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키트] 천억원대 인재 영입에 엇갈린 시선…"남는 장사" vs "과잉 투자" 작성일 07-30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개발 횟수 단축·고급 노하우 전수 가능…비생산적 투자 고착 우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PXcTKaVjV"> <p contents-hash="1ce2ef888c08aba21c854e1bbc39d19d20ce54b8adfa5d1d09dd624db2e55572" dmcf-pid="yWLqRIUlc2"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김미정 기자)밀키트는 손질된 식재료와 양념을 알맞게 담은 간편식입니다. 누구나 밀키트만 있으면 별도 과정 없이 편리하게 맛있는 식사를 할 수 있습니다. [SW키트]도 마찬가지입니다. 누구나 매일 쏟아지는 소프트웨어(SW) 기사를 [SW키트]로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SW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공지능(AI), 보안, 클라우드 관련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고 맛있게 보도하겠습니다. <strong>[편집자주]</strong></p> <p contents-hash="233e441f4ee8b67e6c057900b8992b38e9d421ca810648c8716399a0d5537ad7" dmcf-pid="WYoBeCuSc9" dmcf-ptype="general">소수 인공지능(AI) 인재 몸값이 수 천억원대로 치솟자 AI 산업계는 기대감와 우려를 동시에 내비치고 있다. 우수한 인재 한 명이 AI 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반응이 나오는 반면, 비생산적 투자가 고착할 수 있다는 시선이 공존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f58710435b12e86bf6fbe54baa18c136dbc82e6ce7a03f2dcd9641904a0b0deb" dmcf-pid="YGgbdh7vaK" dmcf-ptype="general"><span>30일 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메타를 비롯한</span><span> 빅테크가 천억원 대 인재 영입에 나서자 관련 업계에선 이같은 반응이 이어진 </span><span>것으로 전해졌다. </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371c00f8abfb1ba9330f5be38b5db6c6b6d9cdfebc71578d24ff9af98c5485" dmcf-pid="GHaKJlzTk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소수 인공지능(AI) 인재 몸값이 천억원대로 치솟자 AI 산업계는 기대감와 우려를 동시에 내비치고 있다. (사진=구글 제미나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ZDNetKorea/20250730115044103laoa.png" data-org-width="640" dmcf-mid="6TLQAX41g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ZDNetKorea/20250730115044103lao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소수 인공지능(AI) 인재 몸값이 천억원대로 치솟자 AI 산업계는 기대감와 우려를 동시에 내비치고 있다. (사진=구글 제미나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f7fbfad4c55c3da6c7d090828804ada2938b0bcec20d90065c4820fc12faeb3" dmcf-pid="HXN9iSqyAB" dmcf-ptype="general"><span>앞서 메타는 연봉 1억 달러(약 1천400억원)를 제시하며 AI 인재 확보에 나서기 시작했다. 1억 달러에는 계약금과 연봉, 스톡옵션, 장기 인센티브까지 포함된다. 이는 </span>미국 실리콘밸리에서도 상위 최우수 인재에게만 제안되는 조건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dfc90b461b37869f8102fa7ce3cf4bc0ed821d644072f6a5b1400bacb67ef973" dmcf-pid="XZj2nvBWoq" dmcf-ptype="general"><span>현재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수개월 전부터 경쟁사 엔지니어와 연구자 논문을 검토하며 영입 후보를 직접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pan></p> <p contents-hash="b44f945d2df207ca77a0e93c89ae9a0ee751a5b507a6c91bab151d2d9dd3edaf" dmcf-pid="Z5AVLTbYjz" dmcf-ptype="general"><strong>"개발비 수천억 절약·고급 노하우 축적"</strong></p> <p contents-hash="2dbbbbb1c4dda7aa23d07dbe07d42761c734e6015f51b9100a1f777ca2c144e0" dmcf-pid="51cfoyKGA7" dmcf-ptype="general">IT 업계 관계자들은 고액 연봉을 통한 인재 영입이 오히려 남는 장사일 수 있다고 봤다. 기업이 소수 인재 능력으로 수천억원 대 개발비를 아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문 노하우와 지식을 기업 자산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025f90ed7e4f75ee0c0c10ddf9bc28131254bad305fd7b807d4a3e1c70e52fa" dmcf-pid="1tk4gW9Hk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고객 연봉을 통한 인재 영입이 오히려 남는 장사일 수 있다는 반응이 나왔다. (사진=챗GP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ZDNetKorea/20250730115045551bxyz.jpg" data-org-width="638" dmcf-mid="PxefoyKGA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ZDNetKorea/20250730115045551bxy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고객 연봉을 통한 인재 영입이 오히려 남는 장사일 수 있다는 반응이 나왔다. (사진=챗GP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b7df552170dad642c9d9136625fafb92d732ff5d027a934f98a644b85dcca08" dmcf-pid="tFE8aY2XAU" dmcf-ptype="general">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우수 