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AI' 톱5 선정… 배경훈 장관 "소버린 AI 본격 시동" 작성일 08-04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AI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업스테이지·SKT·엔씨에이아이·LG AI연구원 등 참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k3gROphZ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aa6b62b893b620da58524b8474af7664e5d11fda88fb19d7ab7ed676d37cf05" dmcf-pid="bE0aeIUlH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엔씨에이아이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5개 정예팀이 최종 선정됐다. 사진은 뉴시스 DB 이미지. /사진=뉴시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moneyweek/20250804140304140ljye.jpg" data-org-width="680" dmcf-mid="q7xTs0Ru5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moneyweek/20250804140304140ljy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엔씨에이아이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5개 정예팀이 최종 선정됐다. 사진은 뉴시스 DB 이미지. /사진=뉴시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33f6355e19c1a34d668694dbc3fb5594a3b8177582d8d34b1cdc88e82ecad2ef" dmcf-pid="KDpNdCuSt7" dmcf-ptype="general">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엔씨에이아이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5개 정예팀이 최종 선정됐다. 이들은 '소버린 AI' 구현을 위한 핵심 주자로 멀티모달 초거대 AI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div> <p contents-hash="40b8bed4db9fd36ed7f820ededaf4e32d40fa4641d4358403a4c73b6930183e4" dmcf-pid="9wUjJh7vtu"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4일 기술력·개발경험, 개발목표의 우수성,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서면·발표 평가를 진행한 결과 10개 후보팀 중 이들 5개 팀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압축했다고 밝혔다. 이르면 8월 초 사업비 심의와 협약 체결을 거쳐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갈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e3adbc84ae9b3e7591758ddf68b7b33ce06cb06f32e5cd07f884e57cd3ca1f2" dmcf-pid="2ruAilzTHU" dmcf-ptype="general">네이버클라우드 팀은 서울대, KAIST, 트웰브랩스 등과 협업해 텍스트·음성·영상·이미지를 아우르는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은 범국민 AI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해 누구나 에이전트를 개발·등록·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7a9481d6f48b8f69e8bdd2bc15620401bced2ddb17ee186ad9a80bf17199ddb6" dmcf-pid="Vm7cnSqy1p"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는 노타·래블업·뷰노·플리토 등과 함께 글로벌 수준의 모델 'Solar WBL'을 개발, 법률·의료·국방·금융 등 산업별 B2B 및 B2G AI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28fd554e08a372827b7cd56249da2fdb39511dba4ebf8de57eff31f9daf6e4b6" dmcf-pid="fszkLvBW10"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크래프톤·리벨리온·서울대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포스트-트랜스포머 기반 K-AI 모델로 산업별 AX(인공지능 전환) 실현을 내세웠다.</p> <p contents-hash="f182d2d4771f8dae64bcfb05eca16710863ee348c4cc0e572110419b90759ebf" dmcf-pid="4OqEoTbYX3" dmcf-ptype="general">엔씨에이아이 팀은 고려대·ETRI·포스코DX·MBC·NHN 등과 협력해 200B(2000억 파라미터)급 초거대 언어모델, 멀티모달 모델, 산업 특화형 AI 모델을 단계별로 구축한다. '도메인옵스' 플랫폼을 통해 산업별 AI 적용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da67f9aeb0d26d96a42130d65416b707e9f77855a8e3a95cf4aa4501662a934e" dmcf-pid="8IBDgyKGtF" dmcf-ptype="general">LG경영개발원 AI연구원은 LG CNS·슈퍼브AI·뤼튼·한컴 등과 함께 프론티어급 모델을 개발하고 풀스택 AI 생태계 조성과 산업별 선도 사례 창출에 나선다.</p> <p contents-hash="c6532ac5c7027a62adf1ffee5c8437e28ffe34b5a91ac398a7852bd7e557eb4b" dmcf-pid="6cFoMs0CYt" dmcf-ptype="general">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서 최종 선정된 5개 정예팀이 높은 기술력과 개방성, 확장 가능성을 고루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p> <p contents-hash="3fc0e0d2cd450775c53a55ef28f11eee4ddd0aebda1198a8693d52e49a92d0b8" dmcf-pid="Pk3gROph11" dmcf-ptype="general">우선 이들 정예팀은 우선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직접 개발하고자 하는 소버린 AI의 취지에 부합하는 높은 수준의 기술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입증됐다. 각 팀은 자체적인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독립적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갖췄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1681445437de69e27673897f80a86bac96d55e907ca2d4598f98205f3f7354a6" dmcf-pid="QE0aeIUl55" dmcf-ptype="general">또 오픈소스 활용과 개방성 측면에서도 국내 AI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정책을 제시했다. 이들은 개발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다른 기업이나 기관이 상업적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으로 다양한 AI 서비스의 등장과 국민의 AI 접근성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87bb365250161f1048979d4cb078e71f7bc575d077728d9c5fd77f44b8fafc45" dmcf-pid="xDpNdCuSGZ" dmcf-ptype="general">정예팀들은 나아가 기존의 언어 모델을 넘어서 멀티모달 모델, 옴니모델 등 고도화된 형태의 차세대 모델 개발 계획도 내놨다.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를 분명히 하며 기술적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갖춘 전략도 함께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p> <p contents-hash="6f5c75e7f8514ec6409e80b7e9cc39d103c174cf5c06a8c79a96d5d5f1c29f81" dmcf-pid="yqj0Hfc6XX" dmcf-ptype="general">정부는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를 위해 고품질 데이터 공동구매(100억원), 방송영상 데이터(200억원), 팀별 특화 데이터(팀당 28억원) 등 총 356억원 규모의 데이터 지원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3d3e6686b77663330f17c7e8e41eeb5db794a93d55249eacf4fb67177e904594" dmcf-pid="WBApX4kPXH" dmcf-ptype="general">GPU 인프라는 네이버클라우드, SK텔레콤이 임대 제공자로 선정됐으며 업스테이지·엔씨에이아이·LG팀에 우선 지원된다. 업스테이지는 인재 유치를 위한 정부 매칭지원도 받는다.</p> <p contents-hash="751d45f22ab123be26ee576464b568ead138668c84b0e595b1dc9b994aba951b" dmcf-pid="YbcUZ8EQ5G"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오는 12월 1차 중간평가를 통해 5개 팀 중 4개로 압축하며 향후 정예팀에 'K-AI 기업' 명칭을 부여할 계획이다. 정예팀이 개발한 모델은 정부서비스, 공공분야, 국방·안보 활용 등에서도 폭넓게 적용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b1a30e2efd31a564a59172f0d26a3fba6eba8ff3060f943f9b3b9b9d0ee8d026" dmcf-pid="GKku56DxHY"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본 프로젝트의 담대한 도전은 '모두의 AI'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AI 기업·기관들의 도약과 소버린 AI 생태계 확장을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26c2e6ec37212bacf0ec05265355fc869f6dba78b183e14806fa240ef95c3f5" dmcf-pid="H9E71PwMYW" dmcf-ptype="general">김성아 기자 tjddk99@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남극 얼룩무늬물범이 사람의 동요와 유사한 노래 부른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08-04 다음 막강한 자본·기술력…국가대표 AI 5개사, 강점은 무엇? 08-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