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기업 지원 '국가중점데이터 15종' 개방 착수 작성일 07-29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vRNT9Nfmo">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92753802f6498bdc1766a565c92015c554293ed0e27b39923ee8cf64f680df7" dmcf-pid="VTejy2j4s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etimesi/20250729120257436ronl.jpg" data-org-width="700" dmcf-mid="9OcC0dCnD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etimesi/20250729120257436ron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48f111031704d176b369e57850d12923f63e64d973d05ee10e495a95dbcaf0" dmcf-pid="fydAWVA8In" dmcf-ptype="general">행정안전부가 '2025년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통합 착수 보고회'를 열고 인공지능(AI) 학습과 기업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15종의 고가치 공공데이터 개방을 본격 추진한다.</p> <p contents-hash="4490e472517a6b4943342966dd78aec5f8eefa816eaaaeb3644f1b26ea564446" dmcf-pid="4WJcYfc6ri" dmcf-ptype="general">올해 개방 대상 15개 데이터는 AI 학습용 데이터 6종, 기업 지원 목적 데이터 9종으로 구성됐다.</p> <p contents-hash="55fcd98357f05d20eedaa7c9f1d33b3270ec96dbb6a119ae45428d49d0996dfe" dmcf-pid="82lZVkZwEJ" dmcf-ptype="general">AI 학습을 위한 데이터로는 △법제처 '법령해석과 행정심판 재결례' △국토안전관리원 '특수교 계측 데이터' △한국서부발전 '신재생에너지·발전소 운영 정보' △국립해양연구원 '해양 환경과 기초연구 데이터' △국립농업과학원 '스마트팜 기술 정보' △육아정책연구원과 청소년정책연구원 '영유아·청소년 패널데이터' 등이 포함됐다.</p> <p contents-hash="a21da349a2d47db73fdbcb81a5ae5fc69b5040e43983195c1cc6ecc7e0f7b3b3" dmcf-pid="6VS5fE5rOd" dmcf-ptype="general">해당 데이터는 이미지, 영상 등 비정형 정보를 포함해 기계학습이 가능하도록 가공·변환해 제공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64df1cf8a43d67c7e8da9dcd7814d6b9fca08a0bdb564019a4e7f08a7a50cdae" dmcf-pid="Pfv14D1mwe" dmcf-ptype="general">기업 지원을 위한 데이터로는 △행정안전부 '전국 업종별 인허가 정보와 생활편의 정보' △울산항만공사 '실시간 선박운항 정보'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 유통정보' △소방청 '건물화재 예방과 대응시설 정보'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 정보' △여성가족부 '아이돌봄 사업 데이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시간 일사량과 자외선 예측지수' 등이다.</p> <p contents-hash="517092466316e14a95001f8f560ea95a26c31da63ddc743d7d5bab2ae29562df" dmcf-pid="Q4Tt8wtswR" dmcf-ptype="general">이들 데이터는 상권분석, 물류,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p> <p contents-hash="ec11afe22d3d24525f80716fe6b41d935a85248e6f6acc99720b21e010d47778" dmcf-pid="x8yF6rFOOM" dmcf-ptype="general">정부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도록 합성데이터 생성 또는 진위확인서비스를 병행해 제공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비수도권 교통카드 이용내역 합성데이터나 자격증 진위확인 서비스 등이 해당한다.</p> <p contents-hash="7a66a5cf734f2e9297523774669207b2192b2ac656cc64136b3a742e2b6bae7b" dmcf-pid="ylxgSbg2Ox" dmcf-ptype="general">행안부는 기업 수요가 높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AI·고가치 공공데이터 톱 100'을 선정해 단계적으로 개방해 나갈 예정이다.</p> <p contents-hash="73256c944d2b202ea3a18490804aea9c9e7835def8cfec1a28bffd87bb362a20" dmcf-pid="WSMavKaVDQ"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은 국민과 기업 수요가 크고 경제·사회적 파급력이 높은 데이터를 선별해 개방하는 것이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총 217종 데이터를 개방했다.</p> <p contents-hash="c1f366f409444927bf9df7ec32e67c9cb179f78dd2361358424910394c3a7619" dmcf-pid="YvRNT9NfDP" dmcf-ptype="general">배일권 행안부 공공지능데이터국장은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AI 신산업 성장과 기업 혁신을 견인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을 확대해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과 AI 3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ab60417445d5cd9c0a5692c85b607e042234f0ef9e11f22bca63ba3c84cfae3" dmcf-pid="GTejy2j4r6" dmcf-ptype="general">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그놈 목소리' AI로 잡는다…개보위, 보이스피싱 다중 탐지 서비스 출시 지원 07-29 다음 서현, 170cm 장신 미녀의 프로필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