AI 인재 한 명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span>단순히 데이터를 확보하고 수백~수천억원 달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구동한다고 해서 곧바로 성공적인 모델이 나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span></p> <p contents-hash="8fda5742cad51787017d45716818c08965cc2b57ee9112efc6d78a2c0ed5f0df" dmcf-pid="F3D6NGVZjp" dmcf-ptype="general"><span>김 대표는 "모델 개발은 수 많은 시행착오와 반복 실험을 거친다"며 "모델 학습 한 번을 위해 수백 개 GPU를 동원하더라도 원하는 성능이 나오지 않아 여러 차례 재실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면서 막대한 LLM 개발 비용에 대한 원인을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3b8a94482cf2bde7d88ec5ed3acf103b0f862838bbfa993e2cffc601b1668709" dmcf-pid="3nUI1QrRa0"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우수한 인재는 이런 시행착오 없이 처음부터 고성능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다"며 "인재가 실험 횟수를 한두 번 줄이기만 해도 수백~수천억원 규모 자원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span>"이에 기업이 연봉으로 수 천억원을 소비해도 남는 장사가 될 수 </span><span>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span></p> <p contents-hash="f0a6d938e3eaf9260aaeabb6e0cd51236e4628ddbfefbb5be3b9e1819efa2403" dmcf-pid="0LuCtxmej3" dmcf-ptype="general">라이너는 현재 AI 기술 지식뿐 아니라 유연성과 통찰력까지 갖춘 소수 인재가 기업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시기라고 봤다. 이에 우수 인재의 경제적 가치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p> <p contents-hash="8145c6ce38a68aacf6a7a9adad34f0fbdce35ca52ea253a1bfec508cd7bf2fb2" dmcf-pid="po7hFMsdaF" dmcf-ptype="general"><span>라이나 관계자는 "소수 인</span><span>재는 </span><span>단순 </span><span>코딩 실력이 뛰어난 수준을 </span><span>넘어 </span><span>AI 기술의 발전 방향과 알고리즘 흐름, </span><span>HW </span><span>제약 조건, 효율적 학습 구조 설계까지 폭넓게 이해하는 능력을 </span><span>갖췄다"며 </span><span>"이런 </span><span>인재일수록 </span><span>시장에서 </span><span>희소성이 </span><span>높은 상황이며, </span><span>몸값이 </span><span>자연스레 </span><span>높아지는 </span><span>현상은 </span><span>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span></p> <p contents-hash="1de2d46588e6625c75f42f4b9d9a62f3b6431ba57a92197ded3401952ee1842d" dmcf-pid="Ugzl3ROJjt" dmcf-ptype="general"><span>이어 "이들이 개발한 기술은 향후 기업 비용 구조까지 개선할 것"이라며 "결국 더 많은 사용자 AI 기술을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게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span></p> <p contents-hash="81a05ac141b0660e476c576fb23ac217a6c4dc5968b2833254fa6255c157f6b6" dmcf-pid="uaqS0eIij1" dmcf-ptype="general">국내 한 업계 관계자는 소수 인재만이 가진 고급 지식 노하우가 수 천억원대 가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LLM을 설계할 수 있는 인재는 매우 드문 상황"이라며 "수학과 물리, 통계, 컴퓨터 등 여러 분야에 깊은 지식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0b7aa94222e5cddf4743537a52ea4518df95e21482f48c60cb82328a4ce00c78" dmcf-pid="7NBvpdCno5"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span>이런 인재들은 수많은 실험과 경험을 통해 머릿속에 축적된 '부족지식(tribal knowledge)'을 가지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실험을 줄이고, GPU 비용도 크게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span><span>이어 </span><span>"우수한 </span><span>인재가 </span><span>만든 </span><span>노하우가 </span><span>회사 </span><span>내부에 </span><span>남고 </span><span>실험 </span><span>속도까지 </span><span>빨라진다면, </span><span>비싼 </span><span>연봉을 </span><span>주더라도 </span><span>결국 </span><span>비용을 </span><span>아끼는 </span><span>효과가 </span><span>생긴다"고 </span><span>덧붙였다.