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핵심인재 키운다… 과기부, 생성형 AI·신진연구자 양성할 6개 기관 선정 작성일 07-30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LG AI연구원·NC AI·UNIST 등 선정<br>산업 수요 기반 산학협력형 AI 인재 양성 본격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c9zZGVZDM"> <p contents-hash="3a4eeddba55ecdde686ffd5bb5eab3b2cde4afba5ae19c1739619bd54e840378" dmcf-pid="Xk2q5Hf5Ix"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AI 산업 현장과 호흡을 맞추는 ‘산학협력형 인재 양성’이 본격화된다.</p> <p contents-hash="8a836cd63da9f24496f889dd0d729a88d28d43aca35023aa8ee01599676fcd11" dmcf-pid="ZjbuHW9HOQ"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는 30일 ‘생성형 AI 선도인재양성’ 및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의 신규 수행기관 6곳을 선정하고, 2025년 추경 예산을 통해 본격적인 AI 인재 양성에 착수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884cd0b40e31c29c2ac69ed5379b3d3db309deddad51454a3153b617cc9400e6" dmcf-pid="5AK7XY2XsP"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은 AI 기술력뿐만 아니라 실제 산업 수요에 맞는 고급 인력을 적시에 공급하고,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는 협력 구조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7661702e4b9f699c60bf80755bf3d7041d9042b1bf97ae930eddab8e381c92" dmcf-pid="1c9zZGVZD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Edaily/20250730141405971jdnj.jpg" data-org-width="600" dmcf-mid="GjPpYTbYE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Edaily/20250730141405971jdnj.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efc435a4a37386c36122c395a439b6b867b447a3e0a4b085a7b52ad430ef53ee" dmcf-pid="tk2q5Hf5O8" dmcf-ptype="general"> <strong>생성형 AI 선도인재, 산업 현장형 전문가로 키운다</strong> </div> <p contents-hash="6a7df47e156b1755a14f4fe61655b23831cef5e51330f832b0e2ca7f7a89d148" dmcf-pid="FEVB1X41r4" dmcf-ptype="general">‘생성형 AI 선도인재양성 사업’은 2개 이상의 대학과 함께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 각 주관기관이 자체 보유한 생성형 AI 모델 및 API,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실무 중심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p> <p contents-hash="c816038461592d76fa878fea6977847489a42d9659523ed76d3274f94fc3d872" dmcf-pid="3DfbtZ8trf" dmcf-ptype="general">3개 과제가 선정됐다. LG AI연구원은 KAIST, 서울대 등과 손잡고 ‘Physical AI’ 분야 거대 모델 인재 양성에 나선다.</p> <p contents-hash="64592c97f753c819a50fbb7cea61916087a110173b26498093ad193b2111f70c" dmcf-pid="0w4KF56FOV" dmcf-ptype="general">NC AI는 서강대, KAIST 등과 함께 멀티모달 AI 에이전트 개발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게임 산업과의 접목을 꾀한다.</p> <p contents-hash="4a74017d8aa9c60bcec12387a47c4f3ea72a145064d5831517900cad7f225027" dmcf-pid="pr8931P3s2" dmcf-ptype="general">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서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들과 ‘휴먼 파운데이션 모델’을 중심으로 인간 중심 AI 인재를 육성한다.</p> <p contents-hash="10683e628b6a7253613345014bc7c4b4b72a29fd21e786fc80c00b1089d2a7bc" dmcf-pid="UXNn8VA8w9" dmcf-ptype="general">각 과제당 매년 24명 이상 석·박사급 학생을 양성하며, 우수 인재는 기업 파견 및 심화연구 기회도 제공된다.</p> <p contents-hash="8dcb3addd912242ff2624cc8ce44ac226b15cba6b08ae38ea8f05e6719790a62" dmcf-pid="uZjL6fc6OK" dmcf-ptype="general"><strong>AI 최고급 신진연구자, 글로벌 톱 티어로 육성</strong></p> <p contents-hash="ac99af511b551747db502286ea10f38c3c9b7a7c58ace58fc8c4ef8c970dde70" dmcf-pid="75AoP4kPmb" dmcf-ptype="general">‘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AI 스타 펠로우십) 사업’은 박사 후 연구자 및 임용 초기 교수 등 창의성과 도전성이 높은 인재를 집중 지원해 AI 생태계의 미래를 책임질 ‘탑 티어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장기 R&D 프로그램이다.</p> <p contents-hash="27db110ae1e9cb57cd81834d67ae1d4941c7ef93f4f877bb95a93f0276cee955" dmcf-pid="z1cgQ8EQrB" dmcf-ptype="general">UNIST는 노타AI, SK에너지 등과 함께 시각·언어·행동을 통합하는 온디바이스 제조 AI 개발에 나선다.</p> <p contents-hash="aeb2bc39e176e2d064a6f0087b4029d063c918459c0276edd30b5c273440ac41" dmcf-pid="qtkax6DxDq" dmcf-ptype="general">서울대는 크래프톤, 네이버클라우드 등과 함께 4D·5S·6R을 아우르는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기술을 연구한다.</p> <p contents-hash="208d72ea4dd09cdf7af1225398a557cd609fecb1fe023ca0d1261b61bba50a80" dmcf-pid="BFENMPwMDz" dmcf-ptype="general">성균관대는 포티투마루, 아크릴 등과 협력해 Human×AI 협력지능형 에이전트 개발과 세계 수준의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p> <p contents-hash="75695b814d8c777bb2c35cf6c26e074cc2854f617329a07b7fedc891cbe23664" dmcf-pid="b3DjRQrRs7"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과기정통부는 이번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과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을 통해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며 인재를 키우는 산학협력 기반 모델을 정착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AI 산업을 이끌 핵심인재 양성과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89a9d2411fbc2443352ffcb81b49eea7a03620ff840dff3b13955f95d50080cb" dmcf-pid="K0wAexmeDu"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수천만 개 사내문서도 '뚝딱'…日서 난리 난 AI가 국내산? 07-30 다음 45세 윌리엄스, US오픈 테니스 혼합 복식 와일드카드 출전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