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거버넌스 개편 논의 쏟아진다 작성일 08-02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책 일원화는 모두 동의...조직 구조 두고 의견 상충</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uuQDrFONn"> <p contents-hash="de09a8913bcf470be012efdf541b078c44693a965a7b3d88e69e9eb07ea6edf7" dmcf-pid="H77xwm3Iki"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수형 기자)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미디어 정책을 관장하는 새 정부의 조직 밑그림을 두고 여러 제안이 나오고 있다. 조직개편 최대 화두로 꼽히는 재정 당국과 검찰 조직에 대한 개편 시나리오보다 더욱 다양한 의견이 쏟아진다.</p> <p contents-hash="ae98a81c38caf3c7cd2d3df57103d0c65551beb436e4334a87db8e3c10cedb6e" dmcf-pid="XbbdOCuSAJ" dmcf-ptype="general">이는 방통위 등의 조직개편의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되 다양한 이해관계나 시각 차이에 따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b2c85fb11e92b523f7e918b634f4b11f50433c2e2558900f012b201a9442e0e9" dmcf-pid="ZKKJIh7vod" dmcf-ptype="general">윤석열 정부에서 사실상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방통위가 주된 개편의 대상에 꼽히고 있는데, 정치권과 학계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미디어 거버넌스 재조정 논의는 비단 전 정권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실제 방통위가 처음 출범하던 시기부터 이어진 논의가 새 정부 출범으로 재논의 단계에 접어든 내용이 대부분이다.</p> <p contents-hash="233d40d5a0be3c396220a768ea920a3e5d50568bb7ff00b8ee533fa17cbdc810" dmcf-pid="599iClzTae" dmcf-ptype="general">미디어 거버넌스 제안 가운데 분산된 관련 정책 기능이 한데 모아져야 한다는 뜻에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4790b25befe6628cfe2a617996c653fc6c5059f20517b61f547a6ce80e47c223" dmcf-pid="122nhSqyoR" dmcf-ptype="general">예컨대 중복규제가 거듭해 발생했고, 각 부처 내 미디어 정책의 위치에 따라 결이 맞지 않는 정책 비효율이 발생하거나 부처 이기주의에 따라 실제 현장보다 조직 위상을 고려한 정책이 우선하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7f72d3f919b36d468254bbd98cbf12bda5994e7126e73554f27a7fd695c3175b" dmcf-pid="tVVLlvBWaM" dmcf-ptype="general">아울러 규제와 진흥, 플랫폼과 콘텐츠, 공영과 상업 등의 구분이라고 일컫기도 하지만 실제 정책의 경계가 명확하지도 않다. 부처별 칸막이에 갇혀 있는 탓에 기존의 정책 영역 외의 현상에 각 부처가 소관 다툼에 나서거나 반대로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상황도 빈번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f252a4e656de5cd27d9edd02f69c54293c9cb81895f3e4b70cd9ed7d2d39f2e" dmcf-pid="FffoSTbYo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2/ZDNetKorea/20250802060143279ysqz.png" data-org-width="640" dmcf-mid="YEI18PwMc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2/ZDNetKorea/20250802060143279ysqz.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80b63217ee20113bb5529319ef421955efb98a2b8b2223231fc2d6a9bbe8854" dmcf-pid="344gvyKGcQ" dmcf-ptype="general">이런 점 때문에 대통령실 내에 미디어 관련 수석실 또는 전담 비서관을 신설해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국가적인 컨트롤타워를 둬야 한다는 제언까지 이어진다.</p> <p contents-hash="b59aeba1eec425c9a398273b9cb6456093955e8bf414763cc3d4cd6bd6b5fd46" dmcf-pid="088aTW9HaP" dmcf-ptype="general">정책 일원화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를 내지만 미디어 정책 조직에 대한 형태에 대해서는 마치 이해관계에 얽혀있는 것처럼 크게 엇갈린다.</p> <p contents-hash="dc20e0390312d19262257f7804a11cdc09a7f942ef67656e9acea85a28da2c29" dmcf-pid="p66NyY2Xc6" dmcf-ptype="general">현재 합의제 행정기구 틀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과 독임제 기구를 두고 공영방송이나 방송의 공공성 영역을 별도의 합의제 기구로 이원화하는 안이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c103ad3316c319bde552e8bc12da4fe4fdb3e59b95890758d1de90a51f98da59" dmcf-pid="UPPjWGVZc8" dmcf-ptype="general">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방송콘텐츠특위에서 의견수렴을 거쳐 세 가지 조직개편 방안을 추려 국정기획위원회에 건의된 내용과 미디어 관련 3학회가 공통 의견을 모은 개편안, 민주당 김현 의원과 최민희 의원이 각각 발의한 시청각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안과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 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p> <p contents-hash="6395ff8749c18b9ec64ec33c186e781e7a9757ee60c3da8d89b12eb07f5d9962" dmcf-pid="uQQAYHf5A4" dmcf-ptype="general">독임제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에는 속도감 있는 정책과 사실상 존폐 위기까지 몰린 산업에 진흥 정책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이유가 따른다. 또 독임제 내에 합의제를 두거나 조직 전체를 합의제로 두자는 주장에는 미디어를 정권에 종속시키는 구조를 경계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p> <p contents-hash="d09be9a7450c99d6507712a0c0f0e1e653fcd0eaa199627683d05b6671e304d2" dmcf-pid="7xxcGX41jf" dmcf-ptype="general">결국 조직개편은 정부를 이끄는 책임자의 몫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는다. 또 특정한 방안만 적합하다는 주장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조직의 형태보다 인물의 면면에 조직의 성격이 바뀌었다는 점도 이목을 끈다.</p> <p contents-hash="62e1e5b245e6d8503a7072606180e182bf587059e7a1c967dc58aafa15834f22" dmcf-pid="zMMkHZ8tAV" dmcf-ptype="general">최근 미디어 정부조직 개편방향 세미나를 개최한 민주당 이훈기 의원은 “정부 조직개편에 여러 의견이 나오지만 국정의 최고 책임자가 결정할 수밖에 없다”며 “서로 이해관계가 엇갈려 있어 주장은 할 수 있지만 (각자의 의견을) 강요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f8acd007f0e359a4ad2e6a38e5de061aba5afa2175171d56986420cc7ca2a0f" dmcf-pid="qRREX56FN2" dmcf-ptype="general">언론정보학회 미디어정책특위 간사를 맡고 있는 이종인 경희매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는 “최근 독임제, 합의제 중 어느 하나를 꼭 선택해야 하는 것으로 보는 논의가 진행되는데, 이런 흐름을 지양해야 한다”며 “그 안에서 여러 의견이 있고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는 것이지, 선과 악으로 규정해 분명히 갈리는 행태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d53bd6c8d0ba05192925ad736249b2b841b242fc38f2154849b44cf0261d801d" dmcf-pid="BAAvzBo9o9" dmcf-ptype="general">익명을 요구한 방통위 출신의 한 인사는 “그동안 방통위에 가해진 비판은 합의제 조직의 성격의 문제보다 정부와 국회 추천의 상임위원들이 정책 전문성보다 정파적인 입장에 집중했던 이유가 훨씬 크다”고 했다.</p> <p contents-hash="8d0d471156fcc754886f730baeda051d45486a4ff2b8ae5a57a59475031c667c" dmcf-pid="bccTqbg2AK" dmcf-ptype="general">박수형 기자(psooh@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간통제 벗어날 확률 90%라는데 저커버그 "초지능 3년 가시권" 08-02 다음 日 '점유율 2위' 꿰찬 삼성...'갤Z폴드7' 쥐고 애플 텃밭 공략 시작 08-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