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이 뭐라든 딱 3년만 미쳐보세요 작성일 08-01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일도 공부도 온힘 다해야 성공<br>가난한 집안·늦은 나이 악조건, 잠도 안자고 연구 매달려 극복<br>독성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로 치매-암 연관성 밝히는게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FlRqZ8tv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3e3a1f66e1646fcabc6fa71aad40c4e1bf9f33953788cd0f70a9336af9bfac9" dmcf-pid="G3SeB56FW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경단녀서 '세계 상위 1%' 연구자 된 박은정 경희대 교수 박은정 경희대 교수(오른쪽)가 1일 자신의 연구실에서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에게 연구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mk/20250801181205168anfz.jpg" data-org-width="1000" dmcf-mid="Wvg7WrFOv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mk/20250801181205168anf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경단녀서 '세계 상위 1%' 연구자 된 박은정 경희대 교수 박은정 경희대 교수(오른쪽)가 1일 자신의 연구실에서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에게 연구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f5f2dd84b43cb527548057ead36cc5791b05a9a0fb113ebf83831cea8687da3" dmcf-pid="H0vdb1P3Sw" dmcf-ptype="general">"교수 임용을 준비할 때 '걸레 같은 이력서'라는 소리까지 들었어요. 저는 가난했고, 명문대 출신도 아니고, 경력단절여성이었지만 '미쳤었기 때문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후배 연구자들에게 '남들이 뭐라 하든 스스로를 믿고 딱 3년만 미치라'고 말하고 싶어요."</p> <p contents-hash="99d886a3a661f786943d694511591115c7600f3cab528585d16c15fe1f489365" dmcf-pid="XpTJKtQ0yD" dmcf-ptype="general">소녀는 꿈이 없었다. 꿈을 꾸기에는 너무 가난했다. 대학도 전액 장학금을 받고 수석으로 들어갔다. 공부가 좋았지만 연구자는 언감생심. 장녀였던 그는 동생들을 위해 취직을 택했다. 돈을 벌면서 결혼을 하고 아이도 낳았다.</p> <p contents-hash="7bddf96574715a1a3ed6dd4832155dfcabb84d9c7e8d8fca2ea88ba4190fcb40" dmcf-pid="ZDdFhAHEvE" dmcf-ptype="general">생활에 여유가 생기자 '연구자'라는 꿈이 생겼다. 친정엄마에게 아이를 부탁하고 석사 공부를 시작했다. 42세에 박사 학위 취득, 10년간의 박사후연구원 생활, 교수로 임용된 것은 52세 때다. 이미 '세계 상위 1% 연구자'가 되고도 1년이 지난 후였다. 한 편의 드라마 같은 박은정 경희대 의대 교수(58)의 인생이다.</p> <p contents-hash="7b4d5c3ec317fffbc43f1ecbcb0ecb6702b5381784a83b13adbfb37acc669333" dmcf-pid="5wJ3lcXDCk" dmcf-ptype="general">그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공부에 미쳤다고 말하는 연구자다. 대학원을 다니던 어느 날 갑자기 아이가 아프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탈장인 줄 알았다. 혹시 몰라 대학병원에 갔는데 청천벽력 같은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 박 교수는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고 했다. 정밀 검사를 위해 골수 검사까지 했지만 결과는 오진. </p> <p contents-hash="eaddb0d1e6c5d5b14e42c2e314cc8a69c3378829794d5dc5c50dc81f9197cbe3" dmcf-pid="1ri0SkZwyc" dmcf-ptype="general">그때 박 교수는 공부를 해야겠다고 결심했다. 엄마가 똑똑해야 아이를 지킬 수 있다는 걸 느낀 것이다. 자신이 똑똑했다면 아이가 고통스러운 골수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됐을 거라고 수없이 자책했다. 박사 공부가 하고 싶어졌다.</p> <p contents-hash="ecfec7912379344b04d84cb89559517baac801b32d7f9ae2ee24852ad8f73ccd" dmcf-pid="tmnpvE5rTA" dmcf-ptype="general">하지만 석사 학위를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어머니가 쓰러졌다. 췌장암이었다. 손쓸 방법이 없었고, 얼마 버티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엄마의 발인날 시아버지가 쓰러졌다. 식도암이었다. 가족을 지키기 위해 공부에 매달렸다. 생약학, 면역학 등 논문과 책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 공부할수록 공부를 향한 열망이 커졌다. 