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EU 망사용료 철회”···韓에도 무역장벽 압박 거세질듯 작성일 07-30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백악관 "EU, 망사용료 도입 않기로"<br>韓 협상 악영향···디지털 장벽 지목<br>유튜브·넷플 트래픽에 망 부담 호소</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0qEnvBWl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973d90264d3cedcc13c1e4e41b52b51e63d7095d2c08fbb166c1444e43756e6" dmcf-pid="HpBDLTbYy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seouleconomy/20250730092730966ksrk.jpg" data-org-width="640" dmcf-mid="YMl47nSgy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seouleconomy/20250730092730966ksr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4493bedd15a907bde611c0cc656e8776f22cc109e3779607b9b94c7ce8f7cf9" dmcf-pid="XUbwoyKGTi" dmcf-ptype="general"> [서울경제] <p>유럽연합(EU)이 유튜브·넷플릭스 등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기업에게 망 사용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미국 정부와 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 사용료는 미국이 한국과의 관세협상에서도 디지털 무역장벽으로 지목하며 첨예하게 다투는 문제인 만큼 EU와 마찬가지로 국내 관련 규제를 철회하라는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p> </div> <p contents-hash="544bf4e0670b32bcabfbff8ddee0f9f2d7567f362afee91c0dfc789a4abb1653" dmcf-pid="ZuKrgW9HvJ" dmcf-ptype="general">미국 백악관은 28일(현지 시간) 홈페이지에 ‘팩트시트: 미국과 EU가 대규모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는 제목의 공지를 올리고 “미국과 RU는 부당한 디지털 무역장벽을 해소하고자 한다”며 “이와 관련해 EU는 망 사용료를 도입하거나 유지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글·넷플릭스 등 미국 기업을 상대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이동통신사들이 다투고 있는 망 사용료 문제에서 EU가 먼저 꼬리를 내렸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29086b2ac174a6bfbae75af0c6cf7d671b80a0fcfa3b25828d3cb5370e34073e" dmcf-pid="5MnZlqLKTd" dmcf-ptype="general">미국은 앞서 망 사용료를 포함해 국내 입법이 추진 중인 빅테크 규제들을 자국 기업에 불리한 디지털 무역장벽으로 꼽은 바 있다. 한국과 비슷한 입장인 EU가 먼저 미국 기업에 대한 망 사용료 철회를 결정하면서 한국 역시 협상력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EU는 프랑스·독일 등에서 망사용료 지급 계약이나 법원 판결 사례가 있고 아예 정부가 나서서 망 사용료 협상 중재를 규정하는 디지털네트워크법(DNA) 입법을 추진하는 등 그동안 한국보다 적극적으로 망 사용료 문제에 대응해왔다.</p> <p contents-hash="953effdb5e23a347a0eca2b1703f9947fb6511a8cb2fe5068734cfd5e5f66a47" dmcf-pid="1RL5SBo9ye" dmcf-ptype="general">망 사용료는 SK브로드밴드·KT·LG유플러스 등 망 제공 사업자(ISP)와 구글·넷플릭스 등 콘텐츠 제공 사업자(CP) 간 오랜 갈등의 쟁점이다. 유튜브·넷플릭스 등 동영상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서비스의 성장으로 망을 오가는 트래픽이 급증하자 ISP는 망 투자 비용을 ‘원인 제공자’인 CP가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국내 망을 오가는 트래픽 비중은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기업에 비해 해외 빅테크가 압도적으로 크다. 구글의 국내 트래픽 비중만 지난해 말 기준 31.17%다. 특히 ISP 입장에서는 빅테크 한곳당 연간 수천억 원, 조(兆) 단위의 연매출이 걸린 중대한 사안이다.</p> <div contents-hash="da14e74a0bd183d206ced855ef1a1eb48a99a2ec11d503b90110828e1d2a073a" dmcf-pid="teo1vbg2TR" dmcf-ptype="general"> <p>반면 CP는 ISP가 이미 이용자에게 통신료를 받고 있으며 망 사용료 부과가 인터넷상 모든 데이터의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망 중립성 원칙에 위배된다며 ISP 측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가 소송을 벌였다가 인터넷(IP)TV 제휴로 상호 합의하는 등 개별 사업자 간 협상 사례는 있지만 정부 차원의 망 사용료 규정은 아직 없다. 이번 22대를 포함해 국회에서 사업자 간 망 사용료 협상에 정부의 개입을 허용하는 ‘망 무임승차 방지법’이 발의돼왔지만 통상 마찰 우려 등으로 장기간 계류 중이다.</p> 김윤수 기자 sookim@sedaily.com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지혜, 결혼 20년 만 폭로 "박준형, 자녀들 앞 내 험담... 이혼할 뻔" 07-30 다음 수백 대 AI 드론 공격, 한방에 붕괴… '늑대식 사냥법' 뭐길래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