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이 미래다] 〈168〉 14대 대통령 선거 레이스 시작 작성일 07-29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1세기 과학기술 도약' 3당 대선후보 격돌…표심 달아올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56VmCuSI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e8c83ea9fb9fbc51431aa77bb5fbffce5dd120b401000b5ebf6f056c99bfe5b" dmcf-pid="91Pfsh7vD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3당 대통령 후보 초청 '21세기 과학기술도약을 위한 정책대토론회'가 1992년 11월 18일 오후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렸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etimesi/20250729160321734ordl.jpg" data-org-width="700" dmcf-mid="b6UFnaWAs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etimesi/20250729160321734ord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3당 대통령 후보 초청 '21세기 과학기술도약을 위한 정책대토론회'가 1992년 11월 18일 오후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렸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72ebf018c9fd74ecd3625a8864b930ead02fb35d184d11ec898e653fcf90b6" dmcf-pid="2tQ4OlzTso" dmcf-ptype="general">“대통령 선거일을 아래와 같이 한다.”</p> <p contents-hash="60eb13dfb3e7de1878e046441738ebc162bfa91083383c7c11a3f71c54402493" dmcf-pid="VFx8ISqysL" dmcf-ptype="general">1992년 11월 20일. 노태우 대통령은 이날 제14대 대통령 선거일을 12월 18일로 확정하고 선거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한다고 공고(대통령 공고 제129호)했다. 1987년 개헌 이후 두 번째 직선제 대선이었다.</p> <p contents-hash="dfe2221b79a357d762b3ac0e8e851db57203fd9e4f3755dd549a53fb94364e23" dmcf-pid="f3M6CvBWmn" dmcf-ptype="general">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부터 25일까지 엿새 동안 14대 대선후보 등록을 받았다. 25일 오후 5시 후보 등록을 마감한 결과 모두 8명이 등록했다.</p> <p contents-hash="b29422b7a52484b07f0bd683c057cc3bc9334854413bd8cec986bd188940d484" dmcf-pid="40RPhTbYIi" dmcf-ptype="general">중앙선관위는 국회 의석과 가나다순 등에 따라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 1번, 민주당 김대중 후보 2번,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 3번, 새한국당 이종찬 후보 4번,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 5번, 대한정의당 이병호 후보 6번, 무소속 김옥선 후보 7번, 무소속 백기완 후보 8번 등으로 기호를 배정했다.</p> <p contents-hash="7c5c734dee68af72cd473ae9686c864234403cce157af19b03b559e701fb0111" dmcf-pid="8peQlyKGsJ" dmcf-ptype="general">14대 대선은 김영삼 민주자유당 후보, 김대중 민주당 후보, 정주영 국민당 후보 등 이른바 3강 구도였다. 김영삼·김대중 후보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양대 산맥으로, 영원한 동반자이자 대권 라이벌이었다.</p> <p contents-hash="56d6e8061ff88f3a249a45791d7f6d99e1948b9093cdfcc06c93e27fe35e8204" dmcf-pid="6UdxSW9HOd" dmcf-ptype="general">두 김씨 후보와 정주영 후보는 오랜 정치 역경을 헤치고 기업인 활동을 하며 삶의 지혜를 응축한 촌철살인의 명언을 많이 남겼다.</p> <p contents-hash="2f158bd90840850ea4d45c05a2eef345ad25135369ac9e10765f9458b000c266" dmcf-pid="PuJMvY2Xre" dmcf-ptype="general">김영삼 후보는 1970년대 중반 유신 치하에서 한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거나 “인사가 만사”라는 명언을 남기며 투쟁 끝에 민주화를 쟁취했다. 김영삼 후보는 “원칙 없는 타협은 야합이다” “머리는 빌릴 수 있어도 건강은 빌릴 수 없다” “정직 이상의 강한 무기는 없다” “정치 생명은 상식과 명분”이라는 말도 했다. 김영삼 후보는 대선 슬로건으로 '신한국 창조'를 제시했다.</p> <p contents-hash="668ac850e0f6eaff2217284200df0ff8b99753a9a2b80e7927fb35d174f90ba6" dmcf-pid="Q7iRTGVZDR" dmcf-ptype="general">김대중 후보의 대표적인 말이라면 '행동하는 양심'이다. 김대중 후보는 “정치는 생물이다”라며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말 것을 강조했고, “정치인은 민중보다 딱 반 걸음만 앞서서 민중과 손잡고 나가야 한다” “지사적인 선비 의식과 상인적인 현실 감각을 지니고 정치에 임해야 한다” “무엇이 되느냐보다 어떻게 사느냐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주옥같은 어록을 남겼다. 김대중 후보는 대선 슬로건으로 '이번에는 바꿉시다'를 내걸었다.</p> <p contents-hash="666bf18216b3735ead9292f060a01154f41fb418c0ab248c3e2ea117f593946d" dmcf-pid="xwtXRilomM" dmcf-ptype="general">정주영 후보는 현대그룹 회장 출신으로, 국내 정치 역사상 대권에 도전한 최초의 재벌 총수였다. 