상황이 조금 진정되고 난 뒤 37세에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남들은 이미 교수로 임용되고 한창 연구 경력을 쌓아갈 나이였다.</p> <p contents-hash="745ef04ed7946bc4b78ec910851c23bd43e7242c5184f5f7e49bdae641c4348e" dmcf-pid="FsLUTD1myj" dmcf-ptype="general">박사 4학기 차 독성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던 찰나 시아버지가 다시 쓰러졌다. 치매에 중풍, 패혈증이 겹쳐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가족 중 누군가는 24시간 옆에서 간호를 해야 했다. 박 교수와 남편 중 한 명은 커리어를 포기해야 했다.</p> <p contents-hash="d92be10463ebbfa58252bb511f56f5a11f9360e6906f13e3c393fd5c59357607" dmcf-pid="3OouywtsSN" dmcf-ptype="general">당시 박 교수는 포기하겠다는 말이 선뜻 나오지 않았단다. 그 마음을 읽은 남편이 "이번에는 내가 직장을 그만두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신 나중에 우리가 후회하지 않도록 제대로 연구해달라"고 부탁했다.</p> <p contents-hash="8cda035fb30a1430e63e804ebf4a089cef633acfadd9e8ea4622d618b06725c2" dmcf-pid="0Ig7WrFOha" dmcf-ptype="general">그렇게 독성학 연구는 박 교수의 운명이 됐다. 박 교수는 무슨 물질이 체내에서 어떻게 암을 일으키는지를 연구한다. 최종 목적은 치매와 암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p> <p contents-hash="d5b6b96b7ada44e243f20d6b9a58f259ed419c67ee41b169434d98d392bbe229" dmcf-pid="pCazYm3Ilg" dmcf-ptype="general">그는 "시아버지의 경우 암이 치매로 이어졌다"며 "이 같은 사례의 보고는 많은데 원리는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다"고 했다. 박 교수는 "공부를 한다고 며느리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내가 이 연구를 제대로 마쳐야 비로소 도리를 다하는 것"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436598905c14b188e307349e3e0f7a2605c4526e8d682a825746b5e6e897df00" dmcf-pid="UyE21lzTCo" dmcf-ptype="general">연구의 모든 과정이 험난했다. 인터넷은 낯설었고, 논문 찾는 법도 제대로 몰랐다. 피펫을 다루는 손 감각을 익히기 위해 자려고 누워서도 계속 손가락을 움직여댔다. 그렇게 42세에 박사 학위를 받고 박사후연구원 생활 10년을 버텼다. 박 교수는 "하고 싶은 게 너무나도 많았고, 사흘 밤을 새우며 실험을 해도 힘든 줄 몰랐다. 너무 재밌고 소중한 순간들이었다"고 회고했다.</p> <p contents-hash="2cfddebb82983a00388624f501969569227ca3d7e1b112275758a863e8667674" dmcf-pid="uWDVtSqyCL" dmcf-ptype="general">쉼 없이 달려오다 보니 독성학 분야의 세계 상위 1% 연구자(피인용 기준)가 됐다. 그럼에도 박 교수의 삶은 여전히 치열하다. 중견연구자 기초연구과제에 일곱 번 지원했는데 다 떨어졌다. 1일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과 젊은 연구자들의 간담회에 참석한 그는 "며칠 전에도 과제 탈락 소식을 들었다. 세계 1% 연구자보다 한국에서 중견연구자로 인정받는 게 더 어렵다"며 "젊은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줬으면 좋겠다"고 했다.</p> <p contents-hash="53afc8e57a25ff605e8073d5063a6c5149183203b91788e6d5c08b9d861f48b3" dmcf-pid="7YwfFvBWTn" dmcf-ptype="general">늦은 나이에 교수가 된 탓에 정년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박 교수는 "7년밖에 남지 않았는데 해야 하는 연구가 너무 많아서 조급하다"고 했다. 암과 치매의 연관성을 밝히겠다는 일생의 과제에 미쳐보고 싶은데 여건이 안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84231ffb8b9c36476d4687e3b57da023b5ce612e3065e8f981426c7315d91690" dmcf-pid="zGr43TbYli" dmcf-ptype="general">박 교수는 "과제에 떨어질 때마다 조급해진다. 왜 외적 조건 때문에 포기해야 하느냐"며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주면 좋겠다. 정말 자신 있다"고 지원을 호소했다.</p> <p contents-hash="fb63731a1498ae0ce9ee29ac2402ddf3ecd1c17d1ca74f794bc2859e162dc407" dmcf-pid="qHm80yKGlJ" dmcf-ptype="general">[최원석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민정, 男배우 행동에 분노 폭발…촬영까지 중단 ('가오정') 08-01 다음 태극기 든 손흥민-양민혁, 토트넘 선수단 입국 [뉴시스Pic] 08-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