300" dmcf-mid="5XYOBlzTl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mk/20250804175408195iyur.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038f5e23cea057c7a2b6ba0ca610dd7718a15ae171f98e9ca1518bd14b6e450" dmcf-pid="FupGQ56Fhe" dmcf-ptype="general">한국을 대표할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정예팀 5곳이 최종 선정됐다. </p> <p contents-hash="34bc87481e558ad55a545ab6145d47762a67d7261731581a5239932db660825d" dmcf-pid="37UHx1P3lR" dmcf-ptype="general">글로벌 빅테크 기술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독자 기술로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소버린 AI' 전략 실행이 본격화한다.</p> <p contents-hash="aea21b89531ba57adb2598844df73e53f9324d012502add5b353923ce5cc0820" dmcf-pid="0zuXMtQ0lM" dmcf-ptype="general">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수행 주체로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6월 공모에 15개 팀이 신청했고, 서면평가를 통해 10개 팀을 추린 뒤 지난달 말 발표 평가를 거쳐 최종 5개 팀이 선정됐다. 정부는 이들 정예팀에 대해 6개월 단위 평가를 거쳐 2027년 상반기까지 최종 2개 팀을 선발한다. </p> <p contents-hash="5bb6fdccda2e6ce15eebacd70fc1c42b4455433fdfc6c2c9d58c663b04827a5f" dmcf-pid="pq7ZRFxplx" dmcf-ptype="general">이번 평가에선 단순한 기술력을 넘어 AI 모델을 초기 설계부터 사전 학습까지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롬 스크래치' 역량, 오픈소스 공개 가능성, 생태계 확장성, 글로벌 수준(최신 모델 대비 95% 이상) 성능 달성 계획, 결과물 50% 이상 공개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옴니 모델'을 기반으로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생성하는 범용 AI를 개발하고,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추진한다. 업스테이지는 '솔라 WBL'을 통해 3년 내 사용자 1000만명 확보를 목표로 법률·의료·국방 등 분야에 AI 서비스를 확산한다. SK텔레콤은 '포스트 트랜스포머' 모델로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와 제조·로봇 등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 전반에 AI를 접목한다. NC AI는 2000억개 파라미터 규모의 대형언어모델과 '도메인옵스' 플랫폼을 통해 산업 맞춤형 AI 전환을 지원한다. LG AI연구원은 'K-엑사원'을 고도화하고 서비스·인재 양성·풀스택 생태계까지 통합해 추진한다.</p> <p contents-hash="a3393fac26597415805ec8f1090b81c7ace50b394c9f8b4a90d22fe406208a14" dmcf-pid="UBz5e3MUlQ" dmcf-ptype="general">선발된 5개 정예팀은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통계청, 특허청, 방송사 등 기관 데이터를 공동 구매하거나 개별 구축할 수 있다. 각 팀은 초기 그래픽처리장치(GPU) 500장을, 향후 단계 평가에 따라 최대 1000장을 지원받는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에서 확보한 1576억원을 GPU 등 컴퓨팅 자원 지원에 투입한다. AI 인재의 경우 업스테이지 컨소시엄만 도움을 희망해 정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유치하고자 하는 해외 우수 연구자(팀)의 인건비,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정부가 매칭해 지급한다.</p> <p contents-hash="1e7948f46d5c2cdc55a82861edde1632e83bf21fdf3ae1a767efc7cbd0dca97c" dmcf-pid="ubq1d0RuSP" dmcf-ptype="general">한편 최종 후보에 들지 못한 카카오와 KT 컨소시엄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 이력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독자 기술 기반의 자립형 모델 개발 역량을 핵심 기준으로 삼은 만큼 이미 외부 기술과 협력을 선언한 사업 구조는 한계로 평가돼왔다. </p> <p contents-hash="2a6a312953d05aacb8e555f63389c33dfb92e55a9b6c21c375b58c231c482c73" dmcf-pid="7KBtJpe7v6" dmcf-ptype="general">[김규식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숏폼 자리매김⋯네이버 "성장세 지속, 콘텐츠 생산량 5배 증가" 08-04 다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44세 '코리안 불도저' 남의철, 14살 어린 日 파이터 꺾었다...4313일만의 메인이벤트서 '감격승' 08-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