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걱정 되면 걸어라…“가족력 있는 사람에 더 큰 효과” 작성일 07-29 8 목록 <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20/2025/07/29/0003651058_001_20250729095617507.jpg" alt="" /><em class="img_desc">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em></span>나이 들어 규칙적으로 걷는 습관이 치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에게 더욱 두드러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br><b>알츠하이머병에 걸리는 이유</b><br><br>알츠하이머병은 뇌에 유해한 플라크( 뇌 활동의 부산물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노폐물)가 축적되어 신경 세포의 소통을 방해하고 결국 세포 사멸로 이어지는 심각한 치매의 한 형태다. 전체 치매 환자의 60~70%를 차지한다.<br><br>시간이 지나면서 더 많은 신경 세포가 사멸함에 따라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기억 상실, 혼란, 성격 변화, 신체적 쇠퇴가 점점 더 심해진다.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직 없는 이 질환은 유전적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바로 아포지 단백 E4(이하 APOE4) 변이 유전자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자료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약 15~25%가 APOE4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유전자 검사다.<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20/2025/07/29/0003651058_002_20250729095617541.jpg" alt="" /><em class="img_desc">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em></span><br><br><b>연구개요</b><br><br>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의 국제 학술대회((AAIC))에서 29일(현지시각) 발표 예정인 이번 연구(학술지 게재 전)는 APOE4 유전형 검사를 받은 70~79세의 고령자 2985명을 10년 동안 추적 관찰하며 걷기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참가자들에겐 1년에 한 번씩 걷는 양에 대해 설문했고, 정기적으로 표준화된 인지 능력 테스트를 시행했다.<br><br><b>알츠하이머병 유발 원인 APOE4</b><br> <br>전체적으로 APOE4 변이 유전자를 가진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인지 능력 저하 속도가 가팔랐다. APOE4 변이 유전자는 대표적인 알츠하이머병 유발인자다. 뇌 활동의 부산물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노폐물(플라크)을 제거하기 어렵게 만들어 인지 저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br><br>연구 책임자인 캐나다 캘거리 대학교 신경과학과 교수 겸 캐나다 신경과학, 뇌 건강·운동 부문 연구 책임자인 신디 바르하 박사는 “APOE4 유전자를 두 개 가진 사람은 해당 유전자가 없는 여성과 남성보다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이 각각 12배, 4배 더 높다”고 설명했다.<br><br>그런데 꾸준히 걷는 사람은 이러한 위험을 의미 있게 낮춰주는 효과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여성이 걷기를 통해 더 큰 이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br><br><b>걷기, 치매 유전자 가진 사람들에 특히 효과적<br></b><br>걷는 양이 10% 증가할 때마다 여성은 ‘복잡한 사고’(complex thinking) 능력 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4.7% 향상되었다. 남성은 2.6% 향상되었다.<br><br>하지만 APOE4 변이 유전자 보유자에서는 남성이 더 큰 효과를 보였다. 걷는 양이 10% 늘어날 경우, 여성은 ’전반적인 인지’(global cognition) 능력이 8.5% 증가했고, 남성은 12% 증가했다. 연구진은 APOE4 유전자 보유 여성이 걷기의 더 큰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정반대였다.<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20/2025/07/29/0003651058_003_20250729095617575.jpg" alt="" /><em class="img_desc">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em></span><br><br><b>걷기가 뇌 건강을 지키는 원리…“걷기는 뇌에 주는 비료”</b><br><br>바르하 박사는 걷기가 뇌세포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 수치를 증가시켜 뇌 건강을 지킨다고 설명했다. BDNF는 뇌세포를 보호하고 성장시키며 연결을 강화하는 단백질로,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br><br>“BDNF는 뇌에 뿌리는 비료와 같은 존재다. 특히 걷기와 같은 신체 활동을 할 때 자연스럽게 생성되며,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의 기억력, 학습 능력, 기분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라고 바르하 박사는 말했다.<br><br>2022년 발표한 한 연구에 따르면, 속도에 관계없이 하루에 약 3800보를 걸으면 치매 발병 위험을 약 25%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br>이번 연구는 참가자들의 걷는 속도나 빈도를 추적하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규칙적인 걷기가 유전적으로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강력한 예방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br><br>(CNN, NBC뉴스 참조)<br><br> 관련자료 이전 대한체육회, 2028년까지 국가대표 선수단 동행 후원사 모집 07-29 다음 ‘신세계 외손녀’ 애니, 母 정유경 판박이 미모…가죽 원피스에 시선강탈[스타★샷]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