정주영 후보를 상징하는 말은 “이봐 해보기나 했어”였다. 정주영 후보가 가장 많이 쓰는 말이었다. 정주영 후보는 자서전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에서 “길이 없으면 길을 찾고, 찾아도 없으면 길을 닦아 나가면 된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42e4deca48c48248a34ee51d3d00fec35a6ce786dd4a5b5ff100aad25fa34725" dmcf-pid="yBoJYZ8trx" dmcf-ptype="general">정주영 후보는 어렵다고 일을 포기하는 이들에게 “빈대보다 못한 사람”이라고 지칭했다. 정주영 후보가 막노동하던 젊은 시절 빈대에 시달리다 침상 네 다리를 물을 담은 세숫대야로 괴고 잠을 잤는데 빈대가 벽을 타고 천장으로 올라가 자신의 몸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는 불굴의 교훈을 얻었다고 한다. 정주영 후보는 “긍정적인 사고를 하면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고,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주영 후보는 '경제 대통령'과 '통일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p> <p contents-hash="55d2041d1caf196dbc9394c71899ad0c126de8e3e583c72533af0cfb96f9d762" dmcf-pid="WbgiG56FmQ" dmcf-ptype="general">정주영 후보는 대선 공약으로 반값 아파트, 경부고속도로 복층화, 무상급식, 재벌 해체, 국가보안법 폐지 등 다섯 가지를 제시하며 “민부(民富)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재벌 총수 출신의 재벌 해체와 반값 아파트 공약은 당시 큰 화제를 모았다.</p> <p contents-hash="3a032c4db17a7204ce0fe26db4bbe4617543c8d72cd771eb32f6c9f3a7b68262" dmcf-pid="YKanH1P3sP" dmcf-ptype="general">과학기술계 표심을 겨냥한 각 당의 과학기술 공약 대결도 치열했다.</p> <p contents-hash="d022f9f28a6c8f0b40132bcde847702c391749dbfc6fdfba1f6508f24b06f35a" dmcf-pid="G9NLXtQ0O6" dmcf-ptype="general">10월 21일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회장 권숙일 서울대 교수)는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에서 '선진화를 위한 과학기술정책과 기초과학의 역할'을 주제로 기초과학진흥 심포지엄을 개최했다.</p> <p contents-hash="dfae243f4b7b73ab82b6fe212f4a3b034c7bd007616c2235137e8b1c30507f40" dmcf-pid="H2joZFxpr8" dmcf-ptype="general">심포지엄에는 백남치 민자당 정책조정실장, 박익수 민주당 대통령 후보 과학특보, 정몽준 국민당 정책위 부위원장 등이 나와 각 당의 과학기술정책 공약을 발표했다.</p> <p contents-hash="6661ee40b99537e09585ada2bc5c885047131b973f0653b69d628ffe156edf72" dmcf-pid="XVAg53MUO4" dmcf-ptype="general">민자당은 기초과학 진흥을 위해 “현재 기초과학연구기금 1135억원을 2000년까지 5000억원으로 확대하고 특정 연구개발비 가운데 기초연구지원비를 현재의 34% 수준에서 50%로 확대 조정하겠다”면서 “대학 우수연구센터를 현재 30개에서 60개로 늘리고 센터당 지원금도 연평균 6억원에서 10억원으로 증액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00fbd0e882463db3c841e7f1e1612addc86de622adc32ea1e2940a2068a5796" dmcf-pid="Zfca10Ruwf" dmcf-ptype="general">민주당은 “2000년까지 국민총생산(GNP)의 5% 이상을 과학기술에 투입하겠으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세·과학기술진흥 채권과 복권 발행을 검토하고 과학기술처 위상을 부로 격상하거나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설치하겠다”면서 “기초과학연구진흥법 추진과 과학·발명·기능 등 국가경진대회 실시” 등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44112c822c50e96e24667205fb5d92fa96a70e1c02708594d1f5a4affe8d1eb0" dmcf-pid="54kNtpe7sV" dmcf-ptype="general">국민당은 “과학기술 예산을 2001년까지 국가 총예산의 10%로 증액하고, 매년 이공계 교수 10% 증원으로 교수 대 학생 비율을 현재 1대 50에서 1대 30으로 낮추겠다”면서 “권역별 종합기술센터(CTC)를 설치해 산·학·연 공동연구와 지역별 기술특화를 정착시키고, 범국민 과학 심리 조성을 위한 아이디어뱅크(IB)를 개설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c2017bad2f1949bf56651f339a484c74c0b0661817895db17616c2c98467732" dmcf-pid="18EjFUdzO2" dmcf-ptype="general">이날 심포지엄에는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기조 강연자로 나와 눈길을 끌었다. 김우중 회장은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비해 과학기술처가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과기처 장관을 이 분야 예산과 재무를 담당하는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9f528a78bdea41473665c417bb3fba14a56998fb3b8532f2e50896dd97be0949" dmcf-pid="t6DA3uJqO9" dmcf-ptype="general">11월 18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김시중)는 호텔롯데 크리스탈볼룸에서 민자·민주·국민당 등 3당 대통령 후보를 초청, '21세기 과학기술도약을 위한 정책대토론회'를 개최했다.