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무, '무현준' 변신? 숨겨온 건축 지식 공개..."우리 건축인들은"(이유 있는 건축) 작성일 07-30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지난 29일 방송</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gppZ6Dxn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7a2490a0adf49e8e353e7caaa5b2794e37172f618aacdda6adfba74bac0287" data-idxno="541435" data-type="photo" dmcf-pid="tNuu1QrRM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5252xsbb.jpg" data-org-width="720" dmcf-mid="W5b8baWAL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5252xsbb.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90f16b023f73f7814e1ef758af3bba5b6f7029bdd388d28c4a46bbdcbfa469a" dmcf-pid="3AzzFMsdLo" dmcf-ptype="general">(MHN 강혜민 인턴기자)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 방송인 전현무가 부캐 '무현준'으로 변신해 건축 지식을 뽐냈다.</p> <p contents-hash="b1c59c98d80173b38058adc4659505a76cce1ac51104243ff0f6cd4498b1b0de" dmcf-pid="0cqq3ROJLL" dmcf-ptype="general">지난 29일 방송된 MBC 교양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 2회에서는 '한국을 설계한 1세대 건축가' 김수근의 명작들을 찾아 떠나는 건축 여행이 그려졌다. 전현무, 박선영, 정영한이 아나운서 선후배 케미를 발산하며 유쾌하고도 지적인 건축 여행을 펼쳤다.</p> <p contents-hash="851054f36edaf55e70d0d13c1bf01e7fb8d3340e154eff9f2df3213591f4e4e0" dmcf-pid="pkBB0eIinn" dmcf-ptype="general">첫 번째 가이드를 맡은 전현무는 서울 장충동에 있는 김수근의 역작 경동교회를 소개했다. 경동교회는 왜 김수근이 '빛과 벽돌의 건축가'로 유명한지 보여준 작품이었다. 전현무는 붉은 벽돌로 통일된 경동교회를 둘러보며, 벽돌의 거친 질감이 건물에 입체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2e10bb613b7780d2b16f8593e832bacfdf9ce8fe3cc180d44639d1419be8cee" data-idxno="541436" data-type="photo" dmcf-pid="uDKKUJhLe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6547apqd.png" data-org-width="720" dmcf-mid="Ye5U5PwMd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6547apqd.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c8b8ff35d70255cf6a8a1f3ce99d3d3511180d2153ff56a6565436c5170fdaf" dmcf-pid="zo00X8EQee" dmcf-ptype="general">열심히 공부해온 건축 지식들을 쏟아낸 전현무는 "우리 건축인들은"이라고 너스레를 떠는가 하면, 스튜디오에 있는 유현준 건축가가 더 설명할 게 없다고 걱정하는 등 새로운 부캐 '무현준'으로 활약해 웃음을 자아냈다.</p> <p contents-hash="b2ef89da7bb165feeba903282f1074aa730b84ef9a36969141441024dc0061bf" dmcf-pid="qgppZ6DxJR" dmcf-ptype="general">경동교회는 일반적인 교회와 달리 외관에 십자가, 창문, 정문이 드러나지 않는 '3무(無)'로 관심을 집중시켰다. 유현준은 이 설계에 경건하고 성스러운 의미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계단을 따라 예배당까지 오르는 과정은 '고개를 숙이며 신에게 다가가는 길'로 해석됐다. </p> <p contents-hash="9bf75a2592be1c49a59b7441d5eec37725b790956dcbad4d4ba6d7b64882b77e" dmcf-pid="BaUU5PwMeM" dmcf-ptype="general">성당 내부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큰 창은 빛이 위에서 십자가를 비추도록 설계돼 시선을 사로잡았다. 유현준은 "건축물을 볼 때 인간이 주광성 동물이란 것을 잊어선 안 된다. 빛이 들어오는 쪽으로 시선이 모이고, 빛이 위에서 내려오면 고개를 들게 되면서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라며, 건축가의 의도를 짚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318440a9b4bd701c84705f00165f25e6b87fa68be91f2453aa79fa7fbbb09f3" data-idxno="541437" data-type="photo" dmcf-pid="Kj77txmei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8012gkvi.png" data-org-width="720" dmcf-mid="HIMLMOphM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8012gkvi.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cd748c124c89a26ca5a13b76e49e06b6f447616db92505b541dddaa59fe4c9c" dmcf-pid="2cqq3ROJn6" dmcf-ptype="general">박선영은 "긴 터널 끝에 한 줄기 희망을 본 느낌"이라며 감탄했다. 