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뛰어⑥] '우중런·폭염런' 악천후를 견디며…대회까지 100일 작성일 08-01 14 목록 <b>◇비가 오거나 해가 내리쬐거나…7월은 러너에게 잔인한 달</b><br>더위가 잠시 주춤하면 비가 쏟아지고, 비가 그치면 숨이 턱턱 막히는 찜통더위가 몰려왔습니다.<br><br>러너에게 지난 7월은 날씨와의 전쟁이었습니다. 평소보다 날씨 예보를 더 자주 들여다봤습니다.<br><br>해가 긴 요즘, 아침 7시에 뛰기 시작해도 이미 해는 중천에 떠 있었습니다. 집 밖으로 나오는 데 더 긴 시간이 걸렸습니다.<br><br>땡볕 아래 달리며 몸은 쉽게 무거워졌고, 1km를 7분에 뛰는 속도로 페이스를 한껏 늦춰도 심박수는 빠르게 치솟았습니다.<br><br>탈수의 위험도 높아지다보니 아침보다는 저녁에 뛰는 일이 더 많아졌습니다. 밤 10시가 넘은 시각에도 한강변은 러너들로 가득했습니다.<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2/2025/08/01/AKR20250801175825843_03_i_20250801175913666.jpg" alt="" /><em class="img_desc">밤 10시가 넘은 한강변 여름철 한강변은 더위를 피해온 러너들의 성지가 됐다.</em></span><br>비가 오는 날엔 또 다른 변수와 싸워야 했습니다. 빗줄기로 시야는 흐려졌고, 젖은 노면 위로 물웅덩이가 지뢰처럼 깔렸습니다.<br><br>물웅덩이를 피해 달리기란 사실상 불가능했습니다. 러닝화는 착지할 때마다 머금었던 빗물을 토해내며 살려달라고 아우성치는 듯했습니다.<br><br>러닝화가 흰색 한 켤레뿐이라, 우중런을 마치고 나면 곧바로 손세탁하는 게 일상이 됐습니다.<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2/2025/08/01/AKR20250801175825843_01_i_20250801175913675.jpg" alt="" /><em class="img_desc">젖은 노면을 달리면서 더러워진 운동화 '우중런'임을 알았음에도 흰 양말을 신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미처 못했다.</em></span><br>함께 뛴 동료 러너는 ‘우중런 전용’으로 수명을 다한 짙은 색 러닝화를 따로 쓰고 있다며 팁을 전해줬습니다.<br><br>러닝이 끝난 뒤엔 체온 관리가 중요했습니다. 저는 에어컨 앞 한순간의 시원함을 택한 대가로 며칠 동안 코맹맹이로 지내야 했습니다.<br><br><b>◇기록 종목에 큰 변수인 기후…카타르에선 3분의 1이 기권</b><br>마라톤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대표적인 야외 종목입니다. 기후에 따라 기록은 물론 완주 여부도 달라집니다.<br><br>2년을 주기로 열리는 세계 육상선수권대회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2019년, 이 대회는 카타르 도하에서 열렸습니다.<br><br>최고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고온 다습한 기후 속에 열린 이 대회에서, 여자 마라톤 1위의 기록은 2시간 32분 34초였습니다.<br><br>2년 전 열린 영국 대회 기록(2시간 27분 11초)이나 4년 뒤 열린 헝가리 대회(2시간 24분 23초)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br><br>엘리트 선수들이 뛰는 대회에서 기록 차이가 8분까지 벌어진 겁니다.<br><br>기권도 월등히 많았습니다. 카타르 대회에선 70명 중 28명이 도중 기권(DNF·Did not finish)을 선언했고, 2명은 아예 경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DNS·Did not start).<br><br>반면 영국 대회에선 92명 중 14명이 도중 기권을 선언했고, 헝가리 대회에선 78명 중 실격 1명과 불참 1명을 포함해 13명이 기권을 선언했습니다.<br><br>기후 조건 하나로 선수들의 퍼포먼스가 극단적으로 갈린 겁니다.<br><br><b>◇100일 앞으로 다가온 결전의 날…거리와 강도를 모두 끌어올릴 때</b><br>11월 2일 열리는 2025 JTBC 서울마라톤이 이제 100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br><br>러닝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석 달 동안의 러닝 기록을 되돌아봤습니다.<br><br>이 기간 매달 160km의 '러닝 마일리지(뛴 거리)'를 채웠습니다.<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2/2025/08/01/AKR20250801175825843_02_i_20250801175913682.jpg" alt="" /><em class="img_desc">신현정 기자의 2025년 상반기 '런말정산' 러닝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5월부터 '러닝 마일리지'를 조금씩 늘려갔다.</em></span><br>아주 소폭이지만 5월보다 6월에, 6월보다 7월에 조금 더 긴 거리를 뛴 것은 고무적입니다.<br><br>러닝 클래스 선생님들이나 주변 러너들의 조언에 따르면 마라톤 풀코스를 뛰기 전에 완료해야 하는 것으론 ①30km 지속주 훈련, ②2~3주에 한 번꼴로 LSD 훈련, ③식단 관리 및 꾸준한 조깅을 통한 몸 만들기 등이 있습니다.<br><br>앞으로 남은 3개월 동안은 월 200km 이상 달리는 것을 목표로 삼아, 거리와 강도를 동시에 끌어올릴 계획입니다.<br><br>혹독했던 여름과 장마철을 버텨낸 만큼, 남은 3개월도 일단 뛰어보겠습니다.<br><br>#마라톤 #풀코스 #육상<br><br>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관련자료 이전 아이스하키 송은석, 일본 '도쿄 와일즈' 입단 08-01 다음 박혜정, 동아시아역도선수권 여자 최중량급 우승 08-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