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 뻥스펙' 논란에…로보락 "로봇청소기 특성 고려해야" 작성일 07-29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Pa·W 모두 유효한 지표…흡입력 표기 확대 검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3gDw3MUoR"> <p contents-hash="5ea264cadacfd9bbcb42a78f5b5eeaae8ef6f142120503a14539042e84f22e8c" dmcf-pid="3nZUunSgAM"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신영빈 기자)정부가 로봇청소기 흡입력 표기를 와트(W)로 통일하기로 하면서 중국산 청소기 '뻥스펙' 논란이 불거졌다. 중국 제품들은 와트 대신 파스칼(Pa) 단위로 흡입 성능을 표시하고 있다.</p> <p contents-hash="77e5291f095e5e012e458c2bb507e888e369817b4ac62bbfc9b9df9e3858e8bf" dmcf-pid="0L5u7Lvagx" dmcf-ptype="general"><span>28일 중국 로봇청소기 브랜드 로보락은 "단위 차이를 성능 과장으로 볼 수 없다"며 제품 구조에 맞는 다양한 표기 방식의 공존 필요성을 주장했다.</span></p> <p contents-hash="e00f4192f7572c3a53988d177363b8950d5e0ca66ef9867fef27a5a43eac717e" dmcf-pid="po17zoTNoQ" dmcf-ptype="general"><span>회사 관계자는 "로보락이 주력으로 판매 중인 제품들은 대부분 습식 기능을 포함한 로봇청소기"라며 "제품 구조적 특성과 사용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파스칼(Pa) 단위가 흡입 성능을 전달하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8435c3486e05e1ec9bbd4f9a79d61dddbc324b7d31011a56874b32bbfc57db97" dmcf-pid="UgtzqgyjaP" dmcf-ptype="general"><span>이어 "Pa 단위는 한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일반적인 흡입력 표기 단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Pa 단위 중심 제품 안내를 유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65fab8c6d37caa6a7b4d7caf488252ee976019b3eaece7c3e1df13ef1e89a3" dmcf-pid="uaFqBaWAa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가전양판점에 로봇청소기 제품들이 전시된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100045081vsje.jpg" data-org-width="640" dmcf-mid="tcAsOuJqc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100045081vsj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가전양판점에 로봇청소기 제품들이 전시된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eccfccf07b9caa14d3fbed1503971ab48b2022cc61042f8864eb3df4d0c401c" dmcf-pid="7N3BbNYcN8" dmcf-ptype="general">앞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건식 로봇청소기의 흡입력을 앞으로 W 단위로 통일해 표기하도록 KS 산업표준을 개정 예고한 바 있다. 일부 제품이 과도하게 높은 Pa 수치를 마케팅에 사용하며 소비자를 오도할 수 있다는 지적에서 출발했다.</p> <p contents-hash="ba3f9b8df5d7f5d55b147198111a1175428e601f3950dd6596d26087776e97d3" dmcf-pid="zj0bKjGkc4" dmcf-ptype="general"><span>로보락 측은 "정부가 고시한 KS 산업표준 개정 사항 및 그 취지를 인지하고 있다"면서 "최근 출시한 무선청소기에는 W 단위를 병행 표기했다. </span><span>제품 특성과 소비자 편의를 고려해 W 단위 표기 확대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span></p> <p contents-hash="9e2d6b717e987e2d3b71d8ffb429e404b1d49f42a7efe2f9026da3a1456c8992" dmcf-pid="qApK9AHENf" dmcf-ptype="general"><span>일부 전문가들이 "Pa 단위는 물리적 진공도만 나타낼 뿐, 실제 공기 유량을 반영하지 않아 청소 성능과 무관하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해서도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span></p> <p contents-hash="0435c3e5eea66e2a412c86abc6fcb8fdca350cab1f0645252d875f8dc38fcaf5" dmcf-pid="BcU92cXDcV" dmcf-ptype="general"><span>로보락 관계자는 "로봇청소기처럼 유로가 짧고 국소 청소가 중요한 기기에서는 순간 흡입력이 더 핵심적인 성능 지표가 된다"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d4793be61d6da9c737a8ced272bbaa4e567bfef4fb02cd57a61e3c47f7b2ce15" dmcf-pid="bku2VkZwc2" dmcf-ptype="general"><span>이어 "이런 제품 구조 특성을 고려할 때 Pa 수치는 여전히 의미 있는 기준이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일반적으로 해당 단위를 중심으로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95f8374870dd5e9d912400b9f450a5ec6a09c4d890b60f624c5ba94e3ce7fcfe" dmcf-pid="KE7VfE5rg9" dmcf-ptype="general"><span>이번 KS 표준 개정은 소비자의 체감 성능과 직결된 실효성 있는 표기 기준을 정착시키기 위한 시도이지만, 동시에 글로벌 제조사와 다양한 제품 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유연한 접근 역시 병행돼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된다.</span></p> <p contents-hash="57c69231c2c963ea1a99aaabf2aa09f27065c354c3e6f1833b7122de0c44046b" dmcf-pid="9Dzf4D1mAK" dmcf-ptype="general"><span>로보락은 "소비자가 흡입 성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려는 정부와 관련 기관 방향성을 존중한다"라며 "향후 표기 방식은 관련 기준과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30b59e1be3bd56be15f54dd68d7343abe8e36d55be2bbf76ff43ad8c5eedb94a" dmcf-pid="2wq48wtskb" dmcf-ptype="general">신영빈 기자(burger@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늘어나는 특구, 분산된 성과... 특구 제도 개선 필요" 07-29 다음 [영상] IBM "2026년 양자우위 달성"… 2033년 양자상용화 본격화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