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EU 망 사용료 도입 안해" 주장…한국도 압박하나 작성일 07-30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미 관세 협상서 '디지털 통상' 쟁점 부상…"망 사용료, 한국만 추진" 논리에 대응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VHyvbg2Z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5144e8407304a00bfde286d1b4873f861b39c9334649a407585f0aeba06d74" dmcf-pid="Vrx8fkZwt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인틴뷰에 위치한 구글 본사 로고 사진. ⓒAP/뉴시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dailian/20250730103129349eeaj.png" data-org-width="700" dmcf-mid="bYZNgW9HZ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dailian/20250730103129349eeaj.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인틴뷰에 위치한 구글 본사 로고 사진. ⓒAP/뉴시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2286fbd4dae13bdf770e57bb038068baed8577f99fbb7e87be9e20c38cc9ce" dmcf-pid="fmM64E5r16" dmcf-ptype="general">미국이 유럽연합(EU)이 망 사용료(Network Usage Fee)를 도입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히면서, 이 사안을 한·미 관세 협상 카드로 활용할지 주목된다. 미국이 한국에도 같은 요구를 할 경우 '망 사용료' 입법 추진 차질이 발생하거나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p> <p contents-hash="921be2f318a09094dc80c7e752e7148aea225230e1761c26616a1cf628e5cc85" dmcf-pid="4sRP8D1m18"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구글, 넷플릭스 등 글로벌 플랫폼의 국내 망 무임승차로 인한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제도 정비를 관철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p> <p contents-hash="ba6a52fb0f2f57ee61726a3445464bc97abcbeb647ad83ad974135836878b7d2" dmcf-pid="8OeQ6wtsG4" dmcf-ptype="general">미 백악관 홈페이지에 28일(현지시간) 공개된 미·EU 관세 협상 보도자료(Fact Sheet: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Reach Massive Trade Deal)를 살펴보면 양국은 불공정한 디지털 무역 장벽(Barriers for Digital Trade)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p> <p contents-hash="ed08e219e0485db6ed4b0da7c01bc5982d2d23c051729a0e2fc8e0c0a76b725f" dmcf-pid="6IdxPrFOZf" dmcf-ptype="general">백악관은 "이와 관련해 EU는 망 사용료(network usage fees)를 도입하거나 유지하지 않겠다고 확인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a1aca4c2853084fd18205ca10abd2a584bfe01f124fbd84f139303341c4fe5e5" dmcf-pid="PCJMQm3IXV" dmcf-ptype="general">이를 EU측은 부정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29일 EU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디지털 규제나 디지털세(digital taxes)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아무런 확약(commitment)이 없다"고 보도했다.</p> <p contents-hash="6f1f314222f3f8eb6d65257fb5050e2c85bc41031ccd4a79d92a205ea3831765" dmcf-pid="QhiRxs0CY2" dmcf-ptype="general">망 사용료 뿐 아니라 양측은 에너지 투자, 군사 장비 구매, 농산물 시장 개방 등 이번 관세 협정의 구체적 결과를 놓고 해석에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p> <p contents-hash="5f3cdfdbf95cff0f0623acf76a121975ca467f4a84d56f53b9685eef00e92c5b" dmcf-pid="xlneMOphH9" dmcf-ptype="general">EU는 망 사용료 법제화 가능성이 높았던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EU 집행위원회(EC)는 글로벌 빅테크가 유럽 내 통신망 투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하는 다양한 ‘연결 인프라 법안(Digital Networks Act 등)’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해 왔다.</p> <p contents-hash="cd7a4b7769081d17c9a3f0e0bd111cbb2006236ec712334d187229eda5701b65" dmcf-pid="y85GW2j41K" dmcf-ptype="general">이같은 정책 추진은 양측 기업간 법적 분쟁으로 업계 불만이 가중돼왔기 때문이다. 일례로 독일 도이치텔레콤은 메타가 자사 망을 이용하면서도 망 이용대가 지급을 거부했다며 2021년 7월 독일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p> <p contents-hash="2426cb24a3f2a4f626f883e2e9874d7ad4711b13b9519484a223fa66a17e9cd5" dmcf-pid="W61HYVA8Yb" dmcf-ptype="general">메타는 "계약이 없으므로 대가 지급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으나 쾰른 법원은 지난해 5월 메타가 분쟁 기간 중에도 도이치텔레콤의 망을 계속 사용한 점을 들어 도이치텔레콤에 2100만 유로(약 310억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p> <p contents-hash="eac4935a3c40741f539959bebd77b83f370d8df0113dffccd9a6204e8c10328a" dmcf-pid="GQFZH4kPtq" dmcf-ptype="general">프랑스에서도 유사 사례가 있었다.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오렌지(Orange)는 미 글로벌 트랜짓 사업자 코젠트(Cogent)를 상대로 망 이용대가 분쟁을 벌였다.</p> <p contents-hash="eeb720ebb6e883783d82ca60b89fd668e762a69d598cb6e34a223e8d7c86c1bf" dmcf-pid="Hx35X8EQGz" dmcf-ptype="general">오렌지는 무정산 계약 조건을 초과한 트래픽 대가 지불을 요구했고 코젠트가 이를 거부하자 망용량 증설을 중단했다. 이에 코젠트는 프랑스 공정위에 반경쟁적 행위라며 2011년 신고했으나 4년 뒤 프랑스 대법원은 오렌지의 망 이용대가 청구권을 인정했다. 네트워크의 공정한 사용을 위해 트래픽을 유발한 CP(콘텐츠 제공자)가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판단이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a1f44be1ad69375d669b6a1472daf9560a1e906b330748d0c606d7e11ffb30d" dmcf-pid="XeUF1QrRt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백악관이 7월 28일(현지시간) 공개한 미·EU 관세 협상 보도자료 일부.