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을 넘어 '사고'를 돕는 AI…스타트업 라이너의 생존 전략 작성일 08-01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형 AI에이전트 시동]⑤ 김진우 라이너 대표 인터뷰<br>한국은 '서비스' 경쟁력 가져…"승산 있는 기업에 집중 지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plTn1P3Xv"> <p contents-hash="15c2f53a82a9500bede21a9b04cdd92e1bc2b25dafe05fc2292c90d95603a684" dmcf-pid="HUSyLtQ0HS" dmcf-ptype="general"> [편집자주] 빨라도 너무 빠르다. 챗GPT 등장 후 AI 기술이 축적되며 곳곳에 인공지능 생태계가 뿌리내렸다. AI 모델로 발굴한 연구 성과가 노벨 물리학과 화학상을 받으며 충격을 줬고 기술적 특이점을 가늠해보려는 시도는 이미 의미가 없어졌다. 특이점에 다다른 인공지능은 이제 기존 서비스를 대체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일상의 대부분 서비스를 AI로 대체하는 건 산업혁명을 뛰어넘는 변화이자 막대한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기회이기도 하다. AI 에이전트 패권경쟁에서 우리의 생존전략과 살려야할 강점은 무엇인지 현장 목소리에서 답을 찾아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17ab537ac61cb43b9d1f019dac0eb3e11881a8671d1f16c934e8a2b5ed1a076" dmcf-pid="XuvWoFxp5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진우 라이너 대표 (라이너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WS1/20250801053137088klhc.jpg" data-org-width="1400" dmcf-mid="YUdnukZwZ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1/NEWS1/20250801053137088klh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진우 라이너 대표 (라이너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06f61fd15bf990503c812f3b0546a1f56bfec164163e3fef6c6c24eb08aea66" dmcf-pid="Z7TYg3MUGh"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p> <blockquote class="quote_frm" contents-hash="a0a5bb52ba966f07752e60028270b04547c888c3c612def9b513d2bbff1aa377" dmcf-pid="5zyGa0RuXC" dmcf-ptype="blockquote1"> "중학생도 노벨 수상자만큼의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 </blockquote> <div contents-hash="7ce8c66c02ad00c75c5397bfd385b9c3bcdef0bd61a4689c6876464cd5878222" dmcf-pid="1qWHNpe7YI" dmcf-ptype="general">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라이너(LINER)는 단순한 AI 검색을 넘어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까지 돕는 'AI 검색 에이전트(비서)'로 거듭나고 있다. </div> <p contents-hash="c8556bd9e9af7b5504dd2f585c8efb806961512ca1f0b74def10b7ec1fb3c308" dmcf-pid="tSaA9OphXO" dmcf-ptype="general">김진우 라이너 대표는 1일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오랜기간 연구를 한 직관이 발달한 사람이 인류의 지식을 발전시킬 수 있지만 '바이브 리서치'(vibe reserch) 시대가 오면 누구나 할 수 있다"며 "목표는 바이브 리서치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6a3371bc0c1af1d2c9b6c7354d4ac21ee131153b236c3b9d50f9869e16c7b2d9" dmcf-pid="FvNc2IUlXs" dmcf-ptype="general">김 대표가 정의하는 '바이브 리서치'란 단순히 자료를 찾는 걸 넘어서 AI가 창의력을 발휘해 없는 지식도 만들어내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외부에 해결책이 없고 인간의 머릿속에서 해내던 것들을 AI가 돕는 것이다.</p> <h3 contents-hash="5d8c4d7499a187271aaf9408318e106ae83f3282d78b29fb579b9c494ab53cc7" dmcf-pid="3TjkVCuS1m" dmcf-ptype="h3">"뾰족한 문제 해결과 깊은 접근이 생존 전략"</h3> <p contents-hash="6343f3ed7bf5b62e680b6dceaff28187a00880a139c58d3dc21d7ab5ffb26e71" dmcf-pid="0yAEfh7vtr" dmcf-ptype="general">라이너는 AI가 제공하는 답변의 각 문장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함께 사용해 '가장 정확한 AI 검색 서비스'를 지향한다. 