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교통부, 카카오모빌리티 방문해 자율주행기술 체험 작성일 07-31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자율주행차 시승 및 사례 청취</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oi0TQrRyt">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8ad2a56da7e623af78cfe652239da69931f66bfce7ad1d66a41acc6ba678bb8" dmcf-pid="BgnpyxmeC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타냐 브라인세일스 벨기에 교통·기후·생태전환부 전략모빌리티국장이 지난 25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모빌리티 사옥 인근에서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dt/20250731182205404ptye.jpg" data-org-width="640" dmcf-mid="z78Yrbg2l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dt/20250731182205404pty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타냐 브라인세일스 벨기에 교통·기후·생태전환부 전략모빌리티국장이 지난 25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모빌리티 사옥 인근에서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b8da95fbe039c15be4b6cfe872748116c64ae7b2b0ec70a9fd42426752bd6a9" dmcf-pid="baLUWMsdW5" dmcf-ptype="general"><br> 카카오모빌리티는 벨기에 교통·기후·생태전환부 소속 타냐 브라인세일스(Tanja Bruynseels) 전략모빌리티국장이 최근 판교 사옥을 방문해 자율주행 기술을 살펴봤다고 31일 밝혔다.<br><br> 이번 방문은 카카오모빌리티의 사례 참조를 희망한 벨기에 측의 요청으로 성사됐다. 주한 벨기에 대사관은 “자율주행차 개발·도입이라는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과제에 있어 유럽연합(EU) 내 주도적인 역할을 희망하는 벨기에 정부의 의지에 따라 추진됐다”고 전했다.<br><br> 지난 25일 카카오모빌리티를 찾은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카카오모빌리티에서 준비한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해 약 30분간 판교 일대 주행을 직접 체험했다. 이후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시대 대비 현황과, 지난해부터 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로 선정돼 활동한 경과에 대해 청취했다. 몇몇 글로벌 빅테크가 주도하고 있는 자율주행 상용화 흐름 속에서도 자체 기술 역량 수준을 높여가고 있는 점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회사는 설명했다.<br><br>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카카오모빌리티가 한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제도와 서비스를 만들어 가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카카오모빌리티가 이용자들의 패턴, 서비스 통계 등을 토대로 모빌리티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는 점과 관제·운영·자율주행·디지털트윈 등 여러 요소에서 두루 강점을 갖춘 점 역시 인상적”이라 말했다.<br><br>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체 개발한 AV키트가 탑재된 3세대 자율주행 차량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고, 오토라벨링을 통해 자동 분류하는 대규모 학습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있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실제 주행 없이도 장애물 유형을 다양하게 입력하는 등 시나리오 확장 및 알고리즘 검증 과정을 포함한 AI 학습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AI 학습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알고리즘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센서와 하드웨어 최적화도 진행 중이다.<br><br>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벨기에 교통부에서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기술 및 운행 사례 등에 관심을 보여준 점을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모빌리티와 자율주행은 지역적 특성이 강한 사업영역으로 기술과 사업적인 내용이 모두 함께 지원이 돼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한 만큼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 등 요소를 다각도로 준비해나갈 것”이라 했다.<br><br> 팽동현 기자 dhp@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그냥 안 잤다"...주우재, 극심한 '불면증' 때문에 '無수면' 촬영 감행? 07-31 다음 지드래곤, 자카르타 홀린 강렬한 퍼포먼스…"내년에도 와 줘요" 07-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