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처음 봤다” 이게 로또만큼 귀한 것?…이런 물고기 ‘수두룩’, 알고 보니 [지구, 뭐래?] 작성일 08-04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rx8VW9H5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20b8bca4c852b9f93e8b1717358149d8afef2759c7bc68e9889afacdd143ad" dmcf-pid="bmM6fY2X5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2일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환경단체 환경재단이 방류한 황쏘가리 치어. 이후 성장 과정에서 노란 빛을 띠게 된다.[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7694faue.jpg" data-org-width="1280" dmcf-mid="HZ6GyLva5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7694fau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2일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환경단체 환경재단이 방류한 황쏘가리 치어. 이후 성장 과정에서 노란 빛을 띠게 된다.[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4613cb4d4dc9d03702c815f289717f811b8368ec21775ff29ab0d9f34da356" dmcf-pid="KsRP4GVZXy"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이게 다 천연기념물이라고?”</strong></p> <p contents-hash="c6c93d1e80dbd684f04687c68eb84ed726bcb634755e92d68a449b2f281842c9" dmcf-pid="9OeQ8Hf55T" dmcf-ptype="general">작은 통에 담겨있는 수십마리의 새끼 물고기. 쏘가리 수십만마리 중 한 마리 꼴에 불과하다는 천연기념물 ‘황쏘가리’ 치어다.</p> <p contents-hash="252b8c1e70ea9cb1678b392baa4eed27652556c8a7013d3dbd4f51b4293b3ff1" dmcf-pid="2Idx6X41Hv" dmcf-ptype="general">황쏘가리는 색소 결핍으로 태어난 변종 희귀종이다. 심지어 국내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해, 유독 희소성이 높은 민물고기로 알려져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7986f7744543a1ac80ad980e4b3c096a72fb30da23593b97fa323e43836d852" dmcf-pid="VCJMPZ8tZ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황쏘가리.[유튜브 ‘TV생물도감’ 채널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7982gjfy.png" data-org-width="781" dmcf-mid="X0Cx6X41Z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7982gjfy.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황쏘가리.[유튜브 ‘TV생물도감’ 채널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fbcdec4c5ed967629e2d75a43fa83990fe23e56fd0fef1f08c6cd4113ec3b5" dmcf-pid="fTgie3MU5l" dmcf-ptype="general">문제는 자연에서 황쏘가리를 발견할 수 있는 확률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는 것.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남획 등 인간의 영향이다.</p> <p contents-hash="0cf965e5998447760bf769192b49cc9fd9cb4b87ecf13bd42817922ea5906350" dmcf-pid="4yand0RuGh" dmcf-ptype="general">단순히 하나의 종이 사라지는 게 문제가 아니다. 황쏘가리는 급격한 생태계 변화를 상징하는 하나의 예일 뿐이다. 민물의 생물다양성 감소는 그 어느 생태계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b20107d82d6368ac49ea27d6ac6d8acfa7a169d12f9ff0d201828fb5aa3609f" dmcf-pid="8WNLJpe7G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2일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환경단체 환경재단이 방류한 황쏘가리 치어. 이후 성장 과정에서 노란 빛을 띠게 된다.[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8340rajp.png" data-org-width="1280" dmcf-mid="Z2Sex1P31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8340rajp.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2일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환경단체 환경재단이 방류한 황쏘가리 치어. 이후 성장 과정에서 노란 빛을 띠게 된다.[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6e5b55c5366e54bcea8a2a1656941dba770b40b12e4db5338014fa6b2905371" dmcf-pid="6YjoiUdzZI" dmcf-ptype="general">지난 2일 환경단체 환경재단은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천연기념물 ‘한강의 황쏘가리’ 복원을 위한 치어 방류 활동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기업 관계자와 대학생 등 총 110명이 참여해, 황쏘가리 치어 총 5000마리를 방류했다.