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억 재산설' 전현무 "내 번호 쪽지 줬는데 버리더라"..거절한 여성 누구 (이유있는건축) 작성일 07-30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Tpz2eIiF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f502541ac41f4c18ece3e60c18394a4da2993a6618eeb06cbb7289bc600ea2b" dmcf-pid="f7QeorFO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SpoChosun/20250730075729155yuhv.jpg" data-org-width="647" dmcf-mid="Kh4QJkZw0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SpoChosun/20250730075729155yuhv.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5de22bf158af4d7f8f85ef32257ea54b57384dad672b2de601adf7f1b7afe77" dmcf-pid="4zxdgm3I7C" dmcf-ptype="general"> [스포츠조선닷컴 김수현기자]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 전현무가 새로운 건축인 부캐 '무현준'으로 활약했다.</p> <p contents-hash="b9bb4033c0931ad0c61af04aae0b58c463d5d485f71d8cbcae3e4ad159dad46e" dmcf-pid="8qMJas0CpI" dmcf-ptype="general">7월 29일 방송된 MBC 교양 프로그램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연출 소형준, 성승민/작가 남수희/이하 '이유 있는 건축') 2회에서는 '한국을 설계한 1세대 건축가' 김수근의 명작들을 찾아 떠나는 건축 여행이 그려졌다. 전현무, 박선영, 정영한이 아나운서 선후배 케미를 발산하며 유쾌하고도 지적인 건축 여행을 펼쳤다.</p> <p contents-hash="460b3fa54b4d44f8ca5453e676ae0b124dc3216f9109f868d04ce1715ab2c4f6" dmcf-pid="6BRiNOph3O" dmcf-ptype="general">첫 번째 가이드를 맡은 전현무는 서울 장충동에 있는 김수근의 역작 경동교회를 소개했다. 경동교회는 왜 김수근이 '빛과 벽돌의 건축가'로 유명한지 보여준 작품이었다. 전현무는 붉은 벽돌로 통일된 경동교회를 둘러보며, 벽돌의 거친 질감이 건물에 입체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3528cac3d5587f21b1dbb18a3ed95b8a37268f795f0be346fc7e0d2f8af80ef8" dmcf-pid="PbenjIUl0s" dmcf-ptype="general">열심히 공부해온 건축 지식들을 쏟아낸 전현무는 "우리 건축인들은~"이라고 너스레를 떠는가 하면, 스튜디오에 있는 유현준 건축가가 더 설명할 게 없다고 걱정하는 등 새로운 부캐 '무현준'으로 활약해 웃음을 자아냈다.</p> <p contents-hash="0ae980f924d4eb451637e86ada01372b40512c6d3f39a091b67ca9196c3971a9" dmcf-pid="QKdLACuS3m" dmcf-ptype="general">경동교회는 일반적인 교회와 달리 외관에 십자가, 창문, 정문이 드러나지 않는 '3무(無)'로 관심을 집중시켰다. 유현준은 이 설계에 경건하고 성스러운 의미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계단을 따라 예배당까지 오르는 과정은 '고개를 숙이며 신에게 다가가는 길'로 해석됐다. 성당 내부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큰 창은 빛이 위에서 십자가를 비추도록 설계돼 시선을 사로잡았다. 유현준은 "건축물을 볼 때 인간이 주광성 동물이란 것을 잊어선 안 된다. 빛이 들어오는 쪽으로 시선이 모이고, 빛이 위에서 내려오면 고개를 들게 되면서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라며, 건축가의 의도를 짚었다.</p> <p contents-hash="52a9c0299e6b340e8c61a5ae96f129a146d2a27e484876788efa7cd0fe8922ee" dmcf-pid="x9Joch7v0r" dmcf-ptype="general">박선영은 "긴 터널 끝에 한 줄기 희망을 본 느낌"이라며 감탄했다. 건축물의 홀리한 감성에 취한 전현무는 '무토그래퍼'로 몰입해 "예쁘다. 