미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dailian/20250730103130600ytzt.png" data-org-width="700" dmcf-mid="K6xZH4kPt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dailian/20250730103130600ytzt.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백악관이 7월 28일(현지시간) 공개한 미·EU 관세 협상 보도자료 일부.미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92f03aad3d08c6e682856f5742e62e7a776002e5bd155a47b6b2f6325951544" dmcf-pid="Zdu3txme1u" dmcf-ptype="general">양국 기업간 법적 다툼 속 미국이 '망 사용료 철회'를 이번 EU 관세 협정의 공식 성과로 명시한 것은 자국 빅테크 산업 보호를 부각하는 동시에, 이를 지렛대로 한국 등 동맹국과의 통상 협상이나 글로벌 디지털 통상 질서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적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p> <p contents-hash="7b57126824b07f3669cfd87e61b0fe1ce67fcab40558f039c5db865a9fc2c842" dmcf-pid="1izp3ROJYp"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한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도 미국이 망 사용료 문제를 밀어붙일 가능성이 안팎으로 제기된다.</p> <p contents-hash="e85b2fa11a0ac221cebaa045629b9daccd250a0d8954ec144b07c10e2d93ceac" dmcf-pid="tnqU0eIi50" dmcf-ptype="general">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3월 31일(현지시간) 발표한 ‘2025 국가별 무역 장벽 보고서(NTE 보고서)’에서 '망 사용료'와 관련해 "2021년 이후 외국 글로벌 콘텐츠 제공업자(CP)가 한국 ISP에 망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요구하는 여러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며 "일부 한국 ISP는 CP이기도 해 미국 CP가 지불하는 수수료는 한국 경쟁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c6dd004dba05ab92cdbe978e3f15176bf9d22e17c84e56ec131bab0b80a1c495" dmcf-pid="FLBupdCnH3"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이러한 의무는 한국의 3대 ISP(SK텔레콤·KT·LG유플러스) 과점을 더욱 강화해 콘텐츠 산업에 해를 끼치는 반경쟁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p> <p contents-hash="700033e81c4ba5352264b29fa6679e28c4aaa05ae6c64625704f54aeba5180dd" dmcf-pid="3ob7UJhLGF" dmcf-ptype="general">미국이 관세 협상에서 망 사용료 문제를 다룰 경우, 한국 측 대응에 따라 국내 ISP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개별 기업 간의 문제가 시장 전체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feca503a4eca7bd48376e62a1cada9bea05dbca1cc5dd7ce5fd07cb33a2b82e3" dmcf-pid="pa9q7nSgX1" dmcf-ptype="general">국내 대표 ISP인 SK브로드밴드와 미 스트리밍 서비스업체 넷플릭스는 2020년 소송전을 치른 바 있다. 당시 SK브로드밴드는 '망 사용료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고 넷플릭스는 '망 중립성'을 근거로 맞섰다. 망중립성은 ISP가 모든 데이터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차별 없이 전송해야 한다는 개념이다.</p> <p contents-hash="6bee84b237852896659044e926e944e6fe77b44712d851d371f2d8622426b433" dmcf-pid="UN2BzLvat5" dmcf-ptype="general">결국 2023년 인터넷(IP)TV 콘텐츠 제휴 방식으로 양사 갈등이 봉합되기는 했지만, 업계 전반의 합의로는 확대되지 않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b68263385a537b61d3b0376f33f4259cd585b615e2115a2321037fa4e0ea6fe" dmcf-pid="ujVbqoTNZ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22대 국회에서 발의된 망 이용대가 관련 법안 현황(자료 출처 : 신민수 한양대 교수)ⓒ공정한 망 이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 자료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dailian/20250730103131854daru.png" data-org-width="700" dmcf-mid="9Het5PwMY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dailian/20250730103131854daru.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22대 국회에서 발의된 망 이용대가 관련 법안 현황(자료 출처 : 신민수 한양대 교수)ⓒ공정한 망 이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 자료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2ad442045c6be7a4082a32b64ad122104639bfac07d1edccff9ad1b19ce4b0" dmcf-pid="7AfKBgyjGX"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국내 유입 트래픽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ISP가 감당할 국제 회선료, 전용선 추가 등 별도 비용이 증가하므로 망 사용료 부과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외 협상 분위기와 무관하게 우리 입장을 일관되게 관철시켜야 한다는 진단이다.</p> <p contents-hash="64ef2dcdc5c957f6216cfda0c0464fee40e98fd7bc05a7940d9e7a5586f2e75b" dmcf-pid="zc49baWA1H" dmcf-ptype="general">변상규 호서대학교 문화영상학부 교수는 "망 사용대가를 이번에 바로 잡지 않으면 인터넷 생태계의 미래가 불투명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지난 28일 열린 '공정한 망 이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망 무임승차 구조가 지속될 경우 국가 차원의 인프라 투자 여력이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98623a4acb2748fdf134abab22b10281121798755ad770fd171a02753efa3c48" dmcf-pid="BE6V9jGkYY" dmcf-ptype="general">국내 인터넷 트래픽의 절반 수준은 대형 글로벌 콘텐츠 제공자(CP) 서비스로 구글(31.2%), 넷플릭스(4.9%), 메타(4.4%) 등이 차지하고 있다. 이들 빅테크 기업의 트래픽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동영상 서비스 이용 시간이 늘어날수록 앞으로도 증가 가능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ETRI·KAIST,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양자통신 위한 새 기술 개발 07-30 다음 세계적인 산악인 허영호 대장 담도암으로 별세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