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사용료, 한미 협상 제외에 통신업계 안도…"통상 논의 대상 아냐" [관세협상 타결] 작성일 07-31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망사용료 협상 테이블서 제외…美 통상압박 여지 여전<br>美 ‘디지털 무역장벽’ 규정…업계 “통상 대상 아냐" 주장<br>"넷플·메타 이미 지불하고 있어…빅테크 겨냥한 것 아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kEgSrFOY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81d88d6649db7849bf86d5870979cd0cf87000a0f01eb8c4e2d826063a46668" dmcf-pid="6EDavm3IH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과 유럽연합(EU), 한국의 통상 협상 과정에서 콘텐츠제공업체(CP)들과 이동통신망 제공 사업자(ISP)들 간의 '망 이용대가' 문제가 주요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사진=챗GPT)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newsis/20250731172449038bvaj.jpg" data-org-width="720" dmcf-mid="44Vzd8EQZ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newsis/20250731172449038bva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과 유럽연합(EU), 한국의 통상 협상 과정에서 콘텐츠제공업체(CP)들과 이동통신망 제공 사업자(ISP)들 간의 '망 이용대가' 문제가 주요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사진=챗GPT)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c7f0efd663d442af687b50095eca74385b142da3b9e78d2a6d43f983da0d14" dmcf-pid="PDwNTs0C1o"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 심지혜 박은비 기자 = 망 사용료 문제가 한미 무역협상 테이블에서 최종 제외되면서 통신업계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다만 한미 양국이 향후 비관세장벽 관련 협상 여지를 열어둔 만큼 향후 무역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이 망 사용료를 ‘디지털 무역장벽’으로 규정하고 있어 후속 협상에서 다시 논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p> <p contents-hash="aab63bcc469bf6ca5642d50252fbfce6f1c17bb8f0746c32b67a313f4e796474" dmcf-pid="QwrjyOphHL" dmcf-ptype="general">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31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고정밀지도 반출은 별개 이슈로 이번 협상 결과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온라인플랫폼법과 인공지능(AI) 칩·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 요구도 없었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cffc80a7ca5aba120e49275401e8db81b5ba47ec3a773fb585026edbab8ab59d" dmcf-pid="xrmAWIUlGn" dmcf-ptype="general">이는 당초 주요 쟁점으로 예상됐던 디지털 규제 이슈들이 이번 협상 테이블에 오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p> <p contents-hash="a3369671147f8d8e2c2784606792124976f21cd24b344ee9b0fe6f4969223ce4" dmcf-pid="yZ5yqFxpXi" dmcf-ptype="general">미국은 앞서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상 이후 “유럽연합(EU) 네트워크 사용료를 도입하거나 유지하지 않기로 했다”는 내용을 일방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이에 EU 집행위원회는 “해당 사안은 EU의 입법 주권에 속하며, 디지털네트워크법(DNA) 내부 논의를 통해 결정될 문제”라며 즉각 반박했다. </p> <p contents-hash="d0b00fb58478df522c9a25bce1a2b32570d4d5486e4b194ccd2a72b36794af8b" dmcf-pid="W51WB3MUGJ" dmcf-ptype="general">양측 간 해석 차가 좁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과의 협상에서도 유사한 쟁점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해 통신업계는 일단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p> <p contents-hash="76fcafab8346878f4bd1f5ab0d9c9a36b7eeac4c2012b07e3d46870a6979260e" dmcf-pid="Y1tYb0RuHd" dmcf-ptype="general">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빠졌지만 향후 정상회담이나 기술적 실무 협상에서 다시 거론될 수 있다”며 “국내 논리와 정당성을 명확히 정리하고 국제무대에서 일관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d200fd57ce969e6bf24c4b93fd56976cb946d74900c780e964b97a88bf6b17c" dmcf-pid="GtFGKpe75e"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망 대가 문제가 애초부터 통상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사안이라는 주장을 내세웠다. </p> <p contents-hash="6f31197b499d24c758e57e373012ca0731d59cd77e3d0256d9b68ea35c7fd1dd" dmcf-pid="HF3H9UdzXR" dmcf-ptype="general">그는 관계자는 “망 대가는 정부 발의가 아닌 일부 의원입법 상태이고, 본질적으로는 기업 간 계약에 가까운 사안”이라며 “그런 사안을 양자 통상협상 테이블에 올리는 것 자체가 과잉 해석”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8c56ff00411789ceba5154c9d29ca2a145a8866b5b9e0fe4a5f19b58571b5de5" dmcf-pid="X30X2uJqXM" dmcf-ptype="general">이어 “유튜브를 제외한 넷플릭스, 메타 등 대부분은 이미 국내에서 망 이용료를 지불하고 있다”며 “이를 ‘빅테크 겨냥’ 프레임으로 일반화하는 건 사실과 다르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1960d50b26f3f46aa7c7ac26b71ef60fce95eb7eae88f5332ac1d7f8e0a085fc" dmcf-pid="Z0pZV7iB1x" dmcf-ptype="general">실제로 미국이 이 사안을 무역장벽으로 해석하는 배경에는 한국의 입법 움직임이 있다. 현재 국회에는 글로벌 콘텐츠제공사업자(CP)의 망 이용대가 지급을 의무화하는 법안 3건이 계류 중이다. 21대 국회에서도 8건의 법안이 발의됐었다. </p> <p contents-hash="f5ddef499c49681412afb6173bca7f9f295288141260014291841dd4ae9081bf" dmcf-pid="5pU5fznb5Q" dmcf-ptype="general">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025년 국별 무역장벽 보고서에서 “한국 ISP는 동시에 CP 역할도 하고 있어, 미국 CP에게만 사용료를 부과하면 반경쟁적일 수 있다”고 지적하며 지속적인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p> <p contents-hash="fd0dea36a13a0e4da2d897771b3c64266b32f235ec8307ceb050478b7e4c6f7a" dmcf-pid="1Uu14qLKtP" dmcf-ptype="general">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망 이용대가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제도로 국내에도 관련 판례가 존재하고, 미국 내에서도 망 대가 자체를 부정하는 흐름은 없다"며 "실제로 망 대가는 전체 원가 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미만에 불과해 이를 과도한 통상 이슈로 확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p> <p contents-hash="ed500e983b0d1b9b62655cb7168d3af59f576a51984a85c91b3823867d6b6f1a" dmcf-pid="tu7t8Bo9Z6" dmcf-ptype="general">이어 “온플법이나 고정밀지도 반출처럼 국가 간 입장 차가 큰 사안과 달리, 망 대가는 글로벌 시장에서 보편 규범에 가깝다”며 “오히려 우리나라만 법제화를 하지 않겠다고 하면 국제 기준에서 예외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300edbaf994aa9a1d4a14786d6dcc55c333ac218635de29a64b41b6eb943c96e" dmcf-pid="F7zF6bg2Y8" dmcf-ptype="general">그는 또 “미국 정부 역시 자국 빅테크의 독점성과 불공정성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고, 관련 이슈는 미국 법원에서도 다뤄지고 있다”며 “망 대가를 다른 나라에 대한 압박 카드로 활용하기엔 실익이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57507c6af519a8031de085ea6f5cc29ba730959d1b48a31453e573ba29e9c839" dmcf-pid="3zq3PKaVZ4"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silverline@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경제성장률 0%대 '저성장 늪'…노란봉투법, 침체 장기화시킬 것" 07-31 다음 빙속 간판 김민선·기대주 정희단, 라커룸 위드 팀 CJ서 ‘일일 멘토’ 07-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