</p> <p contents-hash="d7137158722dd1da7fac9d53125b381373bfcb7c9953778655b4fb20a74956bd" dmcf-pid="PGAgnuJq1O" dmcf-ptype="general">우리나라 고유의 민물고기 황쏘가리는 멜라닌 색소 결핍으로 인한 황금빛 몸 색을 가진 게 특징이다. 깨끗한 하천에 서식하는 상위 포식자인 황쏘가리는 외래종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고유의 민물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일조하는 셈.</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f91568a606ea8457d6f077279c189b1c54abc332a144169e58ec91c82792c4" dmcf-pid="QHcaL7iBH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황쏘가리,[유튜브 영상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8609fwzn.png" data-org-width="399" dmcf-mid="1Y7sw8EQY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8609fwzn.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황쏘가리,[유튜브 영상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cb659c10c9b3f68990ad7425efd8d8e384a5548b7035d8d6a7efd5def6c89e5" dmcf-pid="xXkNoznbZm" dmcf-ptype="general">황쏘가리는 한강 수계에서만 드물게 발견되는 특성을 가졌다. 국내 쏘가리 수십만마리 중 하나꼴로 나타나는 유전적 희귀종이기 때문. 이에 지난 1967년 천연기념물 제190호로 지정돼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보호 관리를 받고 있다.</p> <p contents-hash="c7ccdf997bd7039399c8552faee6bc1fd372503a0a842de03311af525c839130" dmcf-pid="yJ70tE5rXr" dmcf-ptype="general">하지만 황쏘가리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지속적인 하천 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 환경이 급변하면서다. 실제 하천 정비와 댐 건설 등 개발 사업은 자연의 산란장인 자갈과 돌밭을 제거하면서 이뤄진다. 이 때문에 최근 10년간 황쏘가리 자연 개체가 절반 이상 줄었다는 분석도 나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55526afdc1f9e3f3b789d90ffe1a53cda4986beb71b3bc1147ea4f2b1eedf3" dmcf-pid="WizpFD1mG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2일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환경단체 환경재단이 방류한 황쏘가리 치어. 이후 성장 과정에서 노란 빛을 띠게 된다.[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8848fkpr.png" data-org-width="1280" dmcf-mid="UW4WviloY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8848fkpr.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2일 경기도 청평과 강원도 화천 일대에서 환경단체 환경재단이 방류한 황쏘가리 치어. 이후 성장 과정에서 노란 빛을 띠게 된다.[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f5fa0816453de1a18f8de598c375f30414a33a7e882e7d62eb3d427fa970baa" dmcf-pid="YnqU3wtstD" dmcf-ptype="general">개발 사업으로 바위 틈새와 같은 은신처가 제거되는 것 또한 생존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 황쏘가리 등 일부 민물고기는 낮 동안 바위 틈새에서 은신하는 특성을 가졌다. 은신처가 제거될 경우, 은신처에 의존하는 민물고기 종류의 생존율을 급격히 줄어든다.</p> <p contents-hash="b565bf59a660b660437492f5e794ea46c6486d7ea89ee627b5cf71f4df4b1f9d" dmcf-pid="GpIrEfc6ZE" dmcf-ptype="general">수질 악화도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속적으로 생활하수·농업용 비료 등이 하천에 유입될 경우 황쏘가리 생존율은 낮아진다. 비교적 깨끗한 1~2급수 환경에서 서식하는 특성 탓이다. 특히 수질 오염이 지속될 경우, 하천 내 산소 농도가 감소하며 치어의 성장 및 생존율을 감소시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113c4c5765a7d70e90f3dec1615b5d3ca93f4b4b9f43f0f32cf124e22b9ac4d" dmcf-pid="HUCmD4kPY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황쏘가리가 그물에 걸려 있다.[유튜브 영상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9143uvmi.png" data-org-width="773" dmcf-mid="uN5jgqLKY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9143uvmi.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황쏘가리가 그물에 걸려 있다.[유튜브 영상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c77080d40518108f6a33ea0cf1f249da229dd19c31d736255473ce3329f3195" dmcf-pid="Xuhsw8EQXc" dmcf-ptype="general">불법 포획과 남획 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황쏘가리는 유전적 특성으로 노란빛을 띠며, 관상용으로도 수요가 높다. 빛깔에 따라 한 마리에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경우도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무차별적으로 황쏘가리를 포획하다 적발되는 사례도 발생한다.