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아는 '가짜' 한국 대통령"…정치권 향해 음모론 제기→부정선거 다룬 한국 영화 작성일 07-30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ZQQ3ROJZ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ce0207b0232ca87e77bf476d345e86b59e480eac50e0c6b312572a0fa90893" dmcf-pid="Q5xx0eIiG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48495bbtx.jpg" data-org-width="1000" dmcf-mid="Gt9PFMsd1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48495bbtx.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e34b6151785530470028dacdbc1248c94ed5bd10f10f2c3d1f49a48f260625ab" dmcf-pid="xUnnBgyjXb" dmcf-ptype="general">[TV리포트=허장원 기자] 부정선거 의혹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가 제21대 대선과 관련해 다시 한번 목소리를 냈다.</p> <p contents-hash="4f7706186eed13a4fdb4517bf383485a17ee209c08181c5193569a1c9efdb4a8" dmcf-pid="yA55wFxpHB" dmcf-ptype="general">지난 5월 21일 개봉한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는 6·3 대선을 앞두고 부정선거 가능성을 제기하는 내용으로 꾸며졌으며 이영돈 PD와 전직 한국사 강사 전한길 등이 기획·제작했다. 국민의 주권 행사인 투표가 더욱 투명하고 공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는 국민들의 염원을 전달하고자 30여 년간 KBS, SBS, 채널A 등에서 탐사 다큐멘터리를 제작해온 이영돈 PD가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제작했다고. 어렵게 상영관을 확보해 개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뜨거운 관심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p> <p contents-hash="068fe2e855be02c820ba2c997029d2d8c08690b0351786ad63be4bfc4ee569c3" dmcf-pid="Wc11r3MUXq" dmcf-ptype="general">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측이 최근 전국 곳곳에 붙은 '가짜 대통령인 줄 미국도 안다' 등의 현수막 문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cefee95beef8b36abc6ac76418a35765dbb5c086de32628c4dd0a7e251ff46" dmcf-pid="Ykttm0Ru5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49822zobk.jpg" data-org-width="1000" dmcf-mid="HqFzvbg2G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49822zobk.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2c6dd0c3852d9925694887d216c732b103b466040d3ad9e48b72c483cdcc43" dmcf-pid="GEFFspe71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51104rhpz.jpg" data-org-width="1000" dmcf-mid="1i2Q3ROJG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51104rhpz.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98d321fed288e7acc277fdc9b011a763162340d394cd2f86496977736acfc7b" dmcf-pid="HD33OUdztu" dmcf-ptype="general"><strong>▲ 애국현수막을 향한 정치적 프레임인가?</strong></p> <p contents-hash="b5425172dab1a57ff06f454a91534439109a245899b387327dd2eabc86307a77" dmcf-pid="Xw00IuJq5U" dmcf-ptype="general">작년 말부터 전국 곳곳에 걸린 이 문구들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다.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의 의심, 그 진실을 외면하지 않겠다는 시민들의 작은 목소리였다. 하지만 그 목소리는 지금 정치자금법 위반이라는 이름의 고발로 되돌아오고 있다.</p> <p contents-hash="a0a3197d1fb8f89f42ce9e66b1723e12688e00e8cdfa9ef42f6c205b3c1b1f96" dmcf-pid="ZrppC7iBtp" dmcf-ptype="general">7월 2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원외정당 관계자 3명을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 중에는 전국의 부정선거 규탄 현수막을 실질적으로 운영해온 활동가도 포함돼 있다. 선관위는 이들이 개인 계좌를 통해 약 7천만 원 상당의 정치자금을 수수하고 그중 일부만 현수막 제작에 사용했다고 발표했다.</p> <p contents-hash="5e49a3d34ef47b4e42aa30f847cc5677756a2531ecfdca732a8a599d5d389fb0" dmcf-pid="5mUUhznbH0" dmcf-ptype="general">하지만 당사자의 입장은 분명하다. "개인 계좌는 입금 확인의 실무적 효율을 위한 것이었고 정당 계좌로 정산된 금액은 모두 증빙 자료와 함께 제출되었다. 6개월 동안 제 인건비로 보전한 금액은 단 120만 원이 전부였으며 그 외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하루 18시간씩 일하며 운영비를 최소화해 왔다"라고 밝혔다. 