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NC AI·UNIST, 과기정통부와 AI 핵심인재 양성 작성일 07-30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qHorD1mEI">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9e80a7045af0c7caaaa50adc2c71b49d00856b77de75946c58899a7026a8568" dmcf-pid="PBXgmwtsr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etimesi/20250730183404218voda.jpg" data-org-width="700" dmcf-mid="8awVdROJD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etimesi/20250730183404218vod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25da9503eb4877860987a14af3b2368866b4e2878fc43f4a6ae745887e35e72" dmcf-pid="QbZasrFOws"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LG AI연구원·NC AI·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과 생성 인공지능(AI) 핵심인재를 양성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서울대·성균관대와는 AI 최고급 신진연구자를 지원한다.</p> <p contents-hash="f5632b9e16a75105554e129071336bda59bb73e1e13d4732fd79a0b7b62e1e40" dmcf-pid="xK5NOm3IOm"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30일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과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 수행기관을 이같이 선정했다며 수행기관과 인재 양성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5월 추경으로 확보한 AI 인재양성 예산을 바탕으로 산·학·연 공동으로 현장 문제를 해결하는 산학협력형 인재양성 체계 구축이 목표다.</p> <p contents-hash="6dc7f42c249a6c5895ac1fb498315c3c789171a23db9d82ef07a732a7d69a68e" dmcf-pid="ypTdcjGkmr" dmcf-ptype="general">생성AI 선도인재양성 수행기관인 LG AI연구원은 KAIST·서울대·UNIST·대구과학기술원(DGIST)과 'LG AI 스타 인재양성 사업'을 추진한다. 피지컬 AI 분야 거대 생성모델 기술 선도를 목표로 한다.</p> <p contents-hash="e1d7f2755aa7b164ad894340a45962b5aeba7f9de36507c03d0c7a35d033f7b4" dmcf-pid="WUyJkAHEDw" dmcf-ptype="general">NC AI는 서강대·KAIST·UNIST와 협력해 멀티모달 AI 에이전트 시대에 적합한 실무형 AI 인재를 육성하고 게임 제작 파이프라인 효율화를 추진한다. KETI는 서울대·KAIST·고려대·연세대 등과 인간 중심 범용 AI 개발을 위한 '휴먼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와 인력양성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edc268e09cb58a3d9b239db6286e0d5010c826dab44d91919ec375c0fa5e48e0" dmcf-pid="YuWiEcXDED" dmcf-ptype="general">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수행기관인 UNIST는 노타·SK에너지 등과 차세대 제조 혁신을 위해 시각·언어·행동(VLM) 정보를 통합 이해할 수 있는 AI 기술 기반 온디바이스 제조 AI를 개발한다.</p> <p contents-hash="8223e02ba7936d4f0aa51ccbf14c5a9479a9f33a5d7959bebe7c6e18d16a9e90" dmcf-pid="G7YnDkZwIE" dmcf-ptype="general">서울대는 크래프톤·네이버클라우드·원익로보틱스와 시공간데이터(4D), 다감각 정보(5S), 6대 로봇 기술(6R)을 융합한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성균관대는 포티투마루·아크릴·에이딘로보틱스와 사람과 AI가 협업하기 위한 협력지능형 에이전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를 양성한다.</p> <p contents-hash="d4537327f5ddd841a701503b13206d1a89b76c6a884f0e5871a0c0bec003489e" dmcf-pid="HzGLwE5rrk" dmcf-ptype="general">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과기정통부는 두 사업으로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며 인재를 키우는 산학협력 기반 모델을 정착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AI산업을 이끌 핵심인재 양성과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aa9970673e961595a5488a1a359e5bc0a3d2abcc9865e563c8f5cf44bbce71b" dmcf-pid="XqHorD1msc"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가은, 택시 승차 성공했는데 미모는 '하차 실패'…탑승자 줄 섰겠어 07-30 다음 티파니, “윤아 보필” 안보현에 ‘위로 악수’..“에너지 넘쳐, 고생 많았다” (‘얼보해’)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