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웅의 반란, K팝은 CD를 버릴 수 있을까? [홍동희의 시선] 작성일 07-29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임영웅이 던진 공, 이제 K팝이 답할 차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Fz6IyKGL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a7381d25fa289cacdf93bc20bad9c4865285b6402ab64d57876312acca9267c" data-idxno="541142" data-type="photo" dmcf-pid="F0BQhY2XL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임영웅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2405axph.jpg" data-org-width="720" dmcf-mid="Hdaa5Udzi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2405axp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data-mstelid="1753771115117_jrlvxgl97l"> 임영웅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99fb92bf23346fafc04dad09b91c1c7dfee35fa1ff61b797e4998231b578ece" dmcf-pid="0UKMSHf5J8" dmcf-ptype="general">(MHN 홍동희 선임기자) 29일 K팝 시장에 거대한 질문이 던져졌다. 대한민국에서 실물 앨범을 가장 많이 파는 가수 중 한 명인 '음반 제왕' 임영웅이 자신의 정규 2집 앨범을 CD로 발매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소속사가 밝힌 공식적인 이유는 '환경 보호'였다.</p> <p contents-hash="b5eafcda0eb02a341f09ee691f16f9856b653627afeceea6b07eb4786c4e202e" dmcf-pid="pu9RvX41M4" dmcf-ptype="general">이 소식이 전해지자 업계는 술렁였다. 누군가는 그의 '선한 영향력'에 박수를 보냈고, 누군가는 '엄청난 수익'을 포기한 그의 결정을 무모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번 결정이 단순한 앨범 발매 방식의 변경을 넘어, K팝 산업이 애써 외면해 온 구조적 딜레마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 '용기 있는 반란'이라는 점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447d6415d183e5fdc7820c36523f22a0d1dca070b7bdf1fed237e237871b31" data-idxno="541143" data-type="photo" dmcf-pid="uzVdy56Fn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3724eyaq.jpg" data-org-width="720" dmcf-mid="XoRRvX41i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3724eyaq.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a268fd7560653b68e9da9cda2f851f292e2ddc72140d44c4fbf2e2ead711f95" dmcf-pid="zFz6IyKGn9" dmcf-ptype="general"><strong>음악 없는 음반, '포토카드'만 남은 기형적 시장</strong></p> <p contents-hash="14f7e249b5995b680824946612c9a41cb78856159d9ad0ff66441ce046084958" dmcf-pid="q3qPCW9HMK" dmcf-ptype="general">언제부터인가 K팝의 실물 앨범은 본질을 잃어버렸다. CD 플레이어가 없는 집이 대부분인 시대에, 앨범의 주인공이어야 할 CD는 한번 재생되지도 못한 채 버려지기 일쑤다. 대신 그 자리를 채운 것은 멤버들의 얼굴이 담긴 '포토카드'와 팬 사인회 응모권이다.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의 포토카드를 얻기 위해, 혹은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 수십, 수백 장의 앨범을 구매한다.</p> <p contents-hash="2b4f4cf15cbe317faa22b1bfb1e623b3ec68c0c86a1d4f20e16b005e9f02cff9" dmcf-pid="B0BQhY2Xib" dmcf-ptype="general">그 결과 K팝 앨범 판매량은 매년 신기록을 경신했지만, 그 이면에는 '앨범 쓰레기'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짙게 깔렸다. 포장 비닐과 두꺼운 화보집, 그리고 플라스틱 CD가 산더미처럼 쌓여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초동 판매량'이라는 숫자로 아티스트의 성공을 증명해야 하는 산업의 관성 앞에서, 이 딜레마는 쉽게 해결되지 못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e855268daef8ffef93cbed6cd352c4c8cc4bda38afdd9d1ed44a123deeddcde" data-idxno="541145" data-type="photo" dmcf-pid="KUKMSHf5R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4961jnnp.jpg" data-org-width="720" dmcf-mid="ZfFFijGkL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4961jnnp.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76d1f40fc5b8eae1b37857c1a357468ff442f4369300e3d0db92bded7ec329aa" dmcf-pid="272eTZ8td7" dmcf-ptype="general"><strong>가장 많이 잃을 자의 '가장 용기 있는 선택'</strong></p> <p contents-hash="a97073c17ef03e52ad7df04947db42fcf5c0b84435111133a3587b0bbd965b1e" dmcf-pid="VzVdy56Fnu" dmcf-ptype="general">바로 이 지점에서 임영웅의 선택은 무게가 다르다. 