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망 사용료 철회…한미 협상서 한국 '압박 카드' 될까 작성일 07-30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백악관 "EU, 네트워크 비용 요구 않기로"…한국 향한 규제 압박 우려<br>트럼프 행정부, 한국 망 사용료 문제 디지털 교역 장벽으로 수차례 지목</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q1QX7iB5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91d76c3c4493cc8fca6087ab0ea63540fc0aa2928cb5e80bd30944415e2acb" dmcf-pid="UBtxZznbY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로이터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0/yonhap/20250730050300460yyad.jpg" data-org-width="1200" dmcf-mid="0YSBCX41X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0/yonhap/20250730050300460yya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로이터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c87aa8d2e56a66b3e1b08f58a04fd89d56cc209f6b45ed10174e5597cb24eff" dmcf-pid="ubFM5qLKXE"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한미 관세협상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유럽연합(EU)이 미국과 최종 관세 협상에서 네트워크 사용료(망 사용료) 문제를 향후 거론하지 않기로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p> <p contents-hash="6282c3dc4002acbdae9cf6db568dd4c776fb1b5ce66846e3404818199f237d87" dmcf-pid="7K3R1Bo9Xk" dmcf-ptype="general">미국 정부에서 그간 망 사용료 문제를 한국의 대표적 '디지털 교역 장벽'으로 지목해 온 만큼 초읽기에 들어간 논의 과정에서 미국 측이 이 문제를 한층 강하게 압박할 가능성이 주목된다.</p> <p contents-hash="eb02ca41d69b1378cb3f1b3d91f3d37e6abe0ef436738414d942b7db84ffa274" dmcf-pid="z90etbg2Xc" dmcf-ptype="general">30일 백악관 홈페이지에 공개된 미·EU 관세 협상 보도자료에 따르면, 양국은 불공정한 디지털 무역 장벽을 교정해 나가기로 합의했다.</p> <p contents-hash="8f7c63351dea972dd6221a284d809757b9dfbe610bad83a980b277e1fcdd4eb1" dmcf-pid="q2pdFKaV5A" dmcf-ptype="general">백악관은 특히 "이 같은 측면에서 EU는 네트워크 사용료를 채택하거나 유지하지 않기로 확인했다"고 명시했다.</p> <p contents-hash="f2a82507a16f3fbbb029f760e8aeb97967679a686d4a81668bf650839c7727c9" dmcf-pid="BVUJ39Nf1j" dmcf-ptype="general">EU는 한국과 더불어 구글, 넷플릭스 등 글로벌 콘텐츠 사업자들에 대해 망 비용 기여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대표적 지역 가운데 하나였다.</p> <p contents-hash="d5570d3995b0b78b002418a0c291d1148e6cbbdcac922fddf6be08c64347c563" dmcf-pid="bM9jBQrR5N" dmcf-ptype="general">이번 협상에서 EU가 향후 이 문제를 아예 거론하지 않기로 못 박은 만큼 이어지는 한국 정부와 관세 협상에서도 미국이 이 문제를 EU에 준하는 수준으로 밀어붙일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p> <p contents-hash="76a3b1def150d843d1f222bb045fded8561732c821177cf10ad9a3a159686c2d" dmcf-pid="KR2Abxme5a" dmcf-ptype="general">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공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에서 해외 콘텐츠 공급자에 대한 망 사용료 부과 법안을 비롯해 온라인 플랫폼 규제법, 외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용 제한 정책 등을 '디지털 교역 장벽'으로 지적한 바 있다.</p> <p contents-hash="687ae368ec1b536cf5d2215e0dd3bbe0314f38a510a964486bc4f1962436aa6d" dmcf-pid="9eVcKMsdYg" dmcf-ptype="general">망 사용료 문제는 넷플릭스와 유튜브 등 빅테크들이 콘텐츠 사업의 주류를 차지하기 시작하며 SK와 KT 등 국내 통신사들이 도입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문제다.</p> <p contents-hash="88be6f61219b2519af3efded4e39fb48529ca5cf1d897fae78750a8879c3f73b" dmcf-pid="2dfk9ROJHo" dmcf-ptype="general">국내 콘텐츠 제공업체(CP)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을 사용하면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데, 빅테크의 경우 트래픽 급증으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는 상황에도 공평한 비용 부담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사업자들의 주장이다.</p> <p contents-hash="e25b7750a4ef57f2e80fdc531c7bc87586f3c16b3bbf466ed39f3527ae4e439e" dmcf-pid="VJ4E2eIiGL" dmcf-ptype="general">반면 빅테크들은 이용자들이 통신사에 이미 인터넷 접속료를 지불하는 상황에서 추가 망 사용료를 내는 것은 이중과금이라며 '망 중립성' 원칙에 따라 트래픽 양을 이유로 서비스에 차등을 두거나 추가 요금을 부가해선 안 된다고 맞서 왔다.</p> <p contents-hash="e0f11c7cf42135372ab7cac4bba710fbbbb15a9263f30c3620ca9ab93404e1a0" dmcf-pid="fi8DVdCnHn" dmcf-ptype="general">지난 국회에서도 관련 입법이 여러 차례 시도됐지만 결실을 이루지 못했고, 22대 국회 들어서도 여러 건의 비슷한 관련법이 발의된 상태다.</p> <p contents-hash="7edda36578a8aecca1f63c64dbe5fd51594ac508e6ddb0bb46289374d3db25c8" dmcf-pid="4n6wfJhLGi" dmcf-ptype="general">업계 안팎에선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망 사용료 문제에 대한 제도적 해결책을 내심 기대했으나, 미국 정부가 플랫폼법과 함께 이 문제를 공개적으로 들고나오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p> <p contents-hash="f45ea800167069090592eeb7d068cc72016e491721aeb22359b3014fd302ebe7" dmcf-pid="8LPr4iloZJ" dmcf-ptype="general">한 관계자는 "EU가 아예 망 사용료 문제는 꺼내지 않기로 합의한 만큼 우리 정부에 가해지는 압박이 상당할 것"이라며 "미국 정부가 이미 공개적으로 디지털 장벽을 여러 차례 언급해 온 만큼 그냥 넘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p> <p contents-hash="b75f8b022b00750b9fa7666e8af50fe0975741a98df5cee21e1b0a47d2a26c7e" dmcf-pid="6oQm8nSgGd" dmcf-ptype="general">kyunghee@yna.co.kr</p> <p contents-hash="9e84dd9f2890bce57e48114fbc43a6569500763187bc90e89345946644b8b0a1" dmcf-pid="QAdhMNYcZR"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돈될 작품까지 맞힌다…AI가 '부귀' 영화 안겨줄까요 07-30 다음 [팩플] AI 챗봇 공평무사할까?…커지는 정치 성향 논란 07-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