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학 오타쿠가 알려주는 '셰익스피어 인 러브' 감상법 작성일 07-29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리뷰] 연극 셰익스피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qI9X6Dx3c"> <p contents-hash="2eecf4612c10e1961f2dc6b3e29f675058998a687ac3f7811e6bae8f6cccd727" dmcf-pid="zBC2ZPwM0A" dmcf-ptype="general">[최서영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e9726a96872244947edc65486292b989594096c2bf71f4c88f5a8b17d8db75c7" dmcf-pid="qbhV5QrRFj"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26909nbfw.jpg" data-org-width="1280" dmcf-mid="3QjA6rFOF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26909nbfw.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모두가 셰익스피어의 사랑에 빠진다. 또 다시 빠진다.</td> </tr> <tr> <td align="left">ⓒ 최서영</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7bbe632b4dff9173344977a115387444d9207d36d6ff27ba97058cab3406b4c5" dmcf-pid="BKlf1xmeuN" dmcf-ptype="general"> 어린 시절, 셰익스피어 희곡을 대본으로 인형 놀이를 하던 아이가 있었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대사를 완전히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같이 노는 동생을 지겹게 만들었다. 심지어 착한 동생은 언니를 기쁘게 해주려 "언니, 셰익스피어 (연극 놀이) 하자!"고 먼저 제안하기도 했다는데, 당시의 기억은 희미하지만 내가 무척이나 좋아했다고 한다. 이런 제정신 아닌 언니를 또 한 번 참고 견뎌주기 위해, 동생이 함께 연극 <셰익스피어 인 러브>를 보러 가는 길에 동행해 주었다. </div> <p contents-hash="b64fa8f8cf7ed0c5a3c8fd781c0c071f486cd365a40c838c29f1620ab0b03ad6" dmcf-pid="bpwzy2j40a" dmcf-ptype="general"><맥베스>의 세 마녀를 재연하는 해괴한 인형 놀이를 하던 아이는 영문학을 이중 전공했고, 런던 어학연수 중 버킷리스트였던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에서 마침내 연극을 보게 된다. 글로브 극장을 다녀온 지 2년이 지난 지금, <셰익스피어 인 러브>를 한국에서 만나는 감회는 남달랐다.</p> <div contents-hash="f3c563c02a1597f3eacdb15b06a466902b75a615f1233f54105f50f36f1f089e" dmcf-pid="KUrqWVA83g" dmcf-ptype="general"> 정시보다 미리 입장해서 대기하고 있는 관객들을 위해 그 시절에서 튀어나온 것 같은 인물들이 아코디언과 기타를 연주해주며 분위기를 돋운다. 음악을 따라 자연스럽게 관객은 16세기 런던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2746a002e37c332ad4af5770ce951d0e01bf6c2c594ad679ea222a9264d9d658" dmcf-pid="9umBYfc67o"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28223joxg.jpg" data-org-width="1280" dmcf-mid="07u7T9Nf7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28223joxg.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입장 전 무대 사진</strong> 셰익스피어가 글을 쓰는 책상과, 그 글이 펼쳐질 무대</td> </tr> <tr> <td align="left">ⓒ 최서영</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86567f8614e912428ee66173845db88c15766096692f3160c7e65474db81fc02" dmcf-pid="27sbG4kP0L" dmcf-ptype="general"> "언니, 그러면 저 시절에는 여자가 무대 위에 오르지 못 했어?" </div> <p contents-hash="d1de41ee76400103fef13011e189256eadd21c1f4234d2ca0f50a11f8d728269" dmcf-pid="VzOKH8EQUn" dmcf-ptype="general">인터미션 때 동생이 물었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셰익스피어의 무대를 보고 반한 한 여성이 남장을 하고 배우에 지원하여 무대에 오르는 이야기이다. 남장여자 스토리, 지금은 클리셰라 쓰이지도 않지만, 1500년대에는 사회적 성 고정관념을 깨는 파격적인 사건이었다. 이후 찰스 2세가 즉위한 후 연극 황금기가 도래하고 여성이 배우로 출연하기까지는 100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 이 연극은 바로 그 혼란스러운 연극 과도기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p> <p contents-hash="c56b71bed06c5dfd75fa65d3f60b5311aad5deb8c55666c43ded3bcf46dab860" dmcf-pid="fqI9X6Dxui" dmcf-ptype="general">우리가 익히 아는 <로미오와 줄리엣>이 극작가 본인의 이야기라면 얼마나 흥미로울까? 남장을 하고 자신의 무대에 올랐던 그 배우가, 무도회장에서 첫눈에 사랑에 빠진 그 여자였다는 로맨틱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이렇게 셰익스피어의 작품 세계를 허구와 현실로 섬세하게 엮어낸다. 