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AIST, ‘측정보정 없는 양자키분배’ 동시검증 성공 작성일 07-30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세계최초 이론과 실험 성공, 양자 암호통신 이론 새 정립<br>- 실용형 QKD시대 앞당겨, 위성·드론환경도 안정통신 길 열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tDDRIUlG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9396e9b0e5deb4145862c60f7518f2aecb0656e1a20c0b088b8b463a8dfe45b" dmcf-pid="p3rrdh7v1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양자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ETR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ned/20250730091705817kqig.png" data-org-width="580" dmcf-mid="FhmmJlzTt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ned/20250730091705817kqig.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양자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ETR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23cb4a5c177ba660dd8a74d537d7acb0de3838795f42c3e59589655a028da7a" dmcf-pid="U0mmJlzTXr"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양자 상태의 측정 보정이 없이도 안정적으로 양자키분배(QKD)가 가능한 ‘측정 보호(MP)’이론을 세계 최초로 정립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d0d3697b12b834e18a89ba7c9a50ae4c10f1856eea50c3d08d418bcfde7da5c4" dmcf-pid="upssiSqy1w" dmcf-ptype="general">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KAIST와 공동연구를 통해 위성, 선박, 드론처럼 움직이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양자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8c50e5bd914e32f5695fd57b2c31bda0b74c39919afbc9ad15ce8680be140d1" dmcf-pid="7UOOnvBWXD" dmcf-ptype="general">양자통신은 정보를 빛의 양자 상태로 전송하는 고정밀 기술이지만, 무선으로 이동중인 환경에서는 날씨나 주변 환경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아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p> <p contents-hash="1af5bdba25c980327c40e23ee7a122c7a5305313b48dd6bbc6b791cf93f843a4" dmcf-pid="zuIILTbYGE"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이동중인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양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처음으로 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p> <p contents-hash="1498515de3ae613b5d06b53332b5b139f77c1170bfbf420bde16685cf05c4a82" dmcf-pid="q7CCoyKGHk" dmcf-ptype="general">양자키분배(QKD) 기술이란,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해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암호 키를 분배하는 기술이다.</p> <p contents-hash="d4d44b4d6b8a1a84fd469e3cfee80aed850c5c71b91297cd46d233554e84c4b8" dmcf-pid="BzhhgW9H1c" dmcf-ptype="general">기존 QKD 프로토콜은 채널 상태가 바뀔 때마다 수신 측 측정 장치를 반복해서 보정해야만 했다.</p> <p contents-hash="fc2e51460b74a4ea0e510679e72fe1028fc07d39eafc852288c8f321a459d22e" dmcf-pid="bqllaY2X1A"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에서는 간단한 국부 연산만으로도 채널 상태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키 분배가 가능함을 증명해 냈다.</p> <p contents-hash="5480a6755c9b19ed1c0626113b622f9965120b235d2861cc4355d4f627022efa" dmcf-pid="KBSSNGVZ1j" dmcf-ptype="general">이론은 KAIST 배준우 교수팀이 정립했고, 실험은 ETRI 연구진이 수행했다.</p> <p contents-hash="741e0289351f90568f19f5206097679f21e877591087fee4a69d5d39bd37a372" dmcf-pid="92WWk56FYN"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10m 자유공간 구간에 최대 30dB 손실을 적용한 장거리 전송 환경을 구현하고, 다양한 편광 노이즈를 삽입해 무선환경의 장거리 실험을 상정해 열악한 상황에서도 양자의 전송과 측정이 원활하게 됨을 검증했다.</p> <p contents-hash="ceb58fb950e03e0a0f0221e7fb60e9abd943c6b128356be6dae869e8d6e290c2" dmcf-pid="2VYYE1P3Ha" dmcf-ptype="general">그 결과, 측정보호(MP) 기반 QKD 시스템은 전송된 양자 비트 중 오류가 발생한 비율을 뜻하는 양자 비트 오류율(QBER)의 시스템 최대 허용치를 기존 대비 20.7%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p> <p contents-hash="cd986ef34d75df7d9142f84db9764171057a7ef2f77b5e7a1aebff79982d790c" dmcf-pid="VfGGDtQ0Xg" dmcf-ptype="general">이는 수신된 양자 비트 중 오류가 20.7% 미만이면 별도의 측정 보정 없이 안정적인 양자키분배가 가능하다는 의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ff4283875907928e386a781ed81d53c51a1c0beec37ee46a63026c17eed5bb1" dmcf-pid="f4HHwFxp5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번 연구결과가 게재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퀀텀 테크놀로지스’ 표지.[ETR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ned/20250730091706077iebf.jpg" data-org-width="1280" dmcf-mid="3SUUvbg2H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ned/20250730091706077ieb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번 연구결과가 게재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퀀텀 테크놀로지스’ 표지.[ETR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c91134900bc2ce2764acf19d858881588e89c492f033c4a7c6942eebe8eb5e" dmcf-pid="48XXr3MU5L"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 같은 성과를 위성-지상 링크와 유사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p> <p contents-hash="948cf8071cd45e1d2c87bb4b0613ad3393462a7e7e5e805b4e5d8043723d0c1a" dmcf-pid="86ZZm0RuGn" dmcf-ptype="general">윤천주 ETRI 양자기술연구본부장은 “채널 변화에 독립적인 QKD 구현은 양자암호통신의 유연성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면서 “장거리 자유공간 링크 기술로 확장해 글로벌 양자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56d1024024e32cedae22fe6f7696eb313f6871211200c5cf7e9516b9642a1bf" dmcf-pid="6P55spe71i" dmcf-ptype="general">배준우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도 “이번 성과는 복잡한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양자 보안 통신을 현실로 끌어올리는 결정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b4aea08f52da6e6ad1f510eaa63f007998aaee2564a700bb2ce657369b7ffa6" dmcf-pid="PQ11OUdzYJ"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퀀텀 테크놀로지스(Advanced Quantum Technologies)’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EU, 망 사용료 철회? 美-EU 해석 놓고 ‘온도차’ 07-30 다음 대한체육회장배 전국근대5종대회, 강원 인제서 8월 1일 개막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