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년, 아직 귀향 못한 영령들…"지워진 역사, 그곳에 조선인이 있다" (PD수첩) 작성일 07-29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9일 방송</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kSww9NfJ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cb995bf4a7c1c1ad204a77792ee9dd4867ea2cd37c99b8803f9752a3b8643e0" data-idxno="540127" data-type="photo" dmcf-pid="uDTmmVA8i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27798ycif.jpg" data-org-width="720" dmcf-mid="t5M11aWAi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27798ycif.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99d96fdfb9fcf13d514b9ad7705fe02192bebd1073f67cd53171641c1f9e2967" dmcf-pid="zrWOO4kPLe" dmcf-ptype="general">(MHN 권나현 인턴기자) 'PD수첩'이 강제 동원된 희생자 유해 수습 실태를 추적한다. </p> <p contents-hash="4371928c54d1cbb3d7dd61512298d467497d1c86ec3d5c79533428f6d8196246" dmcf-pid="qmYII8EQRR" dmcf-ptype="general">29일 방송되는 MBC 'PD수첩'에서는 광복 80주년 특집으로, 강제 동원의 흔적과 왜곡된 기억 사이에서 유해조차 제자리를 찾지 못한 현실을 조명한다. 프로그램은 역사를 바로잡기 위해 현장을 지키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조선인 희생자 유골 수습의 현주소를 추적한다. </p> <p contents-hash="a9d8ba2333a535949c148908bdb6744d90296d7407f8b837bb8883e1f6fdf11d" dmcf-pid="BsGCC6DxiM" dmcf-ptype="general">광복 80주년이자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2025년, 여전히 양국은 '과거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두고 뚜렷한 인식의 간극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동원을 두고 일본 일부에서는 여전히 모집 또는 자발적 지원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본질을 왜곡하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99c043c78d31f34791536ec27fa24c32b564d80bd1877e7ffef6c6b9d427b8" data-idxno="540192" data-type="photo" dmcf-pid="KIXllQrRR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29087vuwp.jpg" data-org-width="720" dmcf-mid="FHhEEbg2n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29087vuwp.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8663848453d3a4a3ebf28b87f0dddf90a725ec06eeaa44ea5998f3463c51f67" dmcf-pid="2clDDKaVd6" dmcf-ptype="general">이런 왜곡된 인식은 과거사 책임 규명과 후속 조치에 대한 소극적 태도로 이어졌고, 그 결과 강제 동원으로 희생된 조선인들의 유해는 지금까지도 온전히 수습되지 못한 채 방치돼 있다. </p> <p contents-hash="ff192e32f71d30829a01d4c623aa86b6f58b2b65346305c92b55e1c24ebe6493" dmcf-pid="VkSww9Nfe8" dmcf-ptype="general">1945년 태평양 전쟁 말기, 오키나와에서 벌어진 미ㆍ일 간의 치열한 전투는 수많은 민간인을 희생시켰고, 이 과정에서 조선인들 역시 대거 강제로 동원돼 목숨을 잃었다. </p> <p contents-hash="e3764f00bde8de231844150fb386951238203444fe6719474cf7a0a29a4daeea" dmcf-pid="fEvrr2j4i4" dmcf-ptype="general">그러나 일본 정부는 조선인 희생자들의 유해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피해 실태에 대한 공식 조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p> <p contents-hash="2440138e568016acf44d5929a5ff4c92092dd185bf5bf9a4ae5bdb15f5384276" dmcf-pid="4DTmmVA8nf" dmcf-ptype="general">이 같은 현실을 마주하며, 진실을 기록하기 위한 움직임은 일본 시민단체의 손에서 시작됐다. 