이미 익숙한 <로미오와 줄리엣>을 극 안에서 새롭게 만나고, 여기에 더해진 흥미로운 각색은 연극에 대한 사전 정보가 부족해도 금세 몰입하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p> <p contents-hash="74da414784e52ea8709b8fc14b0f16fa117323cb3adc43216d5e43ba7de3916d" dmcf-pid="4BC2ZPwM0J" dmcf-ptype="general"><strong>[관극 포인트] </strong><strong>아는 만큼 보이는 즐거움</strong></p> <p contents-hash="cf0be08e52a1dc261351b3d6d663a4b28a237bf9c263d2a4b061ce529b7e5d37" dmcf-pid="8bhV5QrR7d" dmcf-ptype="general">이 연극은 단순히 스토리를 즐기기에는 아까울 정도로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몇 가지 관람 포인트를 미리 알아두면 더욱 풍성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p> <p contents-hash="0a9d3026038af746885800776ca5360068bd0e30775eb0e2a799892f946f0002" dmcf-pid="6i0gVkZwue" dmcf-ptype="general"><strong>런던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과 비교한다면?</strong></p> <p contents-hash="77465d75bf8b6963ce28a959cfdb2648772ddade8a9a2e39db6a7ed335892ae1" dmcf-pid="PnpafE5rFR" dmcf-ptype="general">화려한 무대장치를 기대하고 갔다면 다소 심심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래도 셰익스피어 글로브의 연극보다는 훨씬 편안하고 푹신한 자리에서 관람할 수 있다. 당시 극장을 최대한 재현하려는 노력이 엿보이는 현장감 넘치는 무대 연출을 느끼며 몰입해 보자.</p> <div contents-hash="554a6c4dfc21aef5d1bc9d4eab7615a0da0fd1876eb7a43770b28fe767e64ba5" dmcf-pid="QLUN4D1mpM" dmcf-ptype="general"> 연극에서도 언급되는 연극 관람 시 좌석 가격, 쿠션 추가 비용 등은 실제로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에 가면 지금도 경험할 수 있다. 그 시대의 극장을 복원한 글로브 극장의 1층 'Pit(Yard)'에서는 서서 보는 대신 저렴하게 관람할 수 있고, 2~3층 'Gallery'에서는 앉아서 보지만 나무 바닥이라 쿠션 추가는 필수다. 이 연극을 보고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연극을 더 사실적으로 체험하고 싶다면 글로브 극장을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f23fed9fc8053e86102c753611476056054aaae61def7dba8d992333a90f8c69" dmcf-pid="xouj8wtsUx"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29562ktdr.jpg" data-org-width="1280" dmcf-mid="pbtJBaWA0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29562ktdr.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셰익스피어 글로브</strong> 원형으로 된 극장 형태라서 글로브라고 불린다.</td> </tr> <tr> <td align="left">ⓒ 최서영</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6acb13c0726db12d9499b1e6e362d4cc2e24ccd1557e29ff751451f220fdf1c1" dmcf-pid="ytcplBo9zQ" dmcf-ptype="general"> <strong>셰익스피어, 왜 그토록 베로나였나?</strong> </div> <p contents-hash="f7d95e835bd1fc074dbcdaf24807284c3ad0b9d05881ba3640f84fffdda702f3" dmcf-pid="WFkUSbg2UP" dmcf-ptype="general">극을 보다 보면 주변 인물들이 셰익스피어에게 "또 베로나를 배경으로 하느냐?"며 다그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는 왜 그렇게 베로나를 배경으로 연극을 많이 썼을까? 헨리 8세가 로마 가톨릭 교황청과 결별을 선언하고 신교인 성공회를 만들면서 종교개혁을 단행하자, 신교와 구교의 갈등은 기존의 종교적 장르가 지배하던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p> <p contents-hash="406ed51e1c41c3e17f638f134d5c33c36b4ec5b894716a522df4af481fcf67a0" dmcf-pid="Y3EuvKaV06" dmcf-ptype="general">당시 연극은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체였기 때문에, 종교적 갈등이 첨예하던 시기에는 정치적 선동이나 비방의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정부는 혼란을 막기 위해 연극을 통해 특정 종교를 비방하거나 종교 갈등을 조장하는 것을 강력히 규제했다. 이러한 규제는 엘리자베스 시대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때문에 셰익스피어는 영국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반영하면서도 타국의 이야기를 원전으로 하는 작품들을 내놓을 수밖에 없었다.</p> <div contents-hash="9a9facebf125d7bb2dae25e9a5fd1c672a8739488e5219660ab00588b74e366a" dmcf-pid="G0D7T9NfU8" dmcf-ptype="general"> 종교적 내용이 금지되면서 고전 문학, 역사적 연대기나 전설 등으로 주제가 옮겨가기 시작했다. 이는 종교와 신 중심이었던 중세 시대에서 벗어나 유럽에서 불어온 르네상스의 흐름과 함께 시작된 전환기이자 과도기의 특징이다. 그 사이에서 탄생한 tragicomedy(희비극), <로미오와 줄리엣>이 만들어지는 이야기를 이번 연극에서 찾아볼 수 있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8a8fa127d905b370c92b9f30c4b471f351e08e10b99910ae1ea384c5150af80a" dmcf-pid="HPHR7LvaF4"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30940rkep.jpg" data-org-width="1280" dmcf-mid="ULYP0dCn7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30940rkep.