외국 어디에 내놔도 부족함이 없다"라며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b5c96ce5aafbf37c4e59d7bb8c8653f0ef86558208a89a7d5f89554fd1eaa0" dmcf-pid="ysXtu4kP7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SpoChosun/20250730075729375udjc.jpg" data-org-width="1200" dmcf-mid="99MJas0Cp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SpoChosun/20250730075729375udjc.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8c98ca34454a7984b91cdbdb2c710765499be8787c0ca901fe37b0eab778ab1c" dmcf-pid="WaCvHuJqUD" dmcf-ptype="general"> 이어 MZ아나운서 정영한은 대학로를 붉은 벽돌로 물들인 김수근의 작품들을 의욕적으로 소개하면서, '원조 춤추는 아나운서'였던 대선배 전현무에게 댄스 도전장을 내미는 패기를 보여줬다. 이에 응해 무아지경으로 춤을 추던 전현무는 급 현타(현실자각타임)에 도망을 쳐 모두를 폭소케 했다. 전현무와 박선영은 창피함에 맥락 없는 진행을 하는 후배 정영한을 향해 "넌 뉴스는 글렀다", "너무 부끄럽다"라고 혹독한 평가를 내려 웃음을 안겼다.</p> <p contents-hash="75636f7daef750003db6c12d4f05474b7704ef7db02a14068388cc589aaf0298" dmcf-pid="YNhTX7iB3E" dmcf-ptype="general">전현무와 박선영은 혜화역 앞 유명한 스팟에 자리한 옛 샘터사옥도 김수근의 건축물이란 사실에 깜짝 놀랐다. 이 근처에서 대학시절 2대 2 미팅을 했다는 전현무는 "헤어지는 길에 내가 준 삐삐 번호 쪽지 버리더라"라고 그녀를 떠올리며 눈가가 촉촉(?)해졌다. 만남의 장소였던 전현무의 슬픈 추억이 깃든 공간에도 건축가의 의도가 있었다. 유현준은 "김수근 선생이 대학로에서 작업을 할 때 공공성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라면서, 건물과 건물 사이 공간, 건물 아래로 관통하는 길을 내어 시민들이 더 잘 이용하도록 만든 의도를 설명했다.</p> <p contents-hash="a62441ae2c7ad3ce5f17aca4a60d747cd7756b007e731d09a803d906bcabe3b4" dmcf-pid="GjlyZznbuk"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박선영은 신인 김수근을 알린 초기 작품, 1969년 완공된 남산 자유센터(전 한국자유총연맹)을 소개했다. 자유센터는 군사정권시기 반공 이념을 시각화한 국가 주도 건축물로, 위엄을 느끼게 하는 대칭구조, 권위가 느껴지는 후문의 높고 긴 계단 등이 시선을 사로잡았다.</p> <p contents-hash="d7244fa7040d20c01a160b490063b133bfd97cfed15c3500d2cdde4e45c51959" dmcf-pid="HASW5qLK0c" dmcf-ptype="general">역사학자 김재원은 "군사정권 시절 국가 프로젝트를 수행한 건축가라는 비판적 시선도 있다"며,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김수근이 설계한 남영동 대공분실을 그 예로 들며 엇갈린 평가를 말했다. 공포감을 주는 남영동 대공분실의 공간적 특징도 소개됐다. 유현준은 "건축에는 (사람들을 조종할 수 있는) 힘이 있다. 공간은 나와 무관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그 영향을 받는다"라면서, 공간 설계 하나로 사람을 해칠 수도 살릴 수도 있는 '칼과 같은 건축'의 보이지 않는 힘을 강조하며 건축 여행을 마무리했다.</p> <p contents-hash="adb3ec1a53970f744af21b599921699a3c6ca894b430840f2fb4ea66a9d66bf0" dmcf-pid="XcvY1Bo90A" dmcf-ptype="general">한편, 매주 화요일 밤 9시 방송되는 MBC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는 건축을 통해 역사, 문화, 경제,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신개념 건축 토크쇼다. 스타 건축가 유현준과 전현무, 홍진경, 박선영이 출연한다.</p> <p contents-hash="38276fd602409cbbd41900edc783dfc8f66906756d085c9056bf8ed127b2be08" dmcf-pid="ZkTGtbg20j" dmcf-ptype="general">shyun@sportschosun.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제로베이스 원 장하오, 특별한 생일파티…서울 랜드마크 ‘남산타워’ 장식 07-30 다음 경륜·경정, 임직원 단체헌혈· 취약 계층 선풍기 기부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