전체 이용자의 95%가 글로벌에서 나오고, 유료 구독자 중 90%가 대학생, 석·박사, 연구원일 정도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p> <p contents-hash="729c0c97c19591db9447ed95783ca517dddbd67f68576dc1ba916bf6b58ff7bb" dmcf-pid="pWcD4lzTZw" dmcf-ptype="general">라이너가 글로벌에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뾰족함'에 있다. 기술은 구글이 금방 만들지만 사용자와 문제를 가장 잘 이해하는 '뾰족한' 서비스 설계는 구글도 쉽게 베낄 수 없다고 봤다. </p> <p contents-hash="e1155f81e72254a987633ef96dd3be44e1555f40f7583fc1976c4a5bcb9e2d87" dmcf-pid="UYkw8SqyXD"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새로운 기술이 나왔을 때 그 기술이 고객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를 누구보다 빠르게 상상하고 실험해 보는 능력이 스타트업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b3fb2068a30aed9aa9e2d68459df48938d78edacf9b8b62ac16f6e03c60b5ae" dmcf-pid="uGEr6vBW1E" dmcf-ptype="general">예컨대 코딩 스타트업 '커서'(Cursor)는 챗GPT가 코딩 서비스를 시작해도 대체되지 않았다. 코딩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영역만 파는 스타트업은 대기업이 이길 수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p> <p contents-hash="dc0bce6ecb6a868f7a8513808a10e6d93fda40b81b97b91c2df7ee37bdba39eb" dmcf-pid="7HDmPTbYHk"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기술은 목적이 뚜렷할 때 발전한다"며 "라이너는 '정확한 검색'이 아니라 '연구자가 자료를 정리하고 활용하기 쉬운 도구'를 만들겠다는 목표에 집중했고 성공했다"고 말했다.</p> <h3 contents-hash="6eccff67e3ef23ee27c037274ab30b1fa36a2309d21741fe92606838e4d3b793" dmcf-pid="zXwsQyKGHc" dmcf-ptype="h3">한국 AI 경쟁력은 '서비스'</h3> <p contents-hash="2c470746cab0f095151f97a5ed3635cc0c60a0225df334c4111ab1da2ec316e7" dmcf-pid="qMuqh8EQGA" dmcf-ptype="general">라이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SK텔레콤(017670) 컨소시엄 소속으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서 라이너는 모델 기술을 실제 사용자 서비스에 적용해 확산시키는 역할을 맡았다.</p> <p contents-hash="ee5be366a231e57a69381a0f6f1c15c9406d77e53b2171261044e47a44594173" dmcf-pid="BR7Bl6Dx1j" dmcf-ptype="general">그는 네이버(035420)의 검색, 카카오톡 메신저처럼 한국이 자국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성공적으로 방어해 낸 사례를 언급하며 "AI 시대에서도 한국의 '서비스' 역량은 충분히 승산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79aab99696be30505c4809c17a1f6bd5918e960a530e833e1dfabbf442d29966" dmcf-pid="bezbSPwM5N" dmcf-ptype="general">이를 위해 정부의 '집중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내 AI 시장 규모만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는 사명감도 있다.</p> <p contents-hash="d35e8032868f2b346e75b3696459979c8bf862afd911fa9823ad94ff05006738" dmcf-pid="KdqKvQrRHa"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한국에서 만든 서비스가 전 세계로 확산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마케팅, 세일즈가 필요하다"며 "세계 무대에서 싸웠을 때 승산있을 것으로 보이는 기업을 적극 지원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f1351e4626f183b204b9bd418302b239788e0e36ba765aac9139f77ab7c672d" dmcf-pid="9JB9TxmeXg" dmcf-ptype="general">이어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이 된 뒤 구글지도는 '멕시코만'을 '미국만'으로 바꿨다. 멕시코 사람들에게 멕시코만은 사라진 셈"이라며 "우리도 동해가 없어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AI를 포함한 핵심 서비스를 우리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ff882b9ecfd34ccbc0df55daaf0624a185539062a57bcbcbe5992f711867bfb2" dmcf-pid="2ib2yMsdYo" dmcf-ptype="general">eom@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작곡가 박토벤, 전처와 재결합 아니었다…♥가수 예비아내 공개 (특종세상)[종합] 08-01 다음 [스포인트] 하늘 위 아찔한 질주...익스트림 모토크로스 08-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