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나비 생태도감 온라인 무료배포…225종 3800장 사진 담겨 작성일 07-29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WkzrIUlM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c6acb488088218d750cd11827d9976eb2d5cca0242a6dc51b4f3334a8f49b75" dmcf-pid="6n9O4QrRJ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붉은점모시나비(학명 Parnassius bremeri Bremer)는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한반도 북부 지역, 남한에서는 1990년대까지는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남도, 경상남북도까지 국지적으로 분포했지만 최근에는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만 서식한다. 앞날개를 편 길이는 59~75mm로 애벌레는 기린초를 먹고 자라면서 알로 월동한다. 다 자란 애벌레는 실을 토해 엉성한 고치를 만들어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 후 5~6월에 성충으로 출현한다. 한국이 이 나비의 남방한계선이다. 암컷은 복부에 털이 없으며, 날개의 바탕색과 붉은 점무늬는 수컷보다 더 짙다.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dongascience/20250729132610674eecg.png" data-org-width="680" dmcf-mid="yySMH1P3J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dongascience/20250729132610674eecg.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붉은점모시나비(학명 Parnassius bremeri Bremer)는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한반도 북부 지역, 남한에서는 1990년대까지는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남도, 경상남북도까지 국지적으로 분포했지만 최근에는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만 서식한다. 앞날개를 편 길이는 59~75mm로 애벌레는 기린초를 먹고 자라면서 알로 월동한다. 다 자란 애벌레는 실을 토해 엉성한 고치를 만들어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 후 5~6월에 성충으로 출현한다. 한국이 이 나비의 남방한계선이다. 암컷은 복부에 털이 없으며, 날개의 바탕색과 붉은 점무늬는 수컷보다 더 짙다.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ecaf05f4b079e068ac6e2195f05c2ec4e820e038a42e78aab233957f1994ba5" dmcf-pid="PL2I8xmee0" dmcf-ptype="general">한국에 자생하는 나비류 225종 전종의 생태와 서식 환경을 체계적으로 조사·기록한 생태도감이 전자책으로 무료 배포됐다. 자연 속 나비의 생태 사진 자료가 3800장 이상 담겨 있어 국가 생물자원 관리뿐 아니라 인공지능(AI)의 생물 이미지 학습 자료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p> <p contents-hash="314e187074a1eaf9ab11be3540aaf9c4f1121b53d711318c3fb96e40fe3d936a" dmcf-pid="QoVC6MsdR3" dmcf-ptype="general"> 한국연구재단은 이용석 순천향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한국 자생곤충 생태도감Ⅰ – 나비편'을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누구나 온라인(m.site.naver.com/1LM1y)에서 무료로 내려받아 읽을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891d18fbdc6fd4b747e16afd723c88f371b6a3ea2b7d5b4dc5dfe88ba8e591" dmcf-pid="xgfhPROJM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 자생곤충 생태도감1 - 나비편' 표지. 국내 서식 나비의 생태를 사진과 함께 종합적으로 기록한 전자책이다.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dongascience/20250729132612026dwyz.png" data-org-width="680" dmcf-mid="2szmV6Dxe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dongascience/20250729132612026dwyz.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 자생곤충 생태도감1 - 나비편' 표지. 국내 서식 나비의 생태를 사진과 함께 종합적으로 기록한 전자책이다.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6406a848ddc4729a34c36b90b7b26f624af2c2a7ed8b1655290671bd3b83e35" dmcf-pid="yFC4vY2Xet" dmcf-ptype="general">기존 곤충 도감은 실험실 내 표본을 촬영한 이미지와 분류학적 정보 제공에 그쳤다. 