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 출연연 연구자 42.4% "승진 등에서 성차별 존재" 작성일 08-03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Co2zilo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0df8b1ac2c41f40308be662184437fc48ab359a8216a30c736f095c7c6602f" dmcf-pid="ZpSaJCuSJ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전경. N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3/dongascience/20250803113753310bwwy.jpg" data-org-width="640" dmcf-mid="HqInMm3Ii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3/dongascience/20250803113753310bww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전경. N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11b320d53691d378840437f1710f7ef2eabac96da805ead1ee4046949a2ff2" dmcf-pid="5UvNih7vic" dmcf-ptype="general">국내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자 42.4%는 기관 내에서 승진 등과 관련된 암묵적인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연연 연구자 82.1%는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된 것으로 확인됐다.</p> <p contents-hash="c440f83ae6c87be864e22f79915d03fcec3b51ad91a908f78961ed3b533305c2" dmcf-pid="1uTjnlzTMA" dmcf-ptype="general"> 3일 연합뉴스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인 '출연연 여성과학기술인 지속 성장 지원 방안 연구'를 소개했다.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가 NST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보고서다.</p> <p contents-hash="0db2267b31ae8104a33915edd489e636e527e28424b618b480e3cf5fd94fca4a" dmcf-pid="t7yALSqyij" dmcf-ptype="general">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도 정규직 여성 채용비율은 21%로 여성 채용비율이 10% 미만인 기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6.9%이다. 한국전기연구원과 한국재료연구원은 한 명도 없었다.</p> <p contents-hash="0b4276c871ab8ed33e4d62562328523b87dab4d41698a740d9bce263aaf4d37c" dmcf-pid="FzWcovBWnN" dmcf-ptype="general"> 출연연 여성과기인 비율은 현재 19.85%로 늘고 있지만 여성과기인 보직 현황 평균 비율은 11.74%, 주요 내부 심의기구 참여 평균 비율은 12.24%로 낮았다. </p> <p contents-hash="16fe200a49ba9686ed8969a9fd798f4440dcab2a475199d87548e8b9ca889b9e" dmcf-pid="3qYkgTbYMa" dmcf-ptype="general"> 여성 보직자 비중을 설정하는 보직목표제는 지난해 도입됐다. 이를 설정해 운영한 기관은 지난해 국가녹색기술연구소와 전기연뿐이다. 올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추가됐다.</p> <p contents-hash="58f266c328d5e0c7bfced5d015ebdb0760e3b0381e47eea10419a2ab7450ecc3" dmcf-pid="0BGEayKGeg" dmcf-ptype="general">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의 공식적인 발령이 이루어진 기관은 14개다. 나머지 10개 기관에서는 관련 예산이 배정되지 않아 실질적 권한과 책임이 불분명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p> <p contents-hash="eac05f7c300f00c75e43f50ef90c3edd1c8f80f4835279d2787c63d942107655" dmcf-pid="pbHDNW9HRo" dmcf-ptype="general"> 양성평등과 조직 내 지원 제도에 대한 인식조사는 2025년 2월 28일부터 3월 11일까지 1441명의 응답을 집계했다.</p> <p contents-hash="1111d3d2fd0404b41bd5a04621a882a251e4c39bc6d7f8ddedf04204e515c5f0" dmcf-pid="UKXwjY2XdL" dmcf-ptype="general">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양성평등 갈등 상황을 겪었다는 응답은 47.8%로 약 절반이었다. 여성(57.6%)의 경험률이 남성(26.4%) 대비 약 2배 높았다.</p> <p contents-hash="db33c371b9eb24b58642f3209fa5f047f041ff4251c159d38a2a619489692106" dmcf-pid="u9ZrAGVZin" dmcf-ptype="general"> 전체 응답자 42.4%가 기관 내 성별에 따른 암묵적인 차별이 존재한다고 봤다. 33.0%가 연구, 교육, 승진 등에 있어 성평등 기회를 제공받고 있지 못하다고 답했다.</p> <p contents-hash="b15af78d51a0278c349a8d05d2e5fd8e8abf4d035e90617e72942ca559fe9c82" dmcf-pid="77yALSqyRi" dmcf-ptype="general"> 성별에 따라 동등한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주요 이유로는 파벌, 유리천장 존재 등 승진 등의 불공정성(23.9%)과 남성 중심적 연구 문화와 결정(23.1%)이 꼽혔다.</p> <p contents-hash="09f7981b76b1e48fb2965be9b61243ac9d4e8dd2fc20234a5938993d0f627df8" dmcf-pid="zzWcovBWnJ" dmcf-ptype="general"> 출연연 연구자 중 82.1%는 여성과기인 육성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변화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76.2%로 높았다.</p> <p contents-hash="7eecdf796b172ce4289df4e7fd87e248902fb1d28e49eb3c5229750589afa868" dmcf-pid="qqYkgTbYMd" dmcf-ptype="general"> 남성 중 41.5%는 여성 연구자 특화 프로그램이 형평성을 저해한다는 인식을 내기도 했다. 보고서는 여성 연구자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운 조직적인 문제를 해결하되 남녀 균형이 있는 제도로 발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c4b44bc4b8a601561925543979c205fbf640f0cb0851083e84ff4d655d321202" dmcf-pid="BBGEayKGLe" dmcf-ptype="general"> 연구자들은 경력 개발 및 성장이 어려운 주요 이유로 연구비와 과제 수주의 어려움(26.9%), 업무 과중(26.8%)을 꼽았다. 여성은 업무 과중보다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렵다는 이유를 더 많이 들었다.</p> <p contents-hash="2da23d326c4f21203ffde42a37e74c23196d617cce7bf59c0c80bb8803ee4609" dmcf-pid="bbHDNW9HMR" dmcf-ptype="general"> 출산 전후 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는 법적 의무제도로 모든 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8ff61a76b38f165c8a1bf5cf5da7c01bd3f0cf923c203620f966623f1c2d3588" dmcf-pid="KKXwjY2XRM"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현봉식, 4세 누나 조여정 옆에서 미소 가득 "여정이 누나" 08-03 다음 국제우주정거장으로 ‘설사·복통 유발’ 식중독균 옮겼다니…왜? 08-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