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업도 공공데이터 사용 'OK'…AI 강국 도약 나선 李, 공약 이행 가속 작성일 07-29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부, AI 학습·기업 지원용 고가치 공공데이터 15종 개방키로…"신산업 성장 기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yIcbVA8A0"> <p contents-hash="ece0bebb6cf2be6c301f286655ec33f734a8970c9a8075b7be996038b948400d" dmcf-pid="qWCkKfc6k3"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유미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했던 대로 <span>공공데이터로 기업들이 연구·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에 나선다. </span>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이 보유한 15종의 고가치 공공데이터를 국가중점데이터로 선정·개방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한 것이다.</p> <p contents-hash="8bd99de579b4e98b79b4b66514f532c11efb7936f6081c5e877f92027e585691" dmcf-pid="BYhE94kPcF" dmcf-ptype="general">행정안전부는 오는 30일 '2025년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통합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p> <p contents-hash="71d171be6e4abf419d1cfe523bd7011f40aecdfd9fb4f0a4dfd0f78b3ca5779d" dmcf-pid="bEgMZFxpjt" dmcf-ptype="general">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업은 국민과 기업의 수요가 크고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선별해 개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217개의 데이터가 개방돼 기업의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p> <p contents-hash="f8cc654078d3fa7ea3c6d64bc6ca0449211c605ee7e8a240399d991393ab266d" dmcf-pid="KDaR53MUc1" dmcf-ptype="general">대표적으로 부동산 종합정보(국토교통부), 프랜차이즈 사업정보(공정거래위원회), 헌법재판소 판례정보(헌법재판소), 3차원 정밀도로지도 정보(국토지리정보원) 등이 국가중점데이터로 포함돼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756a874df997e17a9a5e32c2ee91d874ad01ecbefb3ca12c28f76d69b1d7f99" dmcf-pid="9wNe10Ruj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행정안전부가 AI 시대에 맞는 공공데이터 발굴·개방에 나서고 있다. (사진=챗GPT 제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143542394qrnv.png" data-org-width="640" dmcf-mid="7K2UwOphk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143542394qrn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행정안전부가 AI 시대에 맞는 공공데이터 발굴·개방에 나서고 있다. (사진=챗GPT 제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ede715cc2c637f625861618cd94d9a29b09037ee3601596c45694d9019bc8cc" dmcf-pid="2rjdtpe7aZ" dmcf-ptype="general">이번 개방은 새 정부 공약사항인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을 이행하기 위해 기업의 서비스 개발 및 인공지능(AI)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다.</p> <p contents-hash="f4159b041e552e1fe195c3d0f7c05d46a1839439a344233cdb1b68e9192f6712" dmcf-pid="VmAJFUdzNX" dmcf-ptype="general">올해 개방이 추진되는 15개 과제는 국민·기업의 수요와 활용도를 고려해 선정했으며 크게 AI 학습용과 기업 지원용으로 나뉜다.</p> <p contents-hash="045f1aaac7be24b42ad171d44403ffc382cb8dd72d695b7699429e7b933e768e" dmcf-pid="fsci3uJqgH" dmcf-ptype="general">AI 학습용으로는 법제처의 중앙부처 법령해석 및 특별행정심판기관 재결례, 국토안전관리원의 특수교 통합관리계측 데이터, 한국서부발전의 신재생에너지·발전소 운영 정보 등이 포함됐다. 또 국립해양연구원 해양 환경 정보 및 연구 기초데이터와 국립농업과학원 스마트팜 연구기술 정보, 육아정책연구원 등의 영유아·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도 이용할 수 있게 됐다.</p> <p contents-hash="1829abb1300357f82af170657ac767c085a6250a0e5e1105b82f7cd5d0afea9e" dmcf-pid="4Okn07iBkG" dmcf-ptype="general">이들 데이터는 리걸테크(법률 정보 기술), 센서데이터, 비정형데이터 등 AI 서비스 개발 수요가 높은 분야로, 기계판독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 개방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e63e7b6b953b55c07550f3be44c31cf844d0af6b58271b7d7032a0f0c8ad7820" dmcf-pid="8IELpznbaY" dmcf-ptype="general">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신규 서비스 개발에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도 개방한다. 행<span>안부의 전국 업종별 인허가 정보 및 생활 편의 정보, 울산항만공사의 울산항만 실시간 선박 운항 정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농산물 유통정보 확대 제공 서비스, 소방청의 건물화재 예방 및 대응시설 정보 등이 포함됐다. </span></p> <p contents-hash="39eb44ac151be34920c73b0de8a986758035f08f6fb25bbb5f6301e28c3f61f5" dmcf-pid="6CDoUqLKgW" dmcf-ptype="general">행안부는 개인정보와 민감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는 합성데이터 방식이나 진위확인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게 개방할 예정이다. 합성데이터 방식은 개인정보의 특성을 분석해 원본과 최대한 유사한 통계적 성질을 보이는 가상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법이다.</p> <p contents-hash="82de0f5c7deb2a8f4d1d46df26b7c1991b91729639cf0deec875406bcdb31419" dmcf-pid="PhwguBo9jy" dmcf-ptype="general">또 행안부는 AI 개발 수요나 기업의 지속적 수요가 큰 데이터는 'AI·고가치 공공데이터 톱 100'으로 선정해 역점을 두고 개방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d8123c15f5823ef16b3cecc3ff7ce5164bab2dfb0eb662729c2a54a9f683eacd" dmcf-pid="Qlra7bg2gT" dmcf-ptype="general">배일권 행안부 공공지능데이터국장은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AI 신산업 성장과 기업 혁신을 견인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공공데이터 개방을 확대해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과 AI 3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4dc0baefefbf7f4a6e1aa76f7aa7d0f319b48efc82295eb6144b6f94ca051de" dmcf-pid="xSmNzKaVkv" dmcf-ptype="general">장유미 기자(sweet@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올여름도 준비 완료" 위메이드, 화끈한 수영복으로 유저 공략 07-29 다음 [영상] Z폴드7 펼친 뒤 반대로 힘껏 꺾어봤다···극한 테스트 결과 "이건 흑마법이야!"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