건축물의 홀리한 감성에 취한 전현무는 '무토그래퍼'로 몰입해 "예쁘다. 외국 어디에 내놔도 부족함이 없다"라며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p> <p contents-hash="4e639623668c435fc9db22d1b82b81397931cb6f09cc00b9338594b089ea690a" dmcf-pid="VkBB0eIiJ8" dmcf-ptype="general">이어 MZ아나운서 정영한은 대학로를 붉은 벽돌로 물들인 김수근의 작품들을 의욕적으로 소개하면서, '원조 춤추는 아나운서'였던 대선배 전현무에게 댄스 도전장을 내미는 패기를 보여줬다. </p> <p contents-hash="eb55aed5871af724c090c3585392bdc3e4d03aac399978b713c0cbc6feaa82a1" dmcf-pid="fEbbpdCnL4" dmcf-ptype="general">이에 응해 무아지경으로 춤을 추던 전현무는 급 현타(현실자각타임)에 도망을 쳐 모두를 폭소케 했다. 전현무와 박선영은 창피함에 맥락 없는 진행을 하는 후배 정영한을 향해 "넌 뉴스는 글렀다", "너무 부끄럽다"라고 혹독한 평가를 내려 웃음을 안겼다.</p> <p contents-hash="6c46129d6b0f320752a51890c5e2dacafee8e43f987abdcb8e691c62f092d198" dmcf-pid="4DKKUJhLMf" dmcf-ptype="general">전현무와 박선영은 혜화역 앞 유명한 스팟에 자리한 옛 샘터사옥도 김수근의 건축물이란 사실에 깜짝 놀랐다. 이 근처에서 대학시절 2대 2 미팅을 했다는 전현무는 "헤어지는 길에 내가 준 삐삐 번호 쪽지 버리더라"라고 그녀를 떠올리며 눈가가 촉촉(?)해졌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5a8fdf332200518cbfc08d17f3d5016964f48ac81674db6638569d236a19259" data-idxno="541438" data-type="photo" dmcf-pid="6r227nSgL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9302btsz.png" data-org-width="720" dmcf-mid="Zn77txmeL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HockeyNewsKorea/20250730113209302btsz.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bd51cf77b0cda18dbd77c3c25b635e06bd8dbf2d2358618ed9290748cccb24a9" dmcf-pid="QsffqoTNdK" dmcf-ptype="general">만남의 장소였던 전현무의 슬픈 추억이 깃든 공간에도 건축가의 의도가 있었다. 유현준은 "김수근 선생이 대학로에서 작업을 할 때 공공성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라면서, 건물과 건물 사이 공간, 건물 아래로 관통하는 길을 내어 시민들이 더 잘 이용하도록 만든 의도를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37de56b8ee995c313434c46015861d54199ff65bff74acb722a09cda7319f44" dmcf-pid="xd55y9NfMb"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박선영은 신인 김수근을 알린 초기 작품, 1969년 완공된 남산 자유센터(전 한국자유총연맹)을 소개했다. 자유센터는 군사정권시기 반공 이념을 시각화한 국가 주도 건축물로, 위엄을 느끼게 하는 대칭구조, 권위가 느껴지는 후문의 높고 긴 계단 등이 시선을 사로잡았다.</p> <p contents-hash="4f3f47fb6133a68dc30e2667e50f6abed60437cd7097318c7bca190056c085ed" dmcf-pid="yHnnxs0CdB" dmcf-ptype="general">역사학자 김재원은 "군사정권 시절 국가 프로젝트를 수행한 건축가라는 비판적 시선도 있다"며,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김수근이 설계한 남영동 대공분실을 그 예로 들며 엇갈린 평가를 말했다. 공포감을 주는 남영동 대공분실의 공간적 특징도 소개됐다. </p> <p contents-hash="3793708c5c0353ff93eb182c5369a469fed76cbd4e3046cb47997a7e73661247" dmcf-pid="WXLLMOphRq" dmcf-ptype="general">유현준은 "건축에는 (사람들을 조종할 수 있는) 힘이 있다. 공간은 나와 무관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그 영향을 받는다"라면서, 공간 설계 하나로 사람을 해칠 수도 살릴 수도 있는 '칼과 같은 건축'의 보이지 않는 힘을 강조하며 건축 여행을 마무리했다.</p> <p contents-hash="b1d4a865969826842ffd2ffa939eeaa8bb5c82d5da05129651bb58a4eb2c566e" dmcf-pid="YZooRIUldz" dmcf-ptype="general">한편, MBC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는 매주 화요일 오후 9시 방송된다.</p> <p contents-hash="11fce271654c2205f30bb08b9cfbe09fb52203d082eda9e640ae8fcf99bee39e" dmcf-pid="G5ggeCuSe7"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886786b0ad0de3296c88e6e75a9bd5493d5ac77545e0938fcf1f84d8d52c59c8" dmcf-pid="H1aadh7vJu" dmcf-ptype="general">사진=MHN DB, MBC</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영상] 한국 육상 계주 첫 금메달…'태양의 후예' 염소 소년 금의환향 07-30 다음 한혜진♥기성용 딸 우월 비주얼 핫이슈 “일반인으로 살기 힘들 정도” 성장 포착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