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 감자칩엔 케첩 이유 있었네…감자는 토마토 자손이었다 작성일 08-01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中 연구진, 감자에서 토마토와 에투베로숨 유전자 발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G5OElzTN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9c5b6010729e9a441aadb8e0ae83145b992f7f6ca585d4f2ad6f62f63fa7929" dmcf-pid="UH1IDSqyN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감자 튀김은 토마토 케첩과 궁합이 맞는다. 감자는 토마토에서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pixabay"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chosunbiz/20250801102255682owgt.jpg" data-org-width="1280" dmcf-mid="Z9gtGpe7c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chosunbiz/20250801102255682owg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감자 튀김은 토마토 케첩과 궁합이 맞는다. 감자는 토마토에서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pixabay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e84c741013ac92ab8fc3d6f1b50778d25c57f1fcf568cadac9898e7b02a155" dmcf-pid="u6Mz3KaVN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chosunbiz/20250801101805653qygp.png" data-org-width="1232" dmcf-mid="0tZM3KaVj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chosunbiz/20250801101805653qygp.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6e0177c920e7d723f38d8562e7b31b8536df59ef1ef9fb87bd226984d7c3872e" dmcf-pid="7PRq09NfoI" dmcf-ptype="general">감자 튀김은 토마토 케첩에 찍어 먹어야 제맛이다. 감자와 토마토가 궁합이 맞는 것은 필연적이었다. 감자가 약 900만년 전 남미에서 자생하던 토마토 계열의 식물에서 탄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발견은 감자의 덩이줄기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해결할 단서가 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39bde32e6024bdd2e5e5ea5f9c24c66bfbd780e31df2ff1b1819ef01fc9c1c5a" dmcf-pid="zQeBp2j4NO" dmcf-ptype="general">중국 농업과학원 산하 선전 농업유전체학연구소 연구진은 야생 토마토와 에투베로숨(Etuberosum) 사이의 자연 교잡으로 오늘날 감자가 생겨났다고 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 ‘셀(Cell)’에 게재됐다.</p> <p contents-hash="74f7812857da8e90e84f72821c8b0f57d7e74d392e5da0ac7814cd2ffb36cfd1" dmcf-pid="qxdbUVA8ks" dmcf-ptype="general">오늘날 감자는 칠레에서 자생하는 에투베로숨이라는 식물과 겉모습이 비슷하다. 하지만 유전적으로는 토마토에 더 가까운 것으로 알려지면서 감자의 기원은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감자는 땅속 덩이줄기를 잘라 번식시키는데, 에투베로숨은 씨앗으로 번식하는 속씨 식물이다. 덩이줄기는 줄기의 끝 부분이 굵어진 형태로 땅속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p> <p contents-hash="e91dd02d7424072e3c2ecd95f0de64d2f00aa75d9b49c03e0ad5e6196dfa5100" dmcf-pid="BMJKufc6cm"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재배 감자 450종과 야생 감자 56종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감자 종에 토마토와 에투베로숨의 유전자가 섞여 있었다. 두 식물 사이에서 자연적인 이종교배가 일어나 감자의 조상이 탄생했음을 뜻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141875c465a2423d54bae25178760cb1713e2e5dd3e912b71c2560d6fa9ce06" dmcf-pid="bRi974kPk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덩이줄기가 없는 에투베로숨과 토마토가 만나 오늘날 감자가 탄생한 것으로 밝혀졌다./지아 유신(Yuxin Jia), 왕 페이(Pei Wan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chosunbiz/20250801102257250zuow.jpg" data-org-width="2000" dmcf-mid="0yeBp2j4c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chosunbiz/20250801102257250zuo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덩이줄기가 없는 에투베로숨과 토마토가 만나 오늘날 감자가 탄생한 것으로 밝혀졌다./지아 유신(Yuxin Jia), 왕 페이(Pei Wang)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8ee233d93b68de17e27d48e1c873df180279cabe4dac83d91c32b9206bdfdd0" dmcf-pid="Ken2z8EQAw" dmcf-ptype="general">과학자들은 그동안 에투베로숨과 토마토가 1400만년 전 공통 조상에서 갈라진 뒤, 500만년간 따로 진화했다고 생각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두 식물이 서로 교배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이 확인됐다.</p> <p contents-hash="c924b7b4e68f103ae060928df80f39860a4b041debdd991568bab7b8dbdd608b" dmcf-pid="9dLVq6DxjD"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감자의 핵심 형질인 덩이줄기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도 밝혔다. 덩이줄기를 만드는 시기를 알려주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유전자는 토마토에서, 덩이줄기에서 뿌리가 성장하도록 돕는 유전자는 에투베로숨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두 유전자가 함께 작동해야만 덩이줄기를 만들 수 있는데, 토마토와 에투베로숨 조합이 감자가 진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p> <p contents-hash="f36bc7a1664b5753c4175e727b2c0fddd8a2be2587ce1ba71a45dcdc8136061f" dmcf-pid="2JofBPwMaE" dmcf-ptype="general">감자의 덩이줄기는 안데스산맥이 급격히 솟아오르던 시기에 감자가 살아남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고산 지형이 급변하는 가운데, 감자는 덩이줄기로 땅속에 영양분을 저장할 수 있었고, 씨앗이나 꽃가루 없이도 덩이줄기에서 싹을 틔워 번식할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82ff96460ad197acf98349a1ef4cb6151eea1a11e9ad527f7959728bd9fb711b" dmcf-pid="Vig4bQrRkk" dmcf-ptype="general">황 산웬(Sanwen Huang) 중국 농업과학원 교수는 “덩이줄기의 진화는 감자가 척박한 환경을 이겨내고 다양한 생태계로 퍼져나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감자의 다양성을 만든 배경”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06aed753b8191bd97263962173164859d39e47d76f7725f3b74cf0a91ec3bbe6" dmcf-pid="fna8Kxmegc"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c28c2476b1686f8466e5b6585218758f3b71f33c0548a8bbf641d6e0e4517869" dmcf-pid="4LN69MsdkA" dmcf-ptype="general">Cell(2025), DOI: <span>https://doi.org/10.1016/j.cell.2025.06.034</span></p> <p contents-hash="2bd40b294badf9e2da4e3b3c9784204797b3e535f7d2cb059edfea68c9105cd2" dmcf-pid="8ojP2ROJNj"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앳하트 '174cm' 미치X'172cm' 나현, 하이클래스 퍼포먼스 선사 08-01 다음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모먼트컬처, 통합형 전시 기술로 미디어아트 새 역사 쓴다 08-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