그는 집 거실을 사무실 삼아 수백 건의 신청과 발주, 현수막 훼손 대응과 공무원 민원까지 직접 처리해왔다. 인건비를 착복할 여유는커녕 새벽까지 직접 현수막을 달고 다녔다는 그의 설명은 현수막 운동이 결코 사익을 위한 사업이 아니었음을 방증한다.</p> <p contents-hash="2f113edd402b47ce3281dd4f924623ccda0d97c97f304231ec80fcc58c30abc1" dmcf-pid="1suulqLKG3" dmcf-ptype="general">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회계조사나 면밀한 사실 확인 없이 '불법 정치자금'이라는 프레임이 선관위 발표를 통해 먼저 나왔고 언론은 이를 그대로 받아 적었다. 수개월 간 시민의 손으로 이어져 온 표현의 흐름은 하루아침에 '범죄의 혐의'로 뒤덮이게 되었다. 현수막이 불편했던 것은 단지 그 문구 때문이었을까. 혹은 그 안에 담긴 진실이 두려웠던 것은 아니었을까. 신고되지 않은 계좌가 문제였던 것일까. 아니면 끝내 드러나지 않기를 바란 진실이 문제였던 것일까. 정치자금법은 분명히 중요하다. 그러나 그 법이 자발적인 시민 행동 전체를 탄압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고발된 것은 계좌 하나가 아니라, 표현의 자유를 지키려 한 국민의 정당한 참여였다는 점에서 이 사건은 법의 문제를 넘어 민주주의의 근본을 묻는 사건이 되어가고 있다.</p> <p contents-hash="4964e8b2679fe58c774ac0deda117ac197b732a4a0c9f807d9a8a5fb6b71f637" dmcf-pid="tO77SBo9YF" dmcf-ptype="general">현재 상영 중인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측은 "영화는 비록 이 현수막 운동을 직접적으로 다루진 않지만 같은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선거의 정당성, 표현의 자유, 그리고 진실을 말한 대가. 이 영화가 던진 질문에 지금 대한민국이 답하고 있다. '진실을 말하는 일은 언제부터 죄가 되었는가', '국민의 외침은 언제부터 불법이 되었는가', '그것이야말로 지금 고발당한 것이며 우리가 놓쳐선 안 될 본질이 아닐까 생각된다'"라고 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acc37bb66ea0d5d375532709197df20881a65c6eddb0177b7ab33939a7bcb0b" dmcf-pid="FIzzvbg2Y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52388qmkg.jpg" data-org-width="1000" dmcf-mid="6GmmRIUlX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tvreport/20250730121152388qmkg.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5089d5b5c9115b80a7a7fa2458958047dd1325bad55a82dacd525ba4b33ae41" dmcf-pid="3CqqTKaVH1" dmcf-ptype="general"><strong>▲ 윤석열 전 대통령도 관람한 영화</strong></p> <p contents-hash="7431df0ab7eb4a6bc098d975ae2d87c1da4980ea14e29d5ecdcf1933c02f238b" dmcf-pid="0hBBy9NfY5" dmcf-ptype="general">윤석열 전 대통령 역시 지난 5월 21일 6·3 대선을 불과 13일 앞둔 시점에 서울 동대문구 한 영화관에서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를 관람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 일치로 파면당한 이후 첫 공개 행보로 그 자체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꾸준히 부정선거를 주장해왔다.</p> <p contents-hash="2613ce08b37a369ee70426f4a4ae1748c8aae375419d52d965049fa067d0e61d" dmcf-pid="pgGGcZ8ttZ" dmcf-ptype="general">영화 제작에 참여한 전한길 씨는 당시 기자들과 만나 "제가 (윤 전 대통령을) 초청했다. (윤 전 대통령이) 공명선거에 도움이 된다면 흔쾌히 참석하겠다고 했다"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e4b1e3d72c76e964cf78a6124307e12005c6d538a5d897c8efd9e7ef5609169" dmcf-pid="UaHHk56FXX" dmcf-ptype="general">이어 "공명선거를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가서도 국회 기자회견도 3번 했다. 선관위에서 1인 시위도 하고 서면으로 사전투표 개선해달라고 했는데 요구를 들어주지 않아 (문제를) 알리기 위해 영화를 만들었다"라고 영화 제작 이유를 설명했다. 대선 국면에서 영화 개봉 부담스럽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공명선거, 부정선거 실체를 알려주기에 타이밍이 딱 맞다"라고 답했다.</p> <p contents-hash="f541d68c0bf18fcd2066601b95c34c81922e1b8518cc2286efb858cce34d066a" dmcf-pid="uNXXE1P35H" dmcf-ptype="general">한편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는 30일 오전 11시 기준, 네이버 실관람객 평점 10점 만점에 9.88점을 기록 중이다.</p> <p contents-hash="c065ec3be8aa024613217c2a18384619287e0818a7b9d6292b548a886bc32b79" dmcf-pid="7jZZDtQ0ZG" dmcf-ptype="general">허장원 기자 hjw@tvreport.co.kr / 사진=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TV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 데이식스 성진·원필, 장도연 만났다... '살롱드립2' 출격 07-30 다음 'No.1'에 춤 추는 좀비딸…보아x2NE1 명곡, 스크린 속으로 [다시, 흥행의 정석③]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