</p> <p contents-hash="bc0711123bbf3d52d8e3946767e3187203788280d9866367ee010884f411c892" dmcf-pid="FPwc07iBrK" dmcf-ptype="general">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직접 참석했다. 민자당은 김종필 대표최고위원, 국민당은 윤영탁 정책위의장이 대리로 참석했다.</p> <p contents-hash="2ed6e5bc82a7e465e775d54196c1988b21bbd725e090124ffbea95df239ee008" dmcf-pid="3QrkpznbOb" dmcf-ptype="general">김대중 후보는 오후 1시 40분~2시 10분, 국민당은 3시 10~40분, 민자당은 4시 40분~5시 10분 과학기술 공약을 30분씩 발표했다. 발표 이후 패널들과 토론을 했다.</p> <p contents-hash="fc09f24fd36f7990424a850ad892a781172917b78ee7adbe0d8c6f5086a599d6" dmcf-pid="0xmEUqLKEB" dmcf-ptype="general">토론회에는 민관식 과총 명예회장을 비롯해 김기형·권이혁 전 과학기술처 장관, 신진욱 국회 경제과학위원장, 이해성 한양대 총장, 서정욱 한국과학기술원(KIST) 원장 등 정·관계 및 과학기술계 인사 등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성황을 이뤘다.</p> <p contents-hash="087f88f700d8d9e4681a22670ec70d544cc967b982a17bd99d0e079e84d2ce7e" dmcf-pid="peIrzKaVrq" dmcf-ptype="general">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과학기술연구조정평가 위원회를 설치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 지원을 강화하며, 많은 과학영재를 양성하기 위해 국가장학제도를 확대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김대중 후보는 “정보화사회종합계획 연구단을 발족해 정보화 사회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소프트웨어(SW)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보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면서 “5년 이내에 과학기술 투자를 GNP 대비 5%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다짐했다.</p> <p contents-hash="bc1b9d7053fbb69204cc93c31eb5cf1a9d55eaed46292e87eb4555d2e92e1791" dmcf-pid="UdCmq9NfIz" dmcf-ptype="general">국민당 윤영탁 정책위의장은 “과학기술투자를 향후 10년 동안 정부 예산의 10% 수준으로 확대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활성화, 과학기술 우위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면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정부 부처로부터 분리·독립하고, 재정 지원을 위한 출연연구기관보호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윤영탁 정책위의장은 “1가구 1컴퓨터 보급을 유도하고, 국가 주도로 과학기술 종합정보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d00a064bee6d82ffedd4f85be9d3f3af903d928d1ec88c8d3231a03d6fec2a4" dmcf-pid="uJhsB2j4r7" dmcf-ptype="general">민자당 김종필 대표 최고위원은 “과학기술처를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청와대에 과학기술특별보좌관제 신설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김영삼 후보가 1992년 7월 15일 정보산업 관련 3단체가 주최한 조찬 간담회에서 “앞으로 정보조직법을 개정해 과학기술과 정보산업 분야를 통합 조정할 부총리제를 신설하겠다”는 발언과 흐름을 같이했다.</p> <p contents-hash="eab3d06aafc1814841f579645e1a184ede4b42035c3a8ac008f3c3e236606913" dmcf-pid="7ilObVA8su" dmcf-ptype="general">김종필 최고위원은 “2000년까지 과학기술 선진 7개국 진입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G7 프로젝트를 국가과제로 지정하고 대통령이 직접 관리·평가하도록 하겠다”면서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과학기술정보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현재 분산된 유사 기능을 정비하고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의 과학기술 정보 수집 기능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종필 최고위원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이사회 중심으로 수장이 책임지고 자율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우수한 과학기술인에게 평생 과학기술연금을 지급하겠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b55a01b82da181f70d7ca183fd17e8d6e051711ff85b3a6bbea7608adcf75334" dmcf-pid="znSIKfc6sU" dmcf-ptype="general">선거일이 다가올수록 표밭은 하루가 다르게 뜨겁게 달아올랐다. 누가 국민의 최종 선택을 받을 것인가. 신만이 아는 일이었다.</p> <p contents-hash="c9c2dd1ad1f98e6aa007416763f34d1376da1e86ef0bbbf287d8d08188da96ce" dmcf-pid="qLvC94kPwp" dmcf-ptype="general">이현덕 대기자 hdlee@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人사이트]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산업별 AI 활용·AX 확산 지원한다” 07-29 다음 [팩플] “칼 안 대고 뇌 치료”…‘노벨상 명가’ 막스플랑크가 IBS를 찾은 이유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