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셰익스피어 작품 연대기</strong> 극에서 언급되는 셰익스피어의 극을 보고 어느 시기일지 짐작해 보자.</td> </tr> <tr> <td align="left">ⓒ 최서영</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8550c28c3cf9f5bc574a570a3c2209bde53a16dd4ca4fe50306a52bf12e886ad" dmcf-pid="XQXezoTN3f" dmcf-ptype="general"> <strong>셰익스피어보다 이미 뛰어난 연극계 인물이 있었다</strong> </div> <p contents-hash="acf4800830bba438474cab9aacf4afa57c5bd7da60c38be061ec890393c949bc" dmcf-pid="ZxZdqgyj7V" dmcf-ptype="general">우리는 영국의 대표 극작가로 셰익스피어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셰익스피어보다 일찍이 자리를 잡은 옥스퍼드나 캠브리지 출신의 뛰어난 극작가들이 있었다.</p> <p contents-hash="fe7867f803c061c5d43bd3fba40a483c7767df945f11b71e3119366b6c976231" dmcf-pid="5M5JBaWAu2" dmcf-ptype="general">크리스토퍼 말로우(Christopher Marlowe)는 그중 한 명으로,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연극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절친한 친구로 등장하며 둘의 우정을 통해 셰익스피어 작품 세계의 성숙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주목해 보는 것이 흥미로운 관람 포인트가 될 것이다. 말로우가 죽음을 조작하고 셰익스피어라는 가명으로 극을 연재해 왔다는 가설도 있을 정도로, 셰익스피어 초기 비극에서 말로우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다. 연극 속에서 셰익스피어가 극의 아이디어를 얻거나 영감을 받는 과정에 말로우가 어떻게 기여하는지 유심히 살펴 보자.</p> <p contents-hash="7a01f4ef91be44a009e858b89ec6a623673a70777bec631901f51701680255f1" dmcf-pid="1R1ibNYc09" dmcf-ptype="general"><strong>훗날 이 사람은 극작가 '존 웹스터'가 됩니다</strong></p> <p contents-hash="a6e7d3bcdb59a12bd5b7876f1ca0b118325c420868c453abe62dc1b820981fc3" dmcf-pid="tetnKjGkUK" dmcf-ptype="general">또한, 셰익스피어와 시대를 공유하는 또 다른 영국의 극작가가 이 연극 스토리에도 등장하는데, 훗날 극작가로 성장할 존 웹스터(John Webster)가 어떤 인물인지 알아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존 웹스터가 한창 활동할 시기는 제임스 1세가 통치하는 시기로, 폭력적이고 잔인하며 인간의 어두운 본성을 다루는 복수 비극(Revenge tragedy)이 유행했다. 이 시기의 연극을 '자코비언 드라마(Jacobean drama)'라고 한다.</p> <p contents-hash="e3ca1a5d6dfe6af84fe47777413db80b0e18506a7dd9a2b82b077a06a225a188" dmcf-pid="FdFL9AHEUb" dmcf-ptype="general">바로 이 극의 특성이 힌트다. 연극 속에서 유독 잔인하고 폭력적인 묘사에 관심을 보이는 인물이 있다면, 그가 바로 훗날 <하얀 악마(The White Devil)>나 <말피 공작부인(The Duchess of Malfi)>과 같은 걸작 복수 비극을 남긴 존 웹스터를 상징하는 캐릭터일 가능성이 높다. 그의 초기 모습과 성향을 추측하며 극을 관람하는 것도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이다.</p> <div contents-hash="df6aa7a8d7f44cffd512d7bb92c9f8bf891f916a1be8a80676687a464e99f0bf" dmcf-pid="3J3o2cXD7B" dmcf-ptype="general"> 글로브 극장에서 보았던 <한여름 밤의 꿈>은 전공 수업 발표를 위해 모든 장면을 외울 정도로 반복해서 보았지만, 이상하게도 난 관객들과 하나 되어 몰입할 수 없었다. 그곳에서 내가 두드러진 이방인이었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애드리브를 온전히 이해하기에는 부족했던 영어 실력 때문이었을까? 그러나 이번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달랐다. 자국의 언어로 관객과 하나 되어 웃고 울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기쁜 일인지 온몸으로 느꼈다. 편안한 기쁨으로 벅차오르는 한여름 밤이었다. 나처럼 미치광이가 아니어도 셰익스피어에 충분히 빠질 수 있는 여름밤이다. 여름이 가기 전에 이 연극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기를.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3abe3fc2ba7388780997fe17512841d4aa2ad4f156d2b8d33a373665f7cc3b0d" dmcf-pid="0i0gVkZwUq"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32397hqtu.jpg" data-org-width="1280" dmcf-mid="uZkUSbg2p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ohmynews/20250729115432397hqtu.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커튼콜</strong> 공연을 본 날은 운이 좋게 커튼콜 데이였다.</td> </tr> <tr> <td align="left">ⓒ 최서영</td> </tr> </tbody> </tabl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형석, 박지윤 결혼 반대·장가 도전 “테스트만 여섯 번…재벌가 입성 기분” 07-29 다음 "10년 뒤 여기서 만나"…'다큐 3일' 안동역의 기적 일어날까, 기업들도 관심 집중 [ST이슈]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