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도로 위에서 사랑도 정체성도 길을 잃다 작성일 08-01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리뷰] 영화 리버 피닉스의 절절한 청춘과 쓸쓸한 미국의 얼굴 아이다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GYdFbg2pn"> <p contents-hash="7d8e43f91e9ea705cb6fa4372e9bcc9bfc5c65bb20a1b861fb18eb7628967aa1" dmcf-pid="2HGJ3KaVui" dmcf-ptype="general">[김승기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da5ff5d134efa68cae1ae34c640a6342eebf88c4acddcfda0b3f14af1123c56a" dmcf-pid="VXHi09Nf7J"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ohmynews/20250801102402430rubk.jpg" data-org-width="557" dmcf-mid="ZmQWnE5rU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ohmynews/20250801102402430rubk.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영화 <아이다호>의 한 장면.</td> </tr> <tr> <td align="left">ⓒ 뉴라인시네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b9574a7557e978d9b76ee6754b562968e12444d618be7eb364e025cc6ca9bd31" dmcf-pid="f3FNq6DxFd" dmcf-ptype="general"> 한 사람이 태어나고, 살아가고, 어딘가로 향한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 누군가는 뚜렷한 목적지를 향해 달리고, 누군가는 떠날 이유조차 모른 채 어디론가 흘러간다.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아이다호(My Own Private Idaho)>는 바로 그 두 번째 길 위에 선 사람들의 이야기다.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 이 로드무비는 우리가 흔히 알던 미국의 자유와 희망이라는 이미지 대신, 낡고 버려진 도시와 상실의 감정으로 가득 차 있다. </div> <p contents-hash="8e5c4f7b51dbd25af94b89c1b86b0f4c9f669704dc4d8020fc9b5db681aaed5f" dmcf-pid="403jBPwM7e" dmcf-ptype="general"><strong>길 위에 선 두 청춘, 그리고 끝내 닿지 못한 마음</strong></p> <p contents-hash="82a9c0dad9fafcc4f63b6fb9f61cb3f836278ecffcf2634410def54492e71b62" dmcf-pid="8p0AbQrR7R" dmcf-ptype="general">기면증을 앓는 청년 마이크(리버 피닉스)는 늘 길 위에서 눈을 뜬다. 정확히 어딘지도 알 수 없는 대지 위에서 깨어나는 그의 모습은, 이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선 존재처럼 보인다. 그는 엄마를 찾기 위해, 아니 어쩌면 자신이 누구인지를 확인하고 싶어서, 거리를 떠돌고 있다. 그런 마이크 곁에는 부잣집 아들이지만 거리의 삶을 택한 스콧(키아누 리브스)이 있다. 두 사람은 마치 세상의 가장자리에서 조용히 손을 맞잡은 동반자처럼 보이지만, 둘의 관계는 애초부터 어긋나 있었다.</p> <p contents-hash="5646500355eac60e23a644784133fc8cea52f9c6f8faac7abb0e2e1e75fab03b" dmcf-pid="6UpcKxmepM" dmcf-ptype="general">마이크는 스콧을 사랑한다. 말 그대로, 자신을 온전히 내맡길 만큼 진심이었다. 하지만 스콧은 그 마음을 애써 피하고, 결국은 자신이 원래 있던 상류사회의 삶으로 돌아가 버린다. 마이크는 혼자 남고, 카메라는 마지막 장면에서 고요히 쓰러진 그의 몸을 비춘다. 아무도 없는 도로 위, 마이크는 깨어날 수 있을까. 아니, 깨어날 이유가 남아 있을까. 그렇게 영화는 대답하지 않은 채 끝난다.</p> <p contents-hash="076432cf80d4b342135561c8e51749a966270baa4dfa9b40ebbda5183e9b20f8" dmcf-pid="PuUk9Msdpx" dmcf-ptype="general"><strong>아이다호, 자유의 땅이 아닌 고독의 풍경</strong></p> <p contents-hash="5c8270b237e2de5256018a37e991cffd78f3948ac872ec1c3918cdb8cda4b89a" dmcf-pid="Q7uE2ROJ3Q" dmcf-ptype="general">이 영화는 단지 개인의 방황만을 다루지 않는다. 구스 반 산트 감독은 미국이라는 나라가 품고 있는 이면, 말하자면 '자유의 땅' 뒤에 가려진 외로움과 공허를 정면으로 응시한다. 특히 제목이기도 한 '아이다호(Idaho)' 주는 그 상징성이 뚜렷하다. 미국 북서부의 한적한 시골 지역인 이곳은 영화 속에서 폐허 같은 도심과 황량한 벌판으로 등장한다. 도시지만 생기가 없고, 평야지만 자유롭지 않다. 그곳은 마치 '소속되지 못한 자들'을 위한 유배지처럼 묘사된다.</p> <div contents-hash="936ffb937db040d0fa58b7559d9f303ae4ab27778ce0cbe92f558c51790cdfb1" dmcf-pid="xwDbhX417P" dmcf-ptype="general"> 아이다호라는 지명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주인공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처럼 기능한다. 누군가에게 고향이었고, 누군가에게는 도착지였던 이 땅은, 결국 누구에게도 집이 되지 못한다. 