구시켄 다카마쓰 씨는 오키나와 전역을 돌며 기록조차 남지 않은 조선인 희생자들의 유해 흔적을 직접 채록해 왔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80b2542c9c960ac2b8bb041960a88b8b2023f050f8f784c0e7fe2dc4daa6658" data-idxno="540193" data-type="photo" dmcf-pid="6rWOO4kPi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30412qyoa.jpg" data-org-width="720" dmcf-mid="3jIccqLKR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30412qyoa.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935dea0beb84c38e4176080f41dddd584e063693b20fc7124783150804b2d21" dmcf-pid="QsGCC6DxRK" dmcf-ptype="general">그는 정부의 외면 속에서도 수년째 유해 발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같은 오키나와 지역에는 전쟁을 미화하려는 움직임도 함께 벌어지고 있다. 조선인의 유해가 섞인 흙을 미군기지 건설에 사용하겠다는 계획이 밝혀졌고, 오키나와 전투 당시 민간인 대량 희생의 책임자로 지목되는 우시지마 미쓰루에 대한 참배 행위도 계속되고 있다. </p> <p contents-hash="b9596e9f649a9aa6d9da3841a63f0b3b40756a6ebc500bd74eabcd1cfad07f6a" dmcf-pid="xOHhhPwMeb" dmcf-ptype="general">'PD수첩'은 이러한 엇갈린 기억이 공존하는 일본 사회의 이면을 비추며, 강제 동원으로 귀향조차 하지 못한 조선인의 실체적 흔적을 직접 확인했다. </p> <p contents-hash="c1616032cce02f6f89777fa4e37d28263045dfec0e81574f026658181fd83032" dmcf-pid="y2d44vBWMB" dmcf-ptype="general">또한, 1942년 조세이 해저 탄광에서 발생한 대규모 수몰 사고의 진실에도 접근했다. 당시 사고로 조선인 136명이 목숨을 잃었지만, 일본 정부와 기업은 유해 수습에 손을 놓은 채 사고 갱구는 82년 동안 닫혀 있었다. 그 긴 침묵을 깬 것은 정부도, 대기업도 아닌 유족들의 절절한 바람과 일본 시민단체의 꾸준한 노력이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644ad0c60b2d6a0da222c02149b740f4291928241ee11273c0fe99275a0d757" data-idxno="540194" data-type="photo" dmcf-pid="Yfi66yKGd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31642yftf.jpg" data-org-width="720" dmcf-mid="0Bjdd56FL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HockeyNewsKorea/20250729053131642yftf.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063ae6e04714e0b2edd426e559ebea5a47c73f3443c962f17389325b03314146" dmcf-pid="H8LQQY2XRu" dmcf-ptype="general">현재 한일 양국의 잠수사들이 갱구 내부와 수직 통로 구조물인 피아 구간을 오가며 사고 현장을 조사 중이다. 수심 약 40m 지점까지 확인된 현장은 유골 수습의 가능성을 열고 있으나, 한 사람의 희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유가족들은 "단 한 위의 유골이라도 제자리를 찾길 바란다"며 눈시울을 붉혔고, 시민단체는 "결코 이 염원을 외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948f776e65e6a0be178d46d2ee0a6a9ed289169b48a4024dbd5f6af33aecb0a0" dmcf-pid="XtK00cXDLU" dmcf-ptype="general">'PD수첩'은 조세이 탄광 현장을 직접 찾아가 유족들의 목소리, 일본 시민사회의 활동, 잠수 촬영을 통해 확인한 현장 상황 등을 통해 유해 발굴의 가능성과 의미를 집중 조명한다. </p> <p contents-hash="1007b5c6c23b8c04778a82513566df1ece7ae3c54f96c914571dfd823ff52262" dmcf-pid="ZF9ppkZwJp" dmcf-ptype="general">한편, 지워진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한 발걸음을 담은 이야기는 29일 오후 10시 20분에 방송된다. </p> <p contents-hash="895bac3c70733cdbf8273a16f34e48afa707c55fc48153a78d9cb0d5a2ec1db4" dmcf-pid="532UUE5rJ0"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799de647a6ccd816cdd663ab160b6fa8bbd48ef088f804985b94a9c2c253fee8" dmcf-pid="10VuuD1mR3" dmcf-ptype="general">사진=MBC</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거지 된다" 서장훈, SNS 중독 주부에 '쓴소리' [RE:TV] 07-29 다음 황보라, 김준호♥김지민 신혼집에 '하정우 그림' 선물 [RE:TV]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