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기업] 텐센트 클라우드 "韓, 아시아 핵심지역… 게임 넘어 미디어·OTT 둥 서비스 확대" 작성일 07-31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韓시장 진출 7년… 매년 두자릿수 성장<br>자체 LLM '훈위안', 산업 전방위 활약<br>서울에 가용영역 2곳 운영… 현지화 집중<br>한국기업 해외 진출 지원·협업 강화 방침</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KKDL1P3S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08daad1d9b9185dfd34e2b1ecaa6b2dabf3d2128607dad52155dd0382825835" dmcf-pid="VffsN0RuT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허정필 텐센트클라우드코리아 컨트리 매니저. 텐센트 클라우드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dt/20250731181728386kelp.jpg" data-org-width="640" dmcf-mid="9hc0YROJv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dt/20250731181728386kel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허정필 텐센트클라우드코리아 컨트리 매니저. 텐센트 클라우드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8ecfb99bca3a9a5b127f384f7c0f24164c1a116502d424f10e74abdd6b297b0" dmcf-pid="f44Ojpe7So" dmcf-ptype="general"><br> 한국 진출 7년차인 텐센트클라우드가 게임 산업을 넘어 미디어·리테일·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다양한 분야로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기술 지원을 확대한다. 한국을 아시아 전략 핵심 지역으로 꼽은 텐센트 클라우드는 글로벌 플랫폼 운영 경험과 AI 기술력을 앞세우며 국내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진출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br><br> 지난달 3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 클라우드는 이미 국내 게임 및 라이브 스트리밍 산업에서 핵심적인 기술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국내 게임사는 텐센트 클라우드의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AI 기반 개인화 추천 시스템, 인앱 커뮤니케이션 기술 등을 활용해 서비스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고도화하고 있다.<br><br> 이처럼 텐센트 클라우드가 한국 게임업계의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던 것은 대규모 플랫폼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10억명 이상이 이용하는 위챗·웨이신을 운영하며 대규모 트래픽과 실시간 피드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기술을 설계하고 운영한 경험을 축적했다.<br><br> 또한 모회사인 텐센트가 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산업에 최적화된 기술과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r><br> 허정필 텐센트클라우드코리아 컨트리 매니저는 "올해 회사가 한국에 진출한 지 7년이 되는 해이며 한국은 아시아 시장에서 가장 전략적인 핵심 시장 중 하나"라며 "실제로 국내 상위권 게임사들이 회사의 기술을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면서 텐센트 클라우드가 한국에서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br><br> 이어 "텐센트클라우드는 텐센트 그룹 전반의 디지털 생태계 운영 경험과 깊이 있는 소비자 이해를 토대로 한국 파트너들이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고 새로운 수익 모델(BM)을 창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연결된 디지털 환경을 함께 구축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br><br> 텐센트 클라우드는 게임 산업에서 쌓은 역량을 토대로 미디어, 리테일, OTT 등 국내 다양한 산업군으로 기술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게임 외에도 소셜미디어(SNS), 이커머스,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엣지 컴퓨팅 등 국내 B2C 산업군에게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다.<br><br> 허 매니저는 "텐센트 클라우드는 고객 중심 맞춤형 서비스와 산업별·AI 기반 특화 솔루션, 현지화된 인프라, 인재 투자 등을 통해 파트너십 기반의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br><br> 이러한 자신감은 모회사의 AI 기술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텐센트는 2023년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훈위안'을 공개했다. 이 모델은 텐센트의 900개 이상 제품에 통합돼 있으며 공공서비스, 의료, 교육, 문화·관광, 금융, 제조, 유통 등 30개 이상의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br><br> 이후 텐센트는 지난해 훈위안 터보, 터보 S 등 고성능 언어 모델과 올해 초 훈위안 T1을 공개했다. 훈위안 T1은 중국 최초의 고난도 추론형 모델 중 하나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모델과 견줄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한다.<br><br> 텐센트클라우드코리아는 AI 활용 가능성을 적극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게임, 콘텐츠, 고객지원 등 실제 업무에 AI를 접목,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향후 생성형 AI 기반의 서비스를 한국 고객사에 제공할 계획이다.<br><br> 허 매니저는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 리테일, OTT 산업 고객사를 대상으로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제작 등 혁신 사례를 지속 발굴하고 사용자 참여도·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AI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br><br> 텐센트 클라우드 코리아에 따르면 대표적인 AI 유스케이스(사용사례)는 네이버제트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이다. 제페토는 라이브 스트리밍 솔루션을 도입해 글로벌 방송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전환 이후 연간 약 1500만 건의 방송 송출에도 장애율 0%를 기록했다. 또한 기존 10초의 지연 시간을 실시간 수준으로 단축,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다.<br><br> 게임 산업의 경우 기획, 개발, 운영, 보안 등 전 과정에서 AI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고 있다. 기획 단계에서는 시나리오 자동 생성, 세계관 확장 등 창의적인 게임 구조를 속도감 있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개발 단게에서는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자동 생성, 음성 합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br><br> 텐센트 클라우드는 국내 기업이 요구하는 까다로운 규제, 보안, 데이터 거버넌스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현지화와 커스터마이징에 지속적으로 집중해 왔다. 또한 서울에서 두 개의 가용 영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고객 전담 지원 조직과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업 체계를 통해 더욱 긴밀한 기술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가용 영역은 클라우드 사업자가 데이터센터를 여러 지역에 분산해 운영하는 데이터센터 그룹을 의미한다.<br><br> 텐센트 클라우드는 현재 파트너사 지원, AI·미디어 기술 도입을 위한 인프라 투자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특히 국내 주요 리셀러들과 협력, 현지 인재와 기술력을 결합해 AI 기반 디지털 전환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향후 게임·커머스·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엔지니어와 영업·기술 지원 인력을 보강할 계획이다.<br><br> 허 매니저는 "한국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 차이나'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기업이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장기적인 로컬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전했다.<br><br> 텐센트 클라우드에 따르면 고 차이나는 중국 시장을 겨냥하는 기업에게 현지 인프라 구축, 규제 대응, 사용자 인사이트 확보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위챗 생태계를 바탕으로 현지 이용자 기반에 맞춘 어플리케이션 현지화 및 유통 최적화를 돕고 있다.<br><br> 허 매니저는 "회사는 여러 국내 기업이 중국 시장 진입 및 확장할 때 안정적인 기술 인프라와 정책적 자문을 제공해 왔다"며 "향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한국 기업과의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br><br> 김영욱 기자 wook95@dt.co.kr<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조정석♥거미, 둘째 임신…5년 만에 두 아이 부모 된다 07-31 다음 [혁신기업] AI로 진화한 ‘웹3 게임’… 개발·소비장벽 깬 디랩스 게임즈 07-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