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 서비스, 수단·활용 분야 확대 작성일 07-30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ISA·재외동포청, NH농협은행·IBK기업은행·NICE평가정보 업무협약 <br>기존 재외국민 인증서 외 재외국민 아이핀까지 인증수단 확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Qwl7nSgZ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219a713205c70cbb81a17efcdafde311541aff1790eef42300f0fbfb086455" dmcf-pid="HxrSzLvaZ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ISA 전경(사진=KI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newsis/20250730120147272pdpq.jpg" data-org-width="720" dmcf-mid="YOq4cZ8tt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newsis/20250730120147272pdp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ISA 전경(사진=KI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cab5e59b21697da4e1a7b46e0cf705531926364c061b350cd1977bafc98c49d" dmcf-pid="XMmvqoTNH4"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재외동포청은 전 세계 재외국민이 국내의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비대면 신원확인 서비스 확대를 위해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NICE평가정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p> <p contents-hash="cf38011a9b739ca5825891019592be4f7e10a118bc8526c17f9ba25089c32305" dmcf-pid="ZRsTBgyjHf" dmcf-ptype="general">앞서 KISA와 재외동포청은 지난해 11월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와 협력해 국내 휴대전화 없는 재외국민이 '재외국민 인증서'를 쉽게 발급받을 수 있는 '재외동포인증센터'를 출범했다.</p> <p contents-hash="00aa00bd71d8122febb9da7f89a8231387c495de2737ccfcbfc6a6bc40ec6332" dmcf-pid="5eOybaWAYV" dmcf-ptype="general">이번 업무협약에는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NICE평가정보로 참여 기관이 확대됐다. 이로써 앞으로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에서도 '재외국민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NICE평가정보가 발급하는 '재외국민 아이핀'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p> <p contents-hash="401b8166b312e3ebe2f72d776b19a262f656eb5067e36d7d5577f8f4b36407d1" dmcf-pid="1dIWKNYct2" dmcf-ptype="general">또 재외국민은 추가된 인증수단을 통해 전자 정부·금융 서비스는 물론 디지털 플랫폼, 쇼핑, 통신, 의료, 교통, 교육 등 전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p> <p contents-hash="6b4a7b29f75dc204b9f095898f3aa35779efbfc6c0c9ad2bf8c927a8ac2ae2b9" dmcf-pid="tJCY9jGkH9" dmcf-ptype="general">김정희 KISA 디지털안전지원본부장은 "앞으로도 재외국민이 국내 모든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한치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383aa1a8445c39d2734f94994b0b9f0cd2e66602271dabd8367d772f7e153b6" dmcf-pid="FihG2AHEYK"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chewoo@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켠, 22년 전 ♥짝사랑 고백…"황보누나 꽤 좋아했었다" [오만추] 07-30 다음 부모 의료데이터, 자녀가 실시간 확인…'마이데이터' 기반 돌봄 서비스 나온다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