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크림 발랐다고 이렇게 될 줄은” 휴가 가면 온몸에 ‘덕지덕지’…‘이것’ 다 죽어난다 [지구, 뭐래?] 작성일 08-01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T4JINYcYO">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115c1dc62cf4b7d88d3a0417e69cb0b85ff5dfc5eab4f6ed03cb77366ba892b" dmcf-pid="yQhXV0RuY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해수욕장 방문객이 다리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063odbx.jpg" data-org-width="1280" dmcf-mid="0oTdOaWAX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063odb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해수욕장 방문객이 다리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3d4986c6c7f510fabd14236f311037363441b9ff53a4f6e2fbf018aa07ba27b" dmcf-pid="WxlZfpe7tm"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strong> “선크림 발랐다고 이렇게 될 줄은”</strong></p> <p contents-hash="31245799a5759738e91334fc15f9841bc2ef01adb3fbbd28ac532366467ff61c" dmcf-pid="YMS54UdzZr" dmcf-ptype="general">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역대급 인파’가 해수욕장으로 몰리고 있다. 유일한 걱정은 ‘자외선’. 뜨거운 햇볕을 그대로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3a0348da9c586b3bfc6432d03ec67bb14a570bdca006d60d70efce34ebe06925" dmcf-pid="GRv18uJqYw" dmcf-ptype="general">대부분은 자외선 차단제를 온몸 구석구석 바른다. 물에 씻길 때마다 덧바르다 보면, 하루에 선크림 1통을 다 쓰는 건 일도 아니다.</p> <p contents-hash="6428c8e5c4ba02df0e7cb7e8bfe741d1d1877494f8599992605c206116c50edf" dmcf-pid="HeTt67iBHD" dmcf-ptype="general">하지만 쉽게 간과하는 부분이 있다. <strong>바닷물에 스며든 자외선 차단 성분이 해양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다는 사실.</strong></p> <p contents-hash="b7f73d66b1699cc8e52febfc689c9e31f2a3d125dcfef827c8df19d636a93d39" dmcf-pid="XdyFPznbZE" dmcf-ptype="general">실제 유해 성분이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로 인해, <strong>해양생물 3분의 1을 먹여 살리는 산호초가 죽어가고 있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cd3be2d228b2ca351d971c273351421c6588fc9df2401408b8f8b431113ab12" dmcf-pid="ZJW3QqLKG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달 30일 강원 강릉시 강문해수욕장.[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340vtqg.jpg" data-org-width="1280" dmcf-mid="VmrfjMsdG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340vtq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달 30일 강원 강릉시 강문해수욕장.[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6064a33e3e620edb0f1049a4b7102688c26689a0998f86179ff1db9c9d2d555" dmcf-pid="5OBPEJhLYc" dmcf-ptype="general">국제산호초이니셔티브(International Coral Reef Initiative, ICRI) 보고서에 따르면 <strong>매년 최소 6000톤에서 최대 1만4000톤에 달하는 양의 선크림이 바다에 유입되는 것</strong>으로 추산된다. 바닷가에서의 선크림 사용량과 해수욕 인구 등을 통해 산출한 결과다.</p> <p contents-hash="b48863892abd1eded02711145076c63cdd6a8525a9a2c86db408c1ab7709a9c6" dmcf-pid="1IbQDiloZA" dmcf-ptype="general">특히 우리나라는 자외선 차단제 사용량이 해외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더라도, 일상적으로 선크림을 바르는 문화가 정착해 있기 때문. 햇빛에 유독 많이 노출되는 해수욕장 등에서는 그 사용량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b9af5dda104acd4fc54e5e01ad57261d2d7d137cea114341e9aae1efcb304b4" dmcf-pid="tCKxwnSg1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해수욕장 방문객이 팔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651vuog.jpg" data-org-width="1280" dmcf-mid="fIcCpW9HG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651vuo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해수욕장 방문객이 팔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ef69343753963a33bd87f31c52ba9d4b615058aa89b4398f33df0ea81badb57" dmcf-pid="Fh9MrLvaYN" dmcf-ptype="general">실제 화장품 업계에서도 해수욕 등 야외·레저 활동 시 2시간마다 자외선 차단제를 덧바를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한국산학기술학회가 지난 2019년 여름 부산 해운대 해변 방문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해변 방문자는 하루 평균 약 20g의 자외선 차단제 두 번 이상 반복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68eb7d1ff88c0fae16356b01532f021c88bfe42dc42c6b14d429363218fad0f1" dmcf-pid="3l2RmoTNYa" dmcf-ptype="general">문제는 바닷물에 씻겨 내려간 선크림이 해양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 특히 다수 선크림에 포함된 옥시벤존, 옥티노세이트 등 유기 자외선차단제 성분은 <strong>산호초 등 해양생물에 치명적인 독성 물질</strong>로 작용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f9fc0f234b3abddfbd4e813dc279a7868e77d2d5eb778c9555f646076f7a744" dmcf-pid="0SVesgyjY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백화 현상이 나타난 산호초 모습.[ICR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960dlpq.jpg" data-org-width="1280" dmcf-mid="4XrTqZ8tZ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4960dlp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백화 현상이 나타난 산호초 모습.[ICR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913c1ecba8e49785ffd8d9a031298fe61bc9e4a8b10b7161c65e0d2a0c600db" dmcf-pid="pvfdOaWAto" dmcf-ptype="general">미국 국립해양대기청 연구에 따르면 옥시벤존 성분은 산호의 DNA를 손상하는 내분비계 교란물질 역할을 한다. 옥시벤존에 노출된 산호는 껍질을 성장시키지 못하고, 그 안에 갇혀 결국 죽음에 다다른다.</p> <p contents-hash="e022fbf5bf3eabfaa708dbb1a14ea28bc5156120c727476d52ad370741ae60a3" dmcf-pid="UT4JINYcHL" dmcf-ptype="general">바다의 크기를 고려하면, 흘러 들어가는 선크림 성분은 극히 미미하다. 하지만 옥시벤존은 극소량만으로도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strong> 실제 1만6250톤의 물에 단 한 방울의 옥시벤존만 녹아 있더라도, 산호 등에 유해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90dbda2b764508867b8269c4c4da235abc7a9e2cb663b8c1cfca65bf1384bd5" dmcf-pid="uy8iCjGkH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백화 현상이 나타난 태평양 산호초.[ICR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5226wydr.jpg" data-org-width="1280" dmcf-mid="8uLDZCuS5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5226wyd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백화 현상이 나타난 태평양 산호초.[ICR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f90f9559f5e66201822dc5dd838d6725e48109632baf40d4ed25ce0b094776b" dmcf-pid="7W6nhAHEti" dmcf-ptype="general">산호의 죽음은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strong>인류가 현재까지 발견한 해양생물 약 3분의 1은 생존 과정에서 산호초의 도움을 받고 있다. </strong>50만종 이상은 산호초 주변에서 서식하며, 식량과 번식지 등을 제공받는다. ICRI에 따르면 세계 인구 중 산호초로부터 직접·간접적 이익을 얻는 이들이 10억명에 달한다.</p> <p contents-hash="f0f668a27e10e95d9bb78a404c762254104b5be9e373a61355a86e8050bb07ef" dmcf-pid="zYPLlcXD1J" dmcf-ptype="general">산호 피해를 우려해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금지하는 곳도 있다. 미국 하와이는 2021년부터 옥시벤존과 옥티노세이트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의 판매와 유통을 금지하고 있다. 태국 또한 같은 해 8월부터 모든 해양국립공원 내에서 유해 성분이 포함된 선크림 사용을 금지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22fdd5da55bb979f56ce8c00a3c1a4fbed827605ce1b9096c92d5e6a543fbc1" dmcf-pid="qv8iCjGkY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달 27일 오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물놀이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5577sjkz.jpg" data-org-width="1280" dmcf-mid="6YfdOaWA1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5577sjk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달 27일 오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물놀이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c9b3a5f2d3440673304b56ccedb72732c2bb43f16e420e2228d02285843a232" dmcf-pid="BT6nhAHEXe" dmcf-ptype="general">하지만 한국을 포함한 대다수 국가는 여전히 성분 함량을 일정 수준 규제하는 정도로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또한 인체 유해성을 기준으로 설계돼, 환경 관련 기준은 거의 반영되지 않은 상황이다. <strong>여전히 다수 자외선 차단 제품에 산호 유해 성분이 함유돼 있다는 것.</strong></p> <p contents-hash="d985137efae28785326769d8c4b70e09dc403e2978438c852df5b7bb1c2ff50e" dmcf-pid="byPLlcXDGR" dmcf-ptype="general">녹색연합이 시민참여 모니터링을 통해 시중에 판매·사용되는 선크림에 유해 성분이 함유돼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총 79개 제품 중 60%에 달하는 47개 제품에서 한 개 이상의 유해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5e404f868e5fda619dc8b08a487df6994e61af6785e86eb6bf2e1634bddc79c" dmcf-pid="KWQoSkZw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해수욕장 방문객이 다리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5953jyfe.png" data-org-width="1280" dmcf-mid="PhZ7d2j4G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5953jyfe.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해수욕장 방문객이 다리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3ab46b7d0bb03259a5393c7ee1b9f86e3658f488730c2e89a37dd5cf3b82223" dmcf-pid="9YxgvE5r1x" dmcf-ptype="general">이에 일부 대기업을 포함한 화장품 업체들에서는 해양 오염과 무관한 성분을 사용한 ‘리프세이프(reef-safe)’ 제품을 개발 및 보급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해수욕장을 찾는 소비자들이 나서서 유해 성분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p> <p contents-hash="70d23baee7544c77418fc42c4a9b229f82b26655dea4dba781427441cbe09437" dmcf-pid="2GMaTD1m5Q" dmcf-ptype="general">녹색연합 관계자는 “제조사들은 유해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소비자들 또한 생태계에 해로운 성분이 없는 제품을 선택함으로써 생산자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85bc66d7af0210a07585675db8ec1f3b04399dd293fb130c28e836d1c8d7db1" dmcf-pid="VHRNywtst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6223akih.jpg" data-org-width="1280" dmcf-mid="QsOYKtQ0Y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d/20250801174216223akih.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영광 "'트리거' 문백은 친절한 악당...'이도' 김남길과는 애증관계" [RE:뷰] 08-01 다음 "애들 게임인 줄 알았는데"…국내 첫 팝업에 오픈런 행렬 08-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