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두고 딥페이크 허위정보 확산 우려…기술 기반 대응 시급 작성일 08-04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26년 지선 후보자 1만2000명 이상 예상…딥페이크 표적 우려<br>라바웨이브 "정밀한 탐지 기술과 실시간 차단 시스템의 도입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nWZD1P3Gr">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869de400700d4e8742afaeb82076bdd59bd711da9ba669368f9ce1836613601" dmcf-pid="pLY5wtQ0X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행정안전부 국립수사연구원이 지난 2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딥페이크 불법콘텐츠 탐지 분석모델 및 활용성과'에 대해 시연을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7.30/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WS1/20250804152126640wass.jpg" data-org-width="1400" dmcf-mid="Yz37SqLK1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WS1/20250804152126640was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행정안전부 국립수사연구원이 지난 2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딥페이크 불법콘텐츠 탐지 분석모델 및 활용성과'에 대해 시연을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7.30/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11af9272932d377b383789aff8f3d02d174d9b0d8c8e6df38ff853f06e834bb" dmcf-pid="UoG1rFxpXD"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이강 기자 = 2026년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을 악용한 가짜뉴스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선거 후보자를 겨냥한 음성·영상 조작 콘텐츠가 온라인에서 빠르게 유포될 경우, 유권자의 판단을 왜곡해 선거 공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p> <p contents-hash="e3071241af626cd62ff8248762800a038038f28883c6a40e2c7deb1ed7aa6ba0" dmcf-pid="ugHtm3MUHE" dmcf-ptype="general">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인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해 인물의 얼굴, 음성, 행동 등을 실제처럼 합성하는 기술이다. 정치인의 발언이나 행동을 왜곡하거나 조작된 영상을 사실처럼 퍼뜨릴 수 있어 선거 국면에서는 민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p> <p contents-hash="3f465d48e939442b806a9ef3bf948e8da87fe19fe2dc7a10b520c71dad1e17ad" dmcf-pid="7aXFs0RuYk" dmcf-ptype="general">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 선거 기간인 지난해 4월부터 6월 2일까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를 통해 삭제 요청된 딥페이크 콘텐츠는 총 1만448건에 달했다. 이는 직전 총선 당시(388건)보다 약 26배 증가한 수치다. 선관위는 당시 선거 기간 동안 SNS를 중심으로 조작된 영상과 음성 파일이 빠르게 유포되며 후보자 명예훼손 및 허위정보 확산 사례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8eaeeac36c7e1858f58efbd75c2097af433a606c6296af3191c9a6d13867654" dmcf-pid="zNZ3Ope71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앞에서 이재명 예비후보 딥페이크 영상 유포자를 명예훼손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며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2025.4.16/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WS1/20250804152128935snrk.jpg" data-org-width="1400" dmcf-mid="3VRnBoTNZ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NEWS1/20250804152128935snr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앞에서 이재명 예비후보 딥페이크 영상 유포자를 명예훼손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며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2025.4.16/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d2777dcc6a9e9b046ae394be411fbc3876c355082db74675608fc86e8896ef37" dmcf-pid="qj50IUdzHA" dmcf-ptype="h3">라바웨이브 "정밀한 탐지 기술과 실시간 차단 시스템의 도입 필요"</h3> <p contents-hash="58dfdc6aeed156ecc96a8d297000b5fe1e30ac9e5ca5893360719916e6350a17" dmcf-pid="BLY5wtQ0Yj" dmcf-ptype="general">오는 2026년 6월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17곳, 기초단체장 226곳을 포함해 약 4000석 이상의 선출직이 결정된다. 각 선거구별 평균 3명의 후보자가 출마할 것으로 가정하면 총 1만 2000명 이상의 후보자가 딥페이크 콘텐츠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p> <p contents-hash="a6b25539cf45e4e70658d3004c4e13e45021e53b4950cfbd28b590fb9f5c0fa0" dmcf-pid="boG1rFxptN" dmcf-ptype="general">실제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텔레그램 오픈채팅방에서 딥페이크 기술로 생성한 불법 성적 이미지가 유포돼 수사가 이뤄졌으며, 올해 1월에는 한 가해자가 자칭 '자경단' 명의로 텔레그램을 통해 234명 피해자를 대상으로 딥페이크 성 착취물을 제작·유포한 사건도 발생했다. 피해자 중 159명은 미성년자였다.</p> <p contents-hash="6929b477c87f4c8908b46be837735dcacb5224265101e71b6820e02deb383427" dmcf-pid="KgHtm3MU5a" dmcf-ptype="general">그러나 현재 정부의 딥페이크 대응 체계는 수작업 기반 검색과 신고 접수에 의존하고 있어 실시간 대응이 어렵다는 한계가 지적된다. 온라인에서의 딥페이크 콘텐츠는 단기간에 수십, 수백 회 이상 복제·확산하기 때문에 단속보다 사전 차단이 더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p> <p contents-hash="b3ce51b4f3bb3d4c0b972986764dff5b983d8dba0102b4b42f3aaf1f3f3180f8" dmcf-pid="9aXFs0RuYg" dmcf-ptype="general">AI 기반 디지털 범죄 대응 기업 라바웨이브는 "기존의 수작업 필터링만으로는 선거 기간 급증하는 딥페이크 콘텐츠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어렵다"며 하다"고 분석했다.</p> <p contents-hash="da2524e04415e449af8b1d948c5d41334aac3ab39240612d86f326a008f29260" dmcf-pid="2NZ3Ope71o"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민간 기업과 협력해 고도화된 탐지 기술을 조기 도입하고, 공공기관의 콘텐츠 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국민의 정보 판별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는 민관 공동의 선제적 기술 대응이 선거의 신뢰성과 민주주의를 지키는 유일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p> <p contents-hash="3091b3d18443777b9a657b802a618fc1a51009783bd59a6819eadddf2461261c" dmcf-pid="Vj50IUdzYL" dmcf-ptype="general">thisriver@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첫, 사랑을 위하여’ 작가 “지금 이 순간의 중요성 알려주고 싶었다” 08-04 다음 [국가대표 AI] 최종 5팀 선정에 참여기업들도 '들썩'...실전 성과 창출 '박차' 08-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