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왜 물을 싫어할까 작성일 07-29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진화적 역사, 생활학적 원인·양육방식 등 다양한 가능성 제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JMH3uJqgT"> <p contents-hash="85c657d5040a46243501103fbb946d6ac612a69587a5515d023a43ff1c3fc80f" dmcf-pid="3iRX07iBgv"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소셜미디어에는 목욕을 싫어하는 고양이들이 몸부림 치는 모습이 종종 영상으로 올라온다. 때문에 고양이는 물을 싫어한다는 통념이 자리하고 있다. 진짜 고양이가 물을 싫어할까?</p> <p contents-hash="eb749c0683847d6c7f7d351e7f17bd2112cc9aba49a6c433a5930912fe6acd92" dmcf-pid="0neZpznbgS" dmcf-ptype="general">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는 고양이가 진짜 물을 싫어하는 지, 싫어한다면 왜 싫어하는 지 조망하는 기사를 최근 보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a0508d57c46c17020127504ad15791da8d6ac92f6b19cc3f1ead2964b96f549" dmcf-pid="pLd5UqLKk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클립아트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134101284ewvk.jpg" data-org-width="640" dmcf-mid="tR1aDs0Cg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134101284ewv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클립아트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a4424803f1027a146eb0a7e8de594b13b8f714c5838ad3cabf4d62e22bc24ab" dmcf-pid="UoJ1uBo9ch" dmcf-ptype="general">고양이와 물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고양이의 생물학과 진화적 역사, 또, 고양이의 개별적인 양육 방식 속에 몇 가지 단서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d4cffb1a2eb0c2fe415bea7bad2decb061aae1fac3be8d21ffd078e227e8d4e" dmcf-pid="ugit7bg2AC" dmcf-ptype="general">동물 행동학자 크리스틴 비탈레는 집 고양이가 물을 싫어하게 된 근원으로 ‘아프리카 야생들고양이(학명 Felis silvestris lybica)’를 꼽았다. 아프리카 야생들고양이는 현대 집 고양이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p> <p contents-hash="d0b970937d8e2be7eaad5acf781dac8e3d620cc9db3a8a894ca8d7919d46cf8e" dmcf-pid="7anFzKaVgI" dmcf-ptype="general">호랑이나 고기잡이삵(fishing cat), 재규어와 같은 일부 야생 고양이과 동물들은 벌레를 피하고 더위를 식히며, 매복했다 먹이를 잡기 위해 수영하는 것을 좋아했다. 하지만, 아프리카 야생 고양이는 대부분 사막 환경에 서식하며 큰 물을 접할 기회도, 수영하는 일이 거의 없다.</p> <p contents-hash="a096ec3dddf0f1aa333d7788cd1413578fd8102c8a2a868c15766e24dca42b49" dmcf-pid="ziRX07iBaO" dmcf-ptype="general">그는 "아프리카 야생들고양이의 먹이 중 상당 부분은 설치류와 같은 육상 동물로 구성돼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집 고양이가 물을 찾지 않는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1385178837b0111277ddeea12b3b457ac546588885fe091a154773b6dcee6eb" dmcf-pid="qneZpznbAs" dmcf-ptype="general">하지만,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 생물학과 조나단 로소스 교수는 인터뷰를 통해 이 이론에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는 사막에 서식한다고 해서 모두 물을 무서워하는 것은 아니며, 아프리카 야생고양이의 서식지는 비교적 덜 건조한 서식지에도 일부 분포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일부 야생 고양이는 물을 흔히 접한다는 의미다.</p> <p contents-hash="d941da96dcc6f73b7189a4bf3926666a278e0c63a80ff8222f0f843d98733a51" dmcf-pid="BLd5UqLKjm" dmcf-ptype="general">미국 오클랜드 대학 동물 인지 전문가 제니퍼 본크는 집 고양이가 물을 싫어하는 또 다른 잠재적 이유에 대해 젖는 것을 고양이가 신체적으로 불편해 할 수 있으며 후각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털이 물에 젖으면 움직이는 게 더 불편해지고, 이로 인해 취약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고 그는 밝혔다.</p> <p contents-hash="a549d0d14afa02addf1d8b19554208ccd87a91d3b04e2c3ee60f4f46cdce7aa1" dmcf-pid="boJ1uBo9kr" dmcf-ptype="general">또 물이 고양이의 자연스러운 냄새를 가리거나, 고양이가 민감하게 느끼는 새로운 냄새를 동반할 수도 있다. 본크는 고양이가 수돗물에서 불쾌하다고 느끼는 화학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비탈레는 물에 젖으면 고양이의 본래 페로몬이 가려져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b6aa6bbc077cf1c63d7b5f7b62fdc2c595087131afe4fc9163083fe6e3e2a2d" dmcf-pid="Kgit7bg2aw" dmcf-ptype="general">결국 고양이가 물을 싫어하는 이유는 한 가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비탈레는 "자연스러운 혐오감과 학습된 행동이 결합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1aa838bc3342927ffdfc1ef0b7b8b5d7301ec430c6b2e41bca24a7711f1b025" dmcf-pid="9anFzKaVND" dmcf-ptype="general">또 새끼 고양이의 초기 경험은 평생 물에 대한 생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새끼 고양이가 물에 노출되면 물을 더 좋아하게 되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없지만, 고양이 전문가들은 새끼 고양이를 다양한 시각, 소리, 냄새, 질감, 경험에 노출시키면 더욱 자신감 있는 어른 고양이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사회화라고 하며, 비탈리는 이것이 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75feee7ced1360096ef966ac4db099d3bc0d5778ab30c6fbd1f30c737df3a87" dmcf-pid="2NL3q9NfNE" dmcf-ptype="general">비탈리는 "물 근처에서 자란 새끼 고양이는 어른 고양이가 되어서 물에 더 적응할 가능성이 높다"라며, "하지만 모든 고양이는 개별적인 존재다. 물에 노출되더라도 어떤 새끼 고양이는 여전히 물을 싫어할 수 있고, 물에 한 번도 노출된 적이 없는 새끼 고양이도 물을 좋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6ed1a777ba4ba58c2c4c73cbbc61767fc538db13fd5aa678b4bae45ca25fb4b" dmcf-pid="Vjo0B2j4ok"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유미's 픽] "너도 나도 프롬 스크래치?"…국가대표 AI 2차전, 자체 기술 평가 '관건' 07-29 다음 6년 반만에… 韓여자수영 자유형 200m 신기록 나왔다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