</span></p> <p contents-hash="41f58f660725890867af4deb7f10c5f2331d02af1dcf5f4506751024a8e1dda3" dmcf-pid="zjbTUJhLaZ" dmcf-ptype="general"><strong>"비생산적 투자 고착화…소비자·노동자에 비용 전가"</strong></p> <p contents-hash="0620eaac7693109f9ad7de147a3866379c62865cb3ff4b320d97c8b1eac04b50" dmcf-pid="qAKyuiloAX" dmcf-ptype="general">다른 IT 업계 전문가들은 극소수 인재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시장 경제와 기업 문화 등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e846a347e64db991e648d3cf1562043b0106fa4e0b9d528ae43d8a907d45daf" dmcf-pid="BEVGqoTNg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극소수 인재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시장 경제와 기업 문화 등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챗GP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ZDNetKorea/20250730115046996qzwz.jpg" data-org-width="638" dmcf-mid="Q0SwGfc6g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ZDNetKorea/20250730115046996qzw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극소수 인재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시장 경제와 기업 문화 등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챗GP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a43eb420972a96351f0935cf89067c89e4346f2632d7726d08ff54a75bebc8f" dmcf-pid="bDfHBgyjcG" dmcf-ptype="general">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는 이같은 인재 영입이 기업과 국가 간 군비 경쟁처럼 비생산적인 구조를 고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span>그는 </span><span>"이는 </span><span>생산적 경쟁이 아닌 비용과 리스크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소모전"이라고 지적했다.</span></p> <p contents-hash="5e8a76ecbd1311ed793fed7917118ec4d9277bf293d20e94e7a5f50bb334c923" dmcf-pid="Kw4XbaWAcY" dmcf-ptype="general">박 대표는 "고연봉 인재 영입으로 인한 비용은 소비자와 노동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며 "단순한 윤리적 구호로는 이런 흐름을 멈추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장경제 체제 한계를 감안할 때 제도적 개입 없이 이를 해소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p> <p contents-hash="8baa4e85350eaeeebc7f8efff0fc40ee02f42a8ad30a5290d09d7d92adc0c520" dmcf-pid="9r8ZKNYckW" dmcf-ptype="general">이에 씽크포비엘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 체계에 '초고액 인재 독식 기업'에 대한 감점 항목을 신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해당 기업에 재무적·평판적 리스크를 부과해 과도한 인재 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항목이다. </p> <p contents-hash="8a9d2ece5483ae9aac05ceffcb6e85bb0d532093ffb451b48bc74621a0410484" dmcf-pid="2m659jGkNy" dmcf-ptype="general"><span>그는 "제도적 개입이 없다면 중소기업과 공공기관은 AI 생태계에서 점차 밀려나게 될 것"이라며 "AI 기술을 둘러싼 불평등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pan></p> <p contents-hash="3509f04010ac12b8f8fea357dc9aa53a09aec4015fa9f1e3e61c10ca5aa58c12" dmcf-pid="VsP12AHEjT"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이같은 흐름이 기업 문화 자체를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span>소수 </span><span>인재 </span><span>한 </span><span>명에게 </span><span>과도한 </span><span>자원을 </span><span>몰아주는 </span><span>것은 </span><span>팀 </span><span>전체 </span><span>동기와 </span><span>협업 </span><span>구조를 </span><span>무너뜨리는 </span><span>결과를 </span><span>낳을 </span><span>수 </span><span>있다"며</span><span> "</span><span>공정한 </span><span>보상 </span><span>체계 </span><span>신뢰를 없앨 </span><span>뿐 아니라 </span><span>조직 </span><span>내 </span><span>균형과 </span><span>문화에 </span><span>부정적 </span><span>결과를 </span><span>초래할 </span><span>수 </span><span>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span></p> <p contents-hash="509a7809b2a5a57647e3d34ec732484a35f6d8da94201e0d8438f0ed5a7357a4" dmcf-pid="fOQtVcXDgv" dmcf-ptype="general">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인재 한 명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조직 전체의 다양성과 협력을 통한 노하우 축적도 중요하다"며<span> "적재적소에 알맞은 인재를 배치하고 이들이 함께 성장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b968bd3d5d051c4b697456a9b3ce604719f15454a0f34c595f4ea26c24f1d129" dmcf-pid="4IxFfkZwgS" dmcf-ptype="general">김미정 기자(notyetkim@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ETRI-KAIST, 잡음 보정 없는 양자암호통신 검증…위성·드론·선박 적용 07-30 다음 SCM Rises, KainosMed Falls as Capital Paths Split[K-bio Pulse]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