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폰이나 대란 온다더니...단통법 폐지 일주일 번호이동 평소보다 줄어 작성일 07-29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t6LxdCnlT">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32bf90777b05724fb25182bd4022fb3c64de3287e5c20141ff6df9d5869bc32" dmcf-pid="bFPoMJhLv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단통법 폐지를 내건 이동통신 대리점.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mk/20250729142110495ohpc.jpg" data-org-width="700" dmcf-mid="qWjIkrFOl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mk/20250729142110495ohp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단통법 폐지를 내건 이동통신 대리점.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2749ddf03ce24b4fd0b1f525f6c35672b69ed136dcdc4de66dc0df5b5148d74" dmcf-pid="K3QgRilolS" dmcf-ptype="general">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 이후 번호이동 시장이 안정적이다. 체제 전환 이후 일주일간 통신사를 옮긴 고객은 대략 11만명에 그치면서 이동통신 3사 모두 보조금 출혈 경쟁을 자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div> <p contents-hash="a1f56c97b2d5ecfbf4fb90a31d28587992b10bdf36aac75bf66903d43da404f6" dmcf-pid="90xaenSgCl" dmcf-ptype="general">2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이 폐지된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누적 번호이동 건수(알뜰폰 제외)는 11만3629건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1만6232건으로, 방송통신위원회가 과열 기준으로 삼은 2만4000건과 비교해 67% 수준이다.</p> <p contents-hash="0d1910f966d1cebec074bca1cc9be1631c0a83580a5a5f32980e0435ffdd49ca" dmcf-pid="2pMNdLvavh" dmcf-ptype="general">번호이동이 크게 늘어나지 않은 것은 보조금 경쟁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통 3사 모두 갤럭시Z7 시리즈 초기 판매에 맞춰 사전 예고한 지원금 수준을 유지 중이다.</p> <p contents-hash="e8f2ead0d3472fd30fb9108d3fc766d983891c544e05d6f27f012519b4a507f6" dmcf-pid="VURjJoTNCC" dmcf-ptype="general">지난 일주일간 KT와 LG유플러스는 가입자가 267명, 77명 순증, SK텔레콤은 344명 순감했다.</p> <p contents-hash="4b03a28bd88267da870714f0f04f72004913ddefdce4d44c92e3df204ae8f337" dmcf-pid="fueAigyjCI" dmcf-ptype="general">이유는 유통점의 추가지원금이 딱히 매력적인 수준은 아니기 때문이다. 테크노마트 등 휴대폰 집단상가에서 출고가 253만원짜리 갤럭시Z폴드7는 현재 100만~120만원대에 구매 가능하다.</p> <p contents-hash="42d369c21b56d60d14d7ba87fa6e09a4e1837cbcd17aef74d1fbdb2d2f3d63b6" dmcf-pid="47dcnaWAlO" dmcf-ptype="general">공통지원금 60만원에 추가로 60만~80만원가량의 지원금이 지급된 셈인데 소비자들이 기대했던 ‘대란’에는 못 미친다는 의견이다.</p> <p contents-hash="1c56b22bf289c0a50427c03be1d3c11e4255ea3c6b286eb5ffcd9dae8e7233fe" dmcf-pid="8oS1yHf5Ss" dmcf-ptype="general">일각에선 SK텔레콤의 위약금 지급으로 그동안의 대기 수요가 해결된 이후에 오는 안정기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로선 통신사의 ‘실탄’ 경쟁 보단 눈치 게임이 지속되는 국면이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데뷔 26주년’ god, 7기 팬클럽 모집한다 07-29 다음 드래곤포니 편성현 "'지구소년', 연습생시절 불안함과 추억 담은 곡" [TD현장]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