그동안 일부 아티스트들이 환경 보호를 위해 '플랫폼 앨범'을 시도한 적은 있었지만, 임영웅처럼 압도적인 실물 앨범 판매량을 가진 최정상의 가수가 CD 발매를 전면 중단한 것은 K팝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p> <p contents-hash="e3ae486fc225ba11e10bbe3900a7f6cbbc26fb1e1a06dd58d304f2ee6c0c5eb1" dmcf-pid="fqfJW1P3LU" dmcf-ptype="general">그는 이번 결정으로 당장 수십억 원에 달할지 모르는 CD 판매 수익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 즉, 이 기형적인 시장 구조에서 가장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 오히려 그 구조를 바꾸기 위해 가장 큰 손해를 감수한 것이다. 이는 '환경 보호'라는 명분을 넘어, 현재 K팝 앨범 시장이 비정상적이라는 문제의식을 업계의 그 누구보다 깊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가장 많이 잃을 수 있는 자가 던진 이 용기 있는 선택은, 그래서 그 어떤 구호보다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33e42d1c336c2d4505fea35de526425e3fe6832ed57ea62a9ec34b4fa53337b" data-idxno="541149" data-type="photo" dmcf-pid="8b8nGFxpL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6228bmgq.jpg" data-org-width="720" dmcf-mid="5078OTbYM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222146228bmgq.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f261b994a357d75d21df7f96eb9cf2123d1d8ade272643b55f794419b04657a" dmcf-pid="P9PoX0RunF" dmcf-ptype="general"><strong>'선한 영향력', 가장 강력한 브랜딩이 되다</strong></p> <p contents-hash="8b0601ceaedd7d7e8e019e9888691b74490ac856fb448678d84a647acc586b93" dmcf-pid="Q2QgZpe7Jt" dmcf-ptype="general">물론 이 결정이 단순히 상업적인 손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는 '임영웅'이라는 브랜드를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가장 강력한 '선한 영향력'의 실천이다. 이번 결정으로 그는 '노래만 잘하는 가수'를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아티스트'라는 이미지를 대중에게 확실히 각인시켰다.</p> <p contents-hash="89f2aaedfd10255f6158a6a5321adaa034ffc9f0f6eaf433dccf63edbcb5c275" dmcf-pid="xokl2QrRn1" dmcf-ptype="general">이는 그의 팬덤 '영웅시대'가 왜 그토록 단단한지를 다시 한번 보여준다. 그의 팬들은 단순히 노래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그의 선행과 소신을 함께 지지하고 전파한다. '가수와 팬이 함께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든다'는 이 긍정적인 서사는, 그 어떤 마케팅보다 강력한 힘을 가진다. 임영웅은 눈앞의 CD 수익보다, 팬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가치'라는 더 큰 그림을 본 것이다.</p> <p contents-hash="01f43cfa96e5374c3bf4e5fc22ac1c3474df6ec29f795f249a349022cbf8130f" dmcf-pid="yt78OTbYe5"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3c8542fd94b0b1e93bbaac311764cc54ee3370532961aa79fee8f5818fb8c4bc" dmcf-pid="WFz6IyKGdZ" dmcf-ptype="general"><strong>임영웅이 던진 공, 이제 K팝이 답할 차례</strong></p> <p contents-hash="a308e8062cd0b2cea5b1c046b5ab90e72310c43b064fa314facd0f0faa71851c" dmcf-pid="Y3qPCW9HiX" dmcf-ptype="general">'음반 제왕' 임영웅이 스스로 CD라는 왕좌를 내려놓았다. 그가 던진 공은 이제 K팝 산업 전체에게로 넘어갔다. 과연 다른 대형 기획사들과 팬덤들도 그의 용기 있는 선택에 동참할 수 있을까? 팬들의 소장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더 나은 앨범의 형태는 무엇일까?</p> <p contents-hash="891359d422e2e9e9030cdc142f40ddb5bc3d25672a63c6e6c73ca5984c28379c" dmcf-pid="G0BQhY2XiH" dmcf-ptype="general">임영웅의 이번 반란은 어쩌면 K팝 앨범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거대한 전환의 시작일지도 모른다. 음악의 가치가 플라스틱 CD 한 장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이 교감하는 모든 순간에 있다는 그의 조용한 외침에, 이제 K팝 시장이 어떻게 답할지 주목해야 할 때다.</p> <p contents-hash="704371d064c07fad7a3c9a1df6148aa6dc8fd1f267625bac8508e48a72708faa" dmcf-pid="HpbxlGVZLG" dmcf-ptype="general">사진=MHN DB, 물고기뮤직</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유재석, '건축학 개론' 속 유연석에 광분 "수지를 집에 데려갔잖아!"(틈만 나면)[★별별TV] 07-29 다음 유재석 "조정석, '뜨겁게 만나요' 문자...좀 과해" 돌직구(틈만나면)[종합]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