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마이데이터 지원사업 5개 과제 선정 작성일 07-30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PYfYTbYw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3ec9eebcef6f051063791064b96458fb498e62add3a4a54dd20885a4fa54013" dmcf-pid="YbI7Im3IE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개인정보위 CI"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etimesi/20250730163347995krlu.jpg" data-org-width="640" dmcf-mid="yYRCRQrRm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etimesi/20250730163347995krl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개인정보위 CI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e97f86006362fbb76ef10ca901ffa29ffa6efe0701e5cdf2e66f55810a858fc" dmcf-pid="GKCzCs0Cmw" dmcf-ptype="general">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올해 마이데이터 서비스 지원사업 5개 과제를 선정했다.</p> <p contents-hash="161a74ce9002d136f94967f59a5c70cb962c07bcd138c543cc1fd8da719555dc" dmcf-pid="H9hqhOphDD" dmcf-ptype="general">의료 분야 신규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발 유형이 3건, 기존 마이데이터 서비스 고도화 유형이 2건이 각각 선정됐다.</p> <p contents-hash="c94d150ab01ebf174a579ce6707b19817e87f9c2fa1044cc24af2577d10a751c" dmcf-pid="X2lBlIUlmE" dmcf-ptype="general">신규 서비스 개발 유형에는 보호자 열람 기반 고령자·미성년자 의료정보 관리 및 위험징후 예방 서비스, 인공지능(AI) 기반 건강 비서 서비스, 정신건강 및 약물복용 관리 서비스가 선정됐다. 과제당 최대 5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p> <p contents-hash="eea5a07b081761d68f66e70f6511c464ecd7933de6ded2854cc0cde2fd1cf994" dmcf-pid="ZVSbSCuSmk" dmcf-ptype="general">기존 서비스 고도화 유형에는 건강지표 기반 맞춤 건강관리 서비스와 국민·소상공인 대상 정책추천 서비스가 선정됐다. 이 유형은 과제당 최대 2억원이 지원된다.</p> <p contents-hash="5367ba489f6fb1a83d0e54a2f95fcb23de35d3f1760d04ee3f76048458648c51" dmcf-pid="5fvKvh7vDc" dmcf-ptype="general">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관리전문기관 지정 준비를 위한 컨설팅과 홍보 지원도 제공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3bc2aee44ac1bcf33d2e3e67f977b6755e189382810c8e8b44c158ad5779f20d" dmcf-pid="14T9TlzTsA" dmcf-ptype="general">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강화와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해 범정부 마이데이터 지원 플랫폼인 '온마이데이터' 2차 구축 사업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6cac7fbed36dd870e36e7f710598b8de579ad1febb7b8bc5f18c29ed112f3c3a" dmcf-pid="t8y2ySqyDj" dmcf-ptype="general">지난해 1차 구축을 통해 전 분야 전송요구 이력 관리, 참여기관 관리 체계 등을 마련했다.</p> <p contents-hash="9453d49c3fa613321e58ca60a593ea50e3d08c0f68afedb412a1bb0c184d2617" dmcf-pid="F6WVWvBWON" dmcf-ptype="general">이번 2차 구축에선 파일, 이메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 본인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개인정보 저장소, 정부24 플러스와 연계, 맞춤형 관심 정보 안내 등 기능도 추가한다.</p> <p contents-hash="c40e397f67f193c9f41f0d824d845700888f63a1a8c9938e4e8ac80ca541ec2a" dmcf-pid="3PYfYTbYIa" dmcf-ptype="general">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입막음 800만원' 폭로자 "이장우・온주완 아냐…당사자에 사과 받았다" 07-30 다음 최태성, 광복절 맞아 '아는 형님' 역사 강의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