</p> <p contents-hash="b8f94b005e2bafe32e7494c212963d84dd93cd53002c0683a8b55ff3b1127ee1" dmcf-pid="Z7lOr6DxYA" dmcf-ptype="general">이같은 상황을 단순히 황쏘가리 하나가 멸종하는 것으로 치부하기도 어렵다. 황쏘가리 외에도 민물 생태계 파괴에 따른 어종 감소 현상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국립생물자연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민물고기는 213종에 달한다. 그리고 이 중 76종이 서식지 감소 위기에 처해 IUNC 적색목록에 등재돼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e43166b5572be942cc4d47611cddef5004916f79a726791e7dc522000dd8d6" dmcf-pid="5zSImPwM1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민물고기.[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9425npgq.jpg" data-org-width="1280" dmcf-mid="7zGoiUdzX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9425npg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민물고기.[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c77070369f2a6dce55075a9c13e080e334ac2483feca239de803601f36ea609" dmcf-pid="1qvCsQrRtN" dmcf-ptype="general">전 세계적으로도 마찬가지다. 민물 생물다양성 감소 속도는 해양 생태계에 비해 더 빠른 수준. 세계자연기금(WWF)에 따르면 전 세계 담수 생물종 개체군은 1970년 이후 2020년까지 85%가량 줄었다. 해양 생태계(50%)에 비해 압도적으로 빠른 속도다. 백악기 시대 공룡대멸종보다 더 빠른 속도의 종 감소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p> <p contents-hash="cc93721594a49bedb1c58c94076f76cb14a837c10a61b98cd45cf9a171795668" dmcf-pid="tBThOxme5a" dmcf-ptype="general">이는 민물이 특히 압축된 환경에 놓인 영향이다. 전 세계 물 0.01% 미만인 강, 호수, 습지 등에 전체 어류종의 40~50%가 몰려 살고 있다. 아울러 바다와 달리 하천별로 ‘섬’처럼 고립돼 있다. 이동 통로와 유전적 교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변화된 환경에 적응이 쉽지 않다. 작은 영향으로도 한 번에 무너지는 약한 구조라는 얘기.</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414d8bd3c32b0be6c0ccc9961f46b1c0d5dc165f5fcfad0c77a8d669bd35962" dmcf-pid="FbylIMsdZ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민물고기.[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9720isrs.jpg" data-org-width="1280" dmcf-mid="z9wf9TbY5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159720isr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민물고기.[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87934b0782d6343a74d25e71ba732d6a35f60e94c920c2c3746ad1fec6e676f" dmcf-pid="3KWSCROJYo" dmcf-ptype="general">특히 민물고기 다양성은 민물 생태계의 기반과 같다. 황쏘가리 등 상위 포식자 어종의 변동이 있을 시, 그 먹이가 되는 하위단계의 수는 폭증하거나 급감한다. 이는 전체 먹이사슬의 붕괴를 야기해, 더 많은 종의 생존을 어렵게 한다.</p> <p contents-hash="f9efafb92e8e5b6dfccd8acb5633b11ecdce59cb298bece8e2fdad7275d0780f" dmcf-pid="09YvheIitL" dmcf-ptype="general">인간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다. 일부 민물고기는 수생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종 다양성이 낮아질 경우 수중 산소량이 줄어들고, 유해 조류와 같은 독성 물질이 증가하며 수질 악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수변에서 해충이 창궐하는 등 예상치 못한 피해도 유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p> <p contents-hash="987b35348f373030827030f7c839e1fdad206c758f5b201b688cd6a5724f6886" dmcf-pid="p2GTldCn1n" dmcf-ptype="general">환경재단 관계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황쏘가리 등 담수어종은 우리나라 고유 유전자원으로 최근 서식지 훼손과 수질 악화, 외래종 유입 등 영향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며 “보호와 복원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2f1cc74a2d6f018244646a67f300e9853e0a3b8517ed45201586710e8207ea1" dmcf-pid="UYjoiUdzY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200035zjnp.jpg" data-org-width="1280" dmcf-mid="qiXaL7iB1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d/20250804174200035zjnp.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CC정보통신·CJ올리브네트웍스, 국방부와의 2심도 이겼다…상고 여부 촉각 08-04 다음 안보·우주산업 '일석이조' 초소형 위성 100기 쏜다 08-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