나비류는 기후변화의 생물지표종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가 높지만 야외 생태 행동과 환경 상호작용 등의 자료 축적이 매우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p> <p contents-hash="ba583ad6823721f0fa967ecab9b853ba4cf0ccb9b9b6446d9a435a92b9dd35ca" dmcf-pid="W3h8TGVZe1" dmcf-ptype="general"> 도시화와 서식지 단절, 기후 이상으로 나비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종 보전 전략 수립을 위한 생태적인 접근과 시각적·통합적 자료 확보가 중요해졌다.</p> <p contents-hash="67bb7dee8d92a91608d4de84b3c0fe8b3138a9c41a8aae2c459974993f8043ea" dmcf-pid="Y0l6yHf5n5"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자연 속에서 나비들의 생태적 특성과 생활사에 주목한 디지털 생태도감 제작을 추진했다. 종별 분포지 생태탐사, 계절별 생활사 추적, 행동 관찰과 지역별 발생 시기 및 개체군 밀도 관찰을 수행했다.</p> <p contents-hash="ee6eb12040908b2d9f9d64f1fa605e255c45f91435db68c0e7c5ec9e56cec4da" dmcf-pid="GpSPWX41eZ" dmcf-ptype="general"> 생태도감에는 국내 나비류 225종 전종의 종 특이적 생태 행동 및 서식환경 특성 등이 밀도 있게 담겼다. 나비의 짝짓기와 산란, 나비가 꽃에서 꿀을 빨아 먹는 흡밀, 습한 흙이나 돌에서 물을 흡수하는 행동 등 다양한 행동을 포함해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기주식물과의 관계, 서식지, 계절별 발생 정보 등 생태학적 맥락을 포괄한 자료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fdd949208a802b395967575a946bfd52075a57fa269ed796a72e68a26eb18ea" dmcf-pid="HUvQYZ8ti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 자생곤충 생태도감1 - 나비편'을 무료 열람할 수 있는 QR코드(m.site.naver.com/1LM1y).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dongascience/20250729132613371mfal.jpg" data-org-width="357" dmcf-mid="4LdXLNYcM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dongascience/20250729132613371mfa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 자생곤충 생태도감1 - 나비편'을 무료 열람할 수 있는 QR코드(m.site.naver.com/1LM1y).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9ef8302e944e427d79870e1789874bb9b57522909037ed299f995c6f2b2c5a3" dmcf-pid="XuTxG56FJH" dmcf-ptype="general">현장 채집과 관찰로 확보한 고해상도 생태 사진 자료 3800컷 이상이 도감에 수록됐다. 특히 멸종위기종(1·2급) 14종,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7종,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93종, 천연기념물 1종 등도 포함돼 국가 생물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유용하다.</p> <p contents-hash="4cbdf1f1f21eea088bdc7cdb1a644eae1ef91faf155c7f85e0c1eef63c0c3c0e" dmcf-pid="Z7yMH1P3eG" dmcf-ptype="general"> 이 교수는 "이번 도감은 국내 서식 나비 전종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생태 데이터 아카이브 역할을 한다"며 "향후 생물다양성 정보플랫폼 연계, AI 기반 생물 이미지 인식 학습자료, 종 분포 예측 모델의 기반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cdd38a9c3da9cc909389eaa1eed1edd73acc74a5147de9cde6d60ccf00fc6c2" dmcf-pid="5hg3AD1miY" dmcf-ptype="general"> 주 저자인 정헌천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 교수는 "본 도감이 나비들의 생태적 자료를 모두 완벽하게 담아냈다고는 할 수 없다"이라며 "지속해서 부족한 점들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b8bfc74b830b0a5fe6b7a62965fd5c8ef0f551335f40a2c235bd3b6bcb93d80" dmcf-pid="1la0cwtsiW" dmcf-ptype="general"> 이어 "현재 나방 도감을 출판하기 위해 편집 중이고 향후 연차적으로 남한에서 자생하고 있는 각종 곤충 전반에 걸쳐 생태도감들을 출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19c37d0df2d94f7b16b81d187493386675776ed7b52deee9b1d91f0dc4d736d" dmcf-pid="tSNpkrFOLy"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BJ 전향’ 다이아 출신 안솜이, 올 가을 솔로 데뷔[공식] 07-29 다음 심형탁, 생후 164일 아들에 ‘힐링 살롱’ 오픈···박수홍도 ‘깜놀’(슈돌)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