미국 로드무비의 전통이 '길 위에서 자아 찾기'라면, <아이다호>는 그 길 끝에서조차 자아를 찾지 못한 이들의 침묵과 아픔을 담아낸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d3d14fe332f4b30bfed3b2312ef75b821af32de8b23a5b67541a96079bbd6728" dmcf-pid="yBqr4JhLz6"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ohmynews/20250801102403764tane.jpg" data-org-width="577" dmcf-mid="0b1g74kPU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ohmynews/20250801102403764tane.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영화 <아이다호>의 한 장면.</td> </tr> <tr> <td align="left">ⓒ 뉴라인시네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84d6a73c8a1f4f78c9df6c718be29247ce8531568b72d08545dfd742ba7ddf96" dmcf-pid="WbBm8ilo38" dmcf-ptype="general"> <strong>리버 피닉스, 짧지만 깊게 빛났던 청춘의 얼굴</strong> </div> <p contents-hash="9b29adda0f961449a2d905076cab1689068fcc9db27c0d7d17703bb710067e08" dmcf-pid="YKbs6nSg04" dmcf-ptype="general">리버 피닉스는 이 영화에서 단순히 '연기를 잘한 배우'로 남지 않는다. 그는 마이크 그 자체였다. 그가 화면 속에서 울 때, 떨릴 때, 쓰러질 때 관객은 그의 아픔을 함께 앓는다. 그가 표현한 고독과 갈망은 대사보다 침묵에서, 동작보다 눈빛에서 전해진다.</p> <p contents-hash="14a7d275fdb98345e05c7d4b5ddbbb8efb4e55b1d0fa8c5756e882d863fe9542" dmcf-pid="G9KOPLva0f" dmcf-ptype="general">나는 그가 출연한 또 다른 영화, <샌프란시스코에서 하룻밤>도 좋아한다. 샌프란시스코의 밤거리에서 짧게 만난 두 청춘의 이야기를 그린 이 작품에서도, 리버 피닉스는 섬세하고도 절제된 감정 연기로 기억에 남는다. 그런 그가 <아이다호>에서 보여준 절규는 더욱 아프게 다가온다. 안타깝게도 그는 <아이다호>를 찍은 지 불과 2년 뒤, 스물셋의 나이에 약물 과다로 생을 마감했다. 그 사실을 떠올릴 때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더욱 깊은 쓸쓸함으로 다가온다.</p> <p contents-hash="a70038c10aa9844217109599a0ed60e5200e905ffcf7cc036557f1b16c19926d" dmcf-pid="H29IQoTNpV" dmcf-ptype="general"><strong>해피엔딩이 없는 로드무비, 그래서 더 절절한</strong></p> <p contents-hash="d11009eb00c0fbed819e62e1938865435dba96ec86791d4ada81da690acaba71" dmcf-pid="XV2CxgyjF2" dmcf-ptype="general"><아이다호>는 결코 친절한 영화가 아니다. 명확한 메시지도, 안락한 결말도 없다. 우리는 주인공들과 함께 길을 떠나지만, 끝내 어떤 도착도 경험하지 못한다. 마이크는 잠들고, 스콧은 떠난다. 그 뒤에 남는 건 침묵뿐이다. 그러나 오히려 그 정직함이 이 영화의 가장 큰 미덕이 된다. 누군가의 사랑은 끝내 닿지 않고, 누군가는 길 위에서 사라진다. 그것이 삶이다.</p> <p contents-hash="4287dea7c63a619b5226d841e6712b4d70dec21aa5d96468f720457f447df913" dmcf-pid="Z84SejGk09" dmcf-ptype="general">길 위에서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 소속되지 못한 사람들, 혹은 자신이 누구인지 아직 알지 못하는 이들에게 <아이다호>는 말한다. "지금 너는 어디쯤 와 있니?"라고. 그리고 그 물음은 스크린 밖, 우리에게도 향한다.</p> <div contents-hash="9a4e8535899e1bdcef931d0f6a33ee61a1c4e44f4f6133360d8e1b44c9700430" dmcf-pid="568vdAHE3K" dmcf-ptype="general"> 더욱 아쉬운 점은, 이 영화가 현재 국내 주요 OTT 플랫폼에서 제공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보고 싶어도 쉽게 볼 수 없는 명작, 기억 속에서만 회자되기엔 너무도 아까운 작품이다. 2019년 한국에서 재개봉을 했지만 지금은 볼 수 없다. 언젠가 극장에서 다시 이 영화를 만날 수 있기를. 거대한 스크린 위, 아이다호의 황량한 벌판과 리버 피닉스의 눈빛이 다시 살아나길 바란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b2d6a3b840006ebbd1d7668bb6d2ce99791956adcb27b927f3d4a691a6fe331b" dmcf-pid="1P6TJcXD0b"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ohmynews/20250801102405191lnjs.jpg" data-org-width="524" dmcf-mid="KTzwfdCnp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ohmynews/20250801102405191lnjs.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영화 <아이다호> 포스터.</td> </tr> <tr> <td align="left">ⓒ 뉴라인시네마</td> </tr> </tbody> </tabl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팽현숙, ♥최양락 기겁시킨 ‘시선강탈’ 수영복 “누가 환갑으로 봐요” 08-01 다음 김장훈, 드라마 '파인'에 깜짝 등장..